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색조의 매력을 가진 공리주의 - 공리주의의 필요성 - 사례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팔색조의 매력을 가진 공리주의 - 공리주의의 필요성 - 사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공리주의자는 돈을 빌려준 사람이 그 사실을 잊었으며 또한 그것을 결코 기억해내지 못하리라고 확신하는 경우, 빌린 돈을 되갚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공돈이 생긴 데서 비롯되는 빌린 사람의 증대된 행복은 다른 사람을 속인 데서 느끼는 스스로의 불편한 마음을 족히 능가할 것이다. 그리고 아마도 빌려준 사람은 그 빚에 대해 잊었기 때문에 전혀 불행하지 않을지 모른다.
이러한 점에서 공리주의는 사적 도덕의 기초는 될 수 있어도 공적 도덕의 기초는 될 수 없다. 이 경우 공리주의는 내게는 좋은 결과를 낳지만, 남에게는 나쁜 결과는 낳는 행위를 정당화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곧 공리주의는 도덕적 의무에 대한 일반적인 판단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4. 정리
공리주의를 보면 동전의 양면이 생각난다. 개개인의 이기심을 충족하면서 사회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정말로 가능할 것일까?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공리주의는 이상주의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가지 난점에 부딪히고 통상적인 도덕의 모습과 구별되는 측면도 있긴 하지만, 현재 세계의 주요흐름에는 공리주의가 자리잡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뜻은 다시 말하자면 많은 사람들이 공리주의의 독특한 매력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 된다. 인간 개개인의 이기심을 억지로 순수하게 포장하려는 것이 아닌 오히려 그러한 이기심이 당연하고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는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거리낌 없이 보여주는 공리주의.... 그동안 인간의 본성은 순수하고 선한존재일 것이라며 인간의 본성을 포장(?)하기에 급급했던 다른 이론들과 달리 전면적으로 날카롭게 인간의 본성을 꽤뚫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거부감이 들기도 하겠지만 오히려 나는 공리주의의 이러한 점에서 끌렸었던 것 같다. 속 시원하게 설명을 하고 있는 느낌이랄까?? 하지만 이번 보고서를 하고 여러 가지 사례를 살펴보면서 공리주의가 내가 생각했던 만큼 완벽한 이상적인 형상을 하고 있지만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만약에 그들의 이론적인 부분만을 따르는 사회가 있을 경우에 그 사회가 과연 도덕적인 사회가 될 것인가에 대해 많은 의구심이 든다. 어떠한 상황에서 누구나 비도덕적이다 라고 생각하는 부분에 공리주의가 도덕적이다 라고 하는 것은 분명히 이론에 결정적 문제가 있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벤담과 밀도 우리와 똑같은 사람인만큼 그들의 이론도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리주의에 대한 보고서를 쓰기 전에 공리주의의 밝은 모습만을 관찰했던 내가 이전의 나라면 보고서를 쓴 후 어두운 모습까지 발견 하게 된 것이 현재의 나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나는 내가 사고적으로 많이 발전을 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점으로만 보았을 때도 나는 충분히 공리주의에서 말하는 질적 쾌락을 획득한 것이라 행각한다.
한마디로, 내가 보낸 시간은 고통의 시간이 아닌 행복을 위한 쾌락의 시간이였다는 것이다.
* 출저
-네이버 블로그, 백과사전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0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