목차
Ⅰ. 칸트이론
Ⅱ.경험사례
Ⅲ. 초등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법
Ⅱ.경험사례
Ⅲ. 초등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법
본문내용
아니다. 용돈을 받아서 갚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러나 아버지가 들어오시지 않아서 어머니에게 미술 준비물 사야한다고 말을 한 것은 거짓말이다. 민태는 어머니에게 솔직하게 말을 했어야했다. ‘어제 현숙이에게 천원을 빌려서 오락실에 갔었고 아버지에게 용돈을 받아서 갚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버지가 들어오시지 않아서 현숙이에게 갚을 돈이 없다.’라고 솔직하게 말을 했어야했다. 나중에 어머니가 민태가 거짓말 했었다는 것을 알면 얼마나 속상할까? 거짓말을 했던 민태는 마음이 편안할까? 솔직하게 말을 하면 어머니가 이해해주시지 않을까? 만약 오락실에 갔었던 것 때문에 말을 못하는 것이라면 어머니에게 용서를 구해야하지 않을까?칸트는 이런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의 거짓말도 용납하지 않았다. 의지가 선하냐 선하지 않느냐를 문제 삼았다. 민태의 의지는 선했을까? 그렇지 않았다. 오락실에 갔었던 것을 숨기고 싶었고 현숙이에게 천원을 빌린 것도 숨기고 싶었다.
어떤 상황이 닥치든지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숨기거나 다른 말로 포장하는 행동은 옳지 못하다.
참고문헌
랄프 루드비히,『(쉽게 읽는 칸트) 정언명령』,이학사,1999.
어떤 상황이 닥치든지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숨기거나 다른 말로 포장하는 행동은 옳지 못하다.
참고문헌
랄프 루드비히,『(쉽게 읽는 칸트) 정언명령』,이학사,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