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9~11.13)
② 개설신문학사(조선일보 1939. 9.2~11.25)
③ 신문학사(조선일보 1939. 12.5~12.27)
④ 조선문학 연구의 일 과제(동아일보 1940. 1.13~1.20)
⑤ 속신문학사(조선일보 1940. 2.2~5.10)
이 중에서 ④ 「조선문학 연구의 일 과제」에는 임화의 신문학사 방법론이 실려 있고(대상, 토대, 환경, 전통, 양식, 정신의 여섯 항목으로 서술 대상: 조선의 근대문학, 근대정신을 내용으로 하고, 서구문학의 장르를 형식으로 한 조선의 문학.
토대: 새로운 시대정신 즉 봉건적 사회관계의 와해와 시민적 사회관계의 형성을 뜻하는 근대정신.
환경: 인접한 외국문학.
전통: 우리 고유의 문화 유산을 토대로 외래 문화 수용.
양식: 그 시대인의 고유한 체험과 생활에서 형성된 시대정신.
), 나머지는 신문학의 어의부터 근대화, 신소설까지의 실제 문학사를 서술한 것이다.
임화가 말하는 신문학이란, ‘새 현실을 새 사상의 견지에서 엄숙하게 순 예술적으로 언문일치의 조선어로 쓴, 바꾸어 말하면 내용·형식 함께 서구적 형태를 갖춘 문학’이다.
이와 함께 신문학사는 조선에 있어서 ‘서구적 문학의 이식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때문에 이식문학론 임화는 근대문학사 서술에서 이른바 이식문학론을 주장했다. 임화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신문학이 서국적인 문학 장르를 채용하면서 형성되었고 문학사의 모든 시대가 외국문화의 자극과 영향과 모방으로 일관되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만큼 신문학사란 이식문화의 역사이다.”
, 전통단절론, 주체성 망각론 등으로 비난하기도 한다.
그러나 「조선문학 연구의 일 과제」를 잘 살펴보면 ‘문학의 이식, 외국문학의 수입은 이미 일정 한도로 축적된 자기 문화의 유산을 토대로 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하면서 ‘문화이식이 고도화되면 될수록 반대로 문화창조가 내부로부터 성숙한다’고 하여 고유문화가 이식문화를 받아들여 그 모습을 변화해 가는 것이 바로 신문학이라는 점에서 위와 같은 비난은 잘못된 것임을 알 수 있다.
3. 문학사적 의의
1) 단편서사시를 창작함으로써 시에 서사성을 도입하여 시적 리얼리즘을 성취했고, 이후 이용악과 백석의 시에 영향을 미친다.
2) 『신문학사』 를 통해 우리 근대문학의 서술방법을 정립했다.
3) 해방이후 <조선문학건설본부>에서 <조선문학가동맹>에 이르는 단체를 결성하여 카프계열뿐만 아니라 구인회 계열도 끌어들여 함께 민족문학을 내세웠다.
② 개설신문학사(조선일보 1939. 9.2~11.25)
③ 신문학사(조선일보 1939. 12.5~12.27)
④ 조선문학 연구의 일 과제(동아일보 1940. 1.13~1.20)
⑤ 속신문학사(조선일보 1940. 2.2~5.10)
이 중에서 ④ 「조선문학 연구의 일 과제」에는 임화의 신문학사 방법론이 실려 있고(대상, 토대, 환경, 전통, 양식, 정신의 여섯 항목으로 서술 대상: 조선의 근대문학, 근대정신을 내용으로 하고, 서구문학의 장르를 형식으로 한 조선의 문학.
토대: 새로운 시대정신 즉 봉건적 사회관계의 와해와 시민적 사회관계의 형성을 뜻하는 근대정신.
환경: 인접한 외국문학.
전통: 우리 고유의 문화 유산을 토대로 외래 문화 수용.
양식: 그 시대인의 고유한 체험과 생활에서 형성된 시대정신.
), 나머지는 신문학의 어의부터 근대화, 신소설까지의 실제 문학사를 서술한 것이다.
임화가 말하는 신문학이란, ‘새 현실을 새 사상의 견지에서 엄숙하게 순 예술적으로 언문일치의 조선어로 쓴, 바꾸어 말하면 내용·형식 함께 서구적 형태를 갖춘 문학’이다.
이와 함께 신문학사는 조선에 있어서 ‘서구적 문학의 이식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때문에 이식문학론 임화는 근대문학사 서술에서 이른바 이식문학론을 주장했다. 임화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신문학이 서국적인 문학 장르를 채용하면서 형성되었고 문학사의 모든 시대가 외국문화의 자극과 영향과 모방으로 일관되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만큼 신문학사란 이식문화의 역사이다.”
, 전통단절론, 주체성 망각론 등으로 비난하기도 한다.
그러나 「조선문학 연구의 일 과제」를 잘 살펴보면 ‘문학의 이식, 외국문학의 수입은 이미 일정 한도로 축적된 자기 문화의 유산을 토대로 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하면서 ‘문화이식이 고도화되면 될수록 반대로 문화창조가 내부로부터 성숙한다’고 하여 고유문화가 이식문화를 받아들여 그 모습을 변화해 가는 것이 바로 신문학이라는 점에서 위와 같은 비난은 잘못된 것임을 알 수 있다.
3. 문학사적 의의
1) 단편서사시를 창작함으로써 시에 서사성을 도입하여 시적 리얼리즘을 성취했고, 이후 이용악과 백석의 시에 영향을 미친다.
2) 『신문학사』 를 통해 우리 근대문학의 서술방법을 정립했다.
3) 해방이후 <조선문학건설본부>에서 <조선문학가동맹>에 이르는 단체를 결성하여 카프계열뿐만 아니라 구인회 계열도 끌어들여 함께 민족문학을 내세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