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자연 흡인 배액 적응증과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종 자연 흡인 배액 적응증과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취하게 한다. 이 자세는 배액 및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3) 배액을 향상시키고 분비물의 축적 및 폐의 재팽창을 방해하는 늑막강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도록 격려한다.
4) 자주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한다. 이 때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흉관 삽입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지지한다. 심호흡과 기침은 늑막내 압력을 증가시켜 배액을 촉진하고 기관내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폐의 재팽창을 돕는다.
5) 어깨의 강직을 예방하고 시술 후 통증과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부쪽의 팔과 어깨의 관절범위 운동을 격려한다.
6) 배액체계는 가슴 아래로 유지하도록 하며, 중력을 이용한 배액을 용이하게 하고 배액의 역류를 막아 잠재적 늑막내 감염을 방지하게 한다.
7) 통증 완화를 위해 처방된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참고문헌
· 변영순 외(2015), 기본간호학, 계축문화사, 699쪽
· 서울대학교병원 편(2003), 간호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11쪽
· 모리미나 네지코(2011), 만화로 배우는 알기 쉬운 간호술기, 도서출판 하누리, 185-197쪽
· 김금순 외(2004). 중환자간호, 군자출판사, 116쪽, 163-168쪽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9.04.0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