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A. 의사소통
I. 비효과적인 의사소통
II. 효과적인 의사소통
1. 나-메시지 기법
2. 경청
B. 직장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C. 치매노인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I. 치매노인과의 의사소통 기본 원칙
II. 치매노인과의 의사소통문제 해결하기
D. 부모-자녀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 참고문헌
A. 의사소통
I. 비효과적인 의사소통
II. 효과적인 의사소통
1. 나-메시지 기법
2. 경청
B. 직장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C. 치매노인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I. 치매노인과의 의사소통 기본 원칙
II. 치매노인과의 의사소통문제 해결하기
D. 부모-자녀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넷째, 치매노인의 언어전달속도에 맞춘다. 다섯째, 반복설명을 한다. 여섯째, 어린아이 대하듯 하지 않는다. 일곱째, 치매노인을 인격적으로 대한다. 여덟째, 간단한 단어 및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하도록 한다. 아홉째, 치매노인에게는 한 번에 한 가지씩 일을 하도록 요구한다. 열째, 가까운 곳에서 얼굴을 마주보고 말한다. 열한째, 항상 현실을 알려주도록 한다. 열둘째, 일상적인 어취를 사용한다. 열셋째, 과거를 회상하도록 한다.
II. 치매노인과의 의사소통문제 해결하기
치매노인과 생활하면서 다음과 같은 경우가 발생한다. 계속 반복하여 같은 질문을 하는 경우에는 몇 번이라도 느긋하게 웃으면서 대답한다. 옆집에 가서 자신의 집이니 나가라고 소리치는 경우에는 옆집 사람에게 미리 사정을 이야기하고 양해를 구한다. 그리고 치매노인의 가족을 불러온다. 쉬운 말을 해도 이해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포기하지 말고 천천히, 반복해서 잘 이야기한다. 이때 차분하게 설명하면 상대가 알아듣는 경우가 있다. 손짓과 몸짓을 함께 사용한다. 자신의 의사를 말로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최대한 짧고 간단하게 이야기한다. 그리고 노인의 말에 적절히 응대해야 한다. 한밤중에 큰소리로 불월요한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는 밝은 장소로 옮겨 '이야기를 해서 피곤하시죠.'라고 언급하면서 차를 드린다.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말하는 경우에는 '많이 힘드시죠.'라고 말하며 치매노인의 이야기를 관심 있게 듣는다. 그리고 주위 사람들이 자신에게 욕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이것 좀 드실래요? '라고 간식을 권하면서 말을 시키고 '죄송해요. 시끄러우셨죠?', '작은 소리로 이야기할게요.'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함께 사는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절대 부정하지 말고 노인의 말에 맞추도록 한다.
D. 부모-자녀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최근 밥상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만큼 부모와 자녀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밥상문화를 함께 공유하면서 예절을 배우고 서로의 생각을 전달하면서 가족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이때에도 중요한 것은 '소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가 서로를 신뢰하고 믿음으로써 존중하는 상황에서 대화가 진행될 수 있다. 부모는 자녀와 대화할 때 진심으로 경청하고 이야기를 나눠야 한다. 자녀의 친구와 학교생활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고, 자녀훈육 시에는 훈육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 주어야 한다. 무엇인가 하지 말라는 말보다는 무엇인가 행할 수 있는 그들에게 기회를 주는 말을 사용한다. 대화는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감정에 치우친 말은 삼간다. 자녀가 잘하는 것에 대해 의미 있는 칭찬을 하고, 못하는 것과 잘못한 것에 대해서 지적하는 말은 주의한다. 자녀는 부모와 대화할 때 경청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 고민이 있으면 부모에게 말하는 습관을 가져본다. 부모는 자녀에 대한 걱정이 많고 자녀의 미래에 대해 항상 생각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대화를 나눈다. 부모와 자녀는 서로의 입장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II. 치매노인과의 의사소통문제 해결하기
치매노인과 생활하면서 다음과 같은 경우가 발생한다. 계속 반복하여 같은 질문을 하는 경우에는 몇 번이라도 느긋하게 웃으면서 대답한다. 옆집에 가서 자신의 집이니 나가라고 소리치는 경우에는 옆집 사람에게 미리 사정을 이야기하고 양해를 구한다. 그리고 치매노인의 가족을 불러온다. 쉬운 말을 해도 이해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포기하지 말고 천천히, 반복해서 잘 이야기한다. 이때 차분하게 설명하면 상대가 알아듣는 경우가 있다. 손짓과 몸짓을 함께 사용한다. 자신의 의사를 말로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최대한 짧고 간단하게 이야기한다. 그리고 노인의 말에 적절히 응대해야 한다. 한밤중에 큰소리로 불월요한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는 밝은 장소로 옮겨 '이야기를 해서 피곤하시죠.'라고 언급하면서 차를 드린다.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말하는 경우에는 '많이 힘드시죠.'라고 말하며 치매노인의 이야기를 관심 있게 듣는다. 그리고 주위 사람들이 자신에게 욕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이것 좀 드실래요? '라고 간식을 권하면서 말을 시키고 '죄송해요. 시끄러우셨죠?', '작은 소리로 이야기할게요.'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함께 사는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절대 부정하지 말고 노인의 말에 맞추도록 한다.
D. 부모-자녀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최근 밥상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만큼 부모와 자녀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밥상문화를 함께 공유하면서 예절을 배우고 서로의 생각을 전달하면서 가족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이때에도 중요한 것은 '소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가 서로를 신뢰하고 믿음으로써 존중하는 상황에서 대화가 진행될 수 있다. 부모는 자녀와 대화할 때 진심으로 경청하고 이야기를 나눠야 한다. 자녀의 친구와 학교생활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고, 자녀훈육 시에는 훈육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 주어야 한다. 무엇인가 하지 말라는 말보다는 무엇인가 행할 수 있는 그들에게 기회를 주는 말을 사용한다. 대화는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감정에 치우친 말은 삼간다. 자녀가 잘하는 것에 대해 의미 있는 칭찬을 하고, 못하는 것과 잘못한 것에 대해서 지적하는 말은 주의한다. 자녀는 부모와 대화할 때 경청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 고민이 있으면 부모에게 말하는 습관을 가져본다. 부모는 자녀에 대한 걱정이 많고 자녀의 미래에 대해 항상 생각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대화를 나눈다. 부모와 자녀는 서로의 입장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