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불교 사상과 도덕 교육
Ⅱ. 도가 사상과 도덕교육
Ⅲ. 유학 사상과 도덕교육
Ⅳ. 기독교 사상과 도덕교육
Ⅱ. 도가 사상과 도덕교육
Ⅲ. 유학 사상과 도덕교육
Ⅳ. 기독교 사상과 도덕교육
본문내용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 교과 속에 들어있는 하늘의 명령 학생들이 파악하게 번역
- 교과 교재에 내재된 하늘의 명령 학생들의 마음속에서 되살려 이것이 학생들의 한 부분 이 되도록 만듦
4) 학교 도덕교육의 지향점: 학생들이 도덕적으로 완성된 사람이 되도록 마음의 핵심부를 보다 크고, 아름답게 만드는 노력
Ⅳ. 기독교 사상과 도덕교육
1. 기독교 신앙과 도덕교육
기독교 사상
일반적인 윤리종교이론
나는 개선의 대상이 아니라 버려야할 대상,
(자기부정) 그 빈자리에 예수의 영을 받아들여 성령이 나 대신 살아가게 한다.
부족한 나를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점차 완전한 인간에 접근시켜 나가는 것.
(각 종교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모델 有)
1) 도덕교육 방법의 차이
2) 이성의 한계와 신앙
이성의 한계: 이성은 인간의 감성을 바로잡아주지만 이는 지적 능력에서만 가능하다. 즉, 인간의 지적 능력을 초과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 신앙으로 해결
신앙: 인간이 신성을 받아들이는 행위.
이성보다 더 우수한 완전무결한 능력이 바로 신성이다.
3) 기독교적 방식에서의 도덕적 삶
죄를 떠나서 살기
- 자신이 과거에 지은 죄를 뉘우친다.
- 신의 뜻인 성경의 기록에 따라 살아가는 기도를 한다.
성령의 충만함
- 기도와 성경 말씀의 묵상과 이웃에게 베푸는 이타적 사랑을 통해
신령한 마음을 얻는다.
▶ 계속적인 성령 충만함을 통해 죄가 마음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도덕적 삶을 살기
2. 기독교 사상과 학교 도덕교육의 방법
1) 죄의 특성 → 각 학년별로 짓기 쉬운 죄를 찾아보고 결과를 분석하기
☜ 인간의 모든 도덕적 문제에는 ‘죄’가 관여한다. 왼쪽 그림에서
우리에게 드러난 하늘색 부분이 빙산의 일각인 것처럼, 죄는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다가 아니다.
처음에는 죄가 죄인 줄을 알지만 중독되면 그 잘못을 망각하게 된다.
인간을 나태하게 만들고 파괴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개인과 사회를 파괴시킨다.
2) 쾌락 중심의 삶에서 벗어나는 단계 (죄를 멀리하는 생활)
쾌락의 강도를 조금씩 줄여나가야 한다.
이타적인 삶을 꾸려나간다.
영적인 만족감을 얻음으로써 마음의 자유를 느끼게 된다.
→ 전형적 기독교인의 신앙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삶. ex) 록펠러 어머니의 유언
▶ 기독교인은 죄를 짓지 않는 것으로만 만족해서는 안 된다.
이웃과 화목하고 그들을 돕고 사랑하면서 사는 삶을 살며 성경말씀을 실천해야 한다.
ex) 십일조
3. 성경에 나타난 도덕적 삶의 내용
1) 성경의 구절 → 도덕 교육에 큰 영향을 준다.
근본적인 삶의 자세
- 골로새서 3장 2절 “위의 것을 생각하고 땅의 것을 생각하지 말라”
- 데살로니가 전서 5장 22절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사랑(기독교의 최고 덕목)의 실현: 육체의 일 vs 성령의 일
(인간이 해서는 안 될 일 vs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할 일)
- 갈라디아서 5장 16~24절 “육체의 일은 분명하니 곧 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
우상숭배와 주술과 원수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냄과 당 짓는 것과 분열함과
이단과 중략 이런 일을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것이요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중략”
★ 기독교의 사랑이 정의를 무시하고 감싸는 것만은 아니다. 사랑은 바르게 인도하는 것!
→ 이와 같이 기독교에서의 사랑은 완전한 윤리를 포함한다.
