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리주의 의미와 의의
2. 벤담의 공리주의 (양적 공리주의)
3. 밀의 공리주의 (질적 공리주의)
4. 공리주의의 한계
2. 벤담의 공리주의 (양적 공리주의)
3. 밀의 공리주의 (질적 공리주의)
4. 공리주의의 한계
본문내용
-민주적 절차에 대해 이야기하기
이런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어떤 민주적 절차를 걸쳐야 하는지 알려주고, 모든 사람이 만족할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다수결의 원칙임을 알려준다.
-학생들의 경험담 들어보기
이 글과 관련하여 비슷한 경험이 있으면 이야기 해보고,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도 발표해본다.
-역할극
어떤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직접 결정을 내리도록 역할극을 해 보면 좋을 것 같다. 흔히 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해 주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효과
이 단원은 공리주의를 수업에 적용하기에 알맞은 단원이다. <토끼들의 겨울나기> 외에도 다른 제재들을 보면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예로 다수결의 원칙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많은 의견들이 대립 될 때는 다수결로 결정을 내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학생들에게 지도 할 때 중요한 것은 무조건 다수의 의견이 옳다는 생각보다 소수의 의견도 존중하고, 배려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공동의 이익을 위해 어떤 결정을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생각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준다면, 학생들이 앞으로 그런 상황에 있어서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Ⅳ. 후기
수업 시간에는 공리주의가 가장 쉬우면서 흥미로웠던 주제였는데, 생각보다 공리주의의 내용은 더 고차원적이고 어려웠다.
공리주의는 우리사회에서 특히 의사결정을 할 때는 가장 많이 쓰이는 이론이고, ‘다수결의 원칙’은 우리 모두에게 최선의 방법이라 여겨질 정도이다. 그러다 보니 사실상 다수에 반하는 소수는 무시되거나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 리포트를 쓰면서 내 경험 사례를 떠올려 봤을 때도 공리주의의 문제점들을 더 많이 생각하게 된 것 같다.
모두가 만족하는 결정을 한다는 것은 참 어렵다. 특히 다양한 이익이 대립되는 상황이라면 말이다. 이럴 때 가장 좋은 것은 공리주의의 말대로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만족하는, 행복한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수가 나머지 소수를 조금씩만 배려한다면 더 이상적인 공리주의의 실현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Ⅵ. 참고문헌
서정욱, [벤담이 들려주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이야기](자음과 모음, 2006)
허남결, [밀의 공리주의](서광사, 2000)
로버트 L 애링턴, [서양 윤리학사](서광사, 2003)
[제 7차 5학년 도덕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교육인적자원부,2002)
이런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어떤 민주적 절차를 걸쳐야 하는지 알려주고, 모든 사람이 만족할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다수결의 원칙임을 알려준다.
-학생들의 경험담 들어보기
이 글과 관련하여 비슷한 경험이 있으면 이야기 해보고,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도 발표해본다.
-역할극
어떤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직접 결정을 내리도록 역할극을 해 보면 좋을 것 같다. 흔히 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해 주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효과
이 단원은 공리주의를 수업에 적용하기에 알맞은 단원이다. <토끼들의 겨울나기> 외에도 다른 제재들을 보면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예로 다수결의 원칙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많은 의견들이 대립 될 때는 다수결로 결정을 내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학생들에게 지도 할 때 중요한 것은 무조건 다수의 의견이 옳다는 생각보다 소수의 의견도 존중하고, 배려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공동의 이익을 위해 어떤 결정을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생각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준다면, 학생들이 앞으로 그런 상황에 있어서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Ⅳ. 후기
수업 시간에는 공리주의가 가장 쉬우면서 흥미로웠던 주제였는데, 생각보다 공리주의의 내용은 더 고차원적이고 어려웠다.
공리주의는 우리사회에서 특히 의사결정을 할 때는 가장 많이 쓰이는 이론이고, ‘다수결의 원칙’은 우리 모두에게 최선의 방법이라 여겨질 정도이다. 그러다 보니 사실상 다수에 반하는 소수는 무시되거나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 리포트를 쓰면서 내 경험 사례를 떠올려 봤을 때도 공리주의의 문제점들을 더 많이 생각하게 된 것 같다.
모두가 만족하는 결정을 한다는 것은 참 어렵다. 특히 다양한 이익이 대립되는 상황이라면 말이다. 이럴 때 가장 좋은 것은 공리주의의 말대로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만족하는, 행복한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수가 나머지 소수를 조금씩만 배려한다면 더 이상적인 공리주의의 실현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Ⅵ. 참고문헌
서정욱, [벤담이 들려주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이야기](자음과 모음, 2006)
허남결, [밀의 공리주의](서광사, 2000)
로버트 L 애링턴, [서양 윤리학사](서광사, 2003)
[제 7차 5학년 도덕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교육인적자원부,2002)
키워드
추천자료
공리주의 이론 공리주의 사례 경험사례 분석 공리주의 의의 공리주의 한계점 교육과정
공리주의 - 최대다수 최대행복 원칙에 부합한 다수결의 문제해결 방식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에 대한 고찰 - 사례를 중심으로
공리주의에 관하여 - 경험 분석 - 6 나와 우리 - 주한이네 마을 - 시민 교통경찰
공리주의 - 교과에의 적용 - 5 함께 지키자 - 법을 존중한 소크라테스
초등도덕교육론 - 공리주의에 대하여
공리주의의 이론적 고찰 - 사례와 적용 - 7 서로 다른 주장
교수-학습 과정안 - 공리주의 - 경험사례 - 6 나와 우리
덕과 공리주의 - 이해 경험 사례 제시 및 분석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