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울로 프레이리의 생애
2. ‘자유의 교육학’은 무엇을 담고 있는가. 그리고 나의 생각은?
3. 대한민국 교육 현실에 비추어 봤을 때는 어떠한가? 그리고 나는 어떻게 교사교육이론으로 받아들이고 활용해야 한가?
4. 끝내며
2. ‘자유의 교육학’은 무엇을 담고 있는가. 그리고 나의 생각은?
3. 대한민국 교육 현실에 비추어 봤을 때는 어떠한가? 그리고 나는 어떻게 교사교육이론으로 받아들이고 활용해야 한가?
4. 끝내며
본문내용
나 자료를 주며 토론을 진행시켜 볼 수 있다. 담임으로서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가정의 자녀학생에게 학교에서 지원할 수 있는 장학금과 같은 제도를 최대한 찾아줄 수 도 있다.
이렇게 구조적으로 불가능 한 부분과 달리 개인적 재량으로 도입 가능한 부분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교사 스스로 현재 도입되어 있는 교사평가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반성을 하고 학습 내용과 태도를 교정할 수 있다. 현재의 한국 교육제도는 ‘올바른 사고’를 심어주는 것을 중점으로 둘 수는 없지만 교사평가시스템을 비롯한 학생으로부터의 피드백과 스스로의 교정을 통하여 주입식 교육제도 내에서도 ‘올바른 사고’를 할 수 있는 학습 형태를 만들어 내어 그 능력을 훈련시킬 수 있다.
4. 끝내며
언제나 교육학 책을 펼쳐 볼 때마다 느끼는 점은 ‘한국의 교육제도와는 너무 다르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자유의 교육학’을 볼 때에는 똑같은 생각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과연 내가 이것을 숙명론과 같이 포기하고 개선할 생각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닐까?’, ‘나는 반성을 통하여 ’올바른 사고‘를 하고 있는 것일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파울로 프레이리의 환경과 내가 자란 환경이 다른 만큼 그의 주장 중 내 의견과는 크게 다른 점도 존재하였으나 이 또한 상대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올바는 사고’의 한 단계라고 생각이 들자 이 마저도 즐거웠다. 개인적으로 루소의 에밀 이후로 가장 흥미롭게 봤던 교육학이었다. 교육 자체의 철학만을 다룬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에 대한 인간 본류의 철학을 가지고 서술하였기에 더욱 맘에 들었던 내용이었다.
이렇게 구조적으로 불가능 한 부분과 달리 개인적 재량으로 도입 가능한 부분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교사 스스로 현재 도입되어 있는 교사평가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반성을 하고 학습 내용과 태도를 교정할 수 있다. 현재의 한국 교육제도는 ‘올바른 사고’를 심어주는 것을 중점으로 둘 수는 없지만 교사평가시스템을 비롯한 학생으로부터의 피드백과 스스로의 교정을 통하여 주입식 교육제도 내에서도 ‘올바른 사고’를 할 수 있는 학습 형태를 만들어 내어 그 능력을 훈련시킬 수 있다.
4. 끝내며
언제나 교육학 책을 펼쳐 볼 때마다 느끼는 점은 ‘한국의 교육제도와는 너무 다르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자유의 교육학’을 볼 때에는 똑같은 생각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과연 내가 이것을 숙명론과 같이 포기하고 개선할 생각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닐까?’, ‘나는 반성을 통하여 ’올바른 사고‘를 하고 있는 것일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파울로 프레이리의 환경과 내가 자란 환경이 다른 만큼 그의 주장 중 내 의견과는 크게 다른 점도 존재하였으나 이 또한 상대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올바는 사고’의 한 단계라고 생각이 들자 이 마저도 즐거웠다. 개인적으로 루소의 에밀 이후로 가장 흥미롭게 봤던 교육학이었다. 교육 자체의 철학만을 다룬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에 대한 인간 본류의 철학을 가지고 서술하였기에 더욱 맘에 들었던 내용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