생활에서 실천하는 도덕
- 솔로몬의 잠언: 유태인들처럼 학생들도 잠언을 늘 암송하여 생활에 반영해야 한다.
2) 이 외에도 성경은 도덕교육에 필요한 많은 교훈들을 담고 있다.
- 교과 속에 들어있는 하늘의 명령 학생들이 파악하게 번역
- 교과 교재에 내재된 하늘의 명령 학생들의 마음속에서 되살려 이것이 학생들의 한 부분 이 되도록 만듦
4) 학교 도덕교육의 지향점: 학생들이 도덕적으로 완성된 사람이 되도록 마음의 핵심부를 보다 크고, 아름답게 만드는 노력
Ⅳ. 기독교 사상과 도덕교육
1. 기독교 신앙과 도덕교육
기독교 사상
일반적인 윤리종교이론
나는 개선의 대상이 아니라 버려야할 대상,
(자기부정) 그 빈자리에 예수의 영을 받아들여 성령이 나 대신 살아가게 한다.
부족한 나를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점차 완전한 인간에 접근시켜 나가는 것.
(각 종교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모델 有)
1) 도덕교육 방법의 차이
2) 이성의 한계와 신앙
이성의 한계: 이성은 인간의 감성을 바로잡아주지만 이는 지적 능력에서만 가능하다. 즉, 인간의 지적 능력을 초과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 신앙으로 해결
신앙: 인간이 신성을 받아들이는 행위.
이성보다 더 우수한 완전무결한 능력이 바로 신성이다.
3) 기독교적 방식에서의 도덕적 삶
죄를 떠나서 살기
- 자신이 과거에 지은 죄를 뉘우친다.
- 신의 뜻인 성경의 기록에 따라 살아가는 기도를 한다.
성령의 충만함
- 기도와 성경 말씀의 묵상과 이웃에게 베푸는 이타적 사랑을 통해
신령한 마음을 얻는다.
▶ 계속적인 성령 충만함을 통해 죄가 마음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도덕적 삶을 살기
2. 기독교 사상과 학교 도덕교육의 방법
1) 죄의 특성 → 각 학년별로 짓기 쉬운 죄를 찾아보고 결과를 분석하기
☜ 인간의 모든 도덕적 문제에는 ‘죄’가 관여한다. 왼쪽 그림에서
우리에게 드러난 하늘색 부분이 빙산의 일각인 것처럼, 죄는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다가 아니다.
처음에는 죄가 죄인 줄을 알지만 중독되면 그 잘못을 망각하게 된다.
인간을 나태하게 만들고 파괴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개인과 사회를 파괴시킨다.
2) 쾌락 중심의 삶에서 벗어나는 단계 (죄를 멀리하는 생활)
쾌락의 강도를 조금씩 줄여나가야 한다.
이타적인 삶을 꾸려나간다.
영적인 만족감을 얻음으로써 마음의 자유를 느끼게 된다.
→ 전형적 기독교인의 신앙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삶. ex) 록펠러 어머니의 유언
▶ 기독교인은 죄를 짓지 않는 것으로만 만족해서는 안 된다.
이웃과 화목하고 그들을 돕고 사랑하면서 사는 삶을 살며 성경말씀을 실천해야 한다.
ex) 십일조
3. 성경에 나타난 도덕적 삶의 내용
1) 성경의 구절 → 도덕 교육에 큰 영향을 준다.
근본적인 삶의 자세
- 골로새서 3장 2절 “위의 것을 생각하고 땅의 것을 생각하지 말라”
- 데살로니가 전서 5장 22절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사랑(기독교의 최고 덕목)의 실현: 육체의 일 vs 성령의 일
(인간이 해서는 안 될 일 vs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할 일)
- 갈라디아서 5장 16~24절 “육체의 일은 분명하니 곧 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
우상숭배와 주술과 원수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냄과 당 짓는 것과 분열함과
이단과 중략 이런 일을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것이요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중략”
★ 기독교의 사랑이 정의를 무시하고 감싸는 것만은 아니다. 사랑은 바르게 인도하는 것!
→ 이와 같이 기독교에서의 사랑은 완전한 윤리를 포함한다.
생활에서 실천하는 도덕
- 솔로몬의 잠언: 유태인들처럼 학생들도 잠언을 늘 암송하여 생활에 반영해야 한다.
2) 이 외에도 성경은 도덕교육에 필요한 많은 교훈들을 담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