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기본간호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흡인간호 Suction

2. Oxygen therapy 산소요법

3. 각종 호흡장비 관리시 주의점

4. 배액간호

본문내용

e bottle은 배액병이 중력에 따라 물에 잠긴 tube의 물기둥 높이가 높아지고, 높을수록 물기둥을 내리는데 필요한 압력이 높아져 늑막강에서 공기 또는 체액을 몰라내기 이해 더 높은 압력이 필요해 그만큼 환자가 힘들어 지나 이 system은 배액병과 밀봉병을 분리하므로 문제점이 해결된다.
Three bottle chest drainge system
물 속에 잠긴 흡인 조절 tube의 깊이가 drainge system 안의 압력의 양을 조절한다.
장점 : suction power가 직접 환자에게 주는 영향이 적다.
세 병을 통과하므로 안정성이 높다.
배액량 측정과 특성의 관찰이 용이하다.
공기가 많이 유출되는 환자는 혈액과 공기가 거품을 이루면서 흡인병으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적용 : 이용한 배액이 폐의 재팽창을 충분하게 시티지 못하거나 늑막강의 내용물을 배출시티지 못할 때
환자가 너무 약해서 늑막강내 공기와 체액을 제거하기 위한 기침이나 호흡을 충분히 하지 못할 때
농흉 치료시, 배액병이 미처 빼낼 수 없을 만큼 빠르게 공기의 유출이 있을 때
chest tube관리는 밖으로 나온 tip은 병속 fluid에 2~3cm 잠기게 하고, 항상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하며, tube가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어느 경우에도 tube의 clamping은 금기이다.
Chest tube의 삽입법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튜브를 삽입할 경우는 앙와위를 취해주고 공기는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2~5번째 늑간 전 중앙쇄골선에 튜브를 삽입한다.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튜브를 삽입할 경우는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하고 체액이 모이는 6~8번째 늑간 중앙액와선에 튜브를 삽입한다. 대상자가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할 수 없으면 침범 된 쪽이 위로 가게 한 쪽으로 눕힌다.
Chest tube관리에 있어서 매일 체크해야할 사항
- 배액량
- 공기 유출 유무
- 흉관 개방성 유무
- 흉부방사선 사진 : 흉관의 위치, 폐확장 유무, 무기폐의 유무, 사공간의 유무, 늑막액 잔류유무
Chest tube의 관리
- 밖으로 나온 tip은 병 속 fluid에 2~3cm 잠기도록 한다. (환자와 bottle 사이의 거리는 50cm)
- Chest bottle은 항상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tube가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공기 유출이 있는 환자에서는 어느 경우에도 tube의 clamping은 금기이다. 또 tube내 fluid가 너무 많아 drain을 방해하지 않도록 bottle을 갈아주어야 한다.
- 매일 chest X-ray 추적 검사를 원칙으로 한다.
Chest tube의 제거
- Chest tube의 제거시는 흉관을 통한 공기유출이 없고 하루 24시간 동안 배액된 양이 100cc이하이고, 흉부방사선 소견 상 폐가 완전히 확장되어 있으며 늑막액이 잔존하지 않을 때 제거한다.
- Chest tube를 뽑을 때는 흉관을 clamping하고 suction을 제거한 후 valsava maneuver를 하는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뽑는다.
- Chest tube를 제거한 후에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occulsive dressing을 48시간 동안 유지한다.
suction 기구
① suction regulator
사용목적
0~200mmHg의 압력 범위에서 일반적인 흡인을 위해서 사용한다.
사용방법
1. Suction regulator에 Filter/Trap과 Suction drainage bottle을 연결한다.
2. 환자에게로 가는 tube를 drainage병에 연결한다.
3. Wall suction에 suction regulator와 bottle을 연결한다.
4. ON 상태로 켠 후 regulator가 unlock인 상태에서 regulator를 돌려 계측기의 필요한 압력 게이지를 맞춘 후 필요한 흡인을 한다. 이때 regulator의 압력을 고정하고 싶으면 필요한 압력을 맞춘 후 안전자물쇠를 Lock 상태로 돌려 잠그면 된다.
주의사항
-압력을 맞춘 후에도 흡인이 잘되지 않을 때에는 suction bottle의 rubber packing이 잘 되어 있는지 또는 찌꺼기가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소아환자의 suction 시행 시에는 높은 압력을 적용해 손상이 가는 일이 없도록 계측기의 압력을 잘 확인한다.
장비관리
-Regulator는 빨려 나온 물질로 인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세척과 손질이 필요하다. (압력을 최하로 내린 상태에서 regulator를 분해한 후 연성세제로 닦는다. 물로 잘 헹군 후 철저히 말린다.)
-사용한 bottle은 세척기로 씻은 후 소독액에 1~2시간 담그었다가 헹구어 건조시킨다.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절 부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돌린 후 보관한다.
② Gomco suction
사용목적
-위의 팽만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위장관 폐쇄 환자의 위의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위 수술 전의 청결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수술 후 혈액 제거를 하기 위함이다.
사용방법
-전원을 연결한다.
-배액 튜브를 수집병의 튜브에 연결한다.
-수집병의 입구가 병마개로 꽉 막혀 있는지 확인한다.
-기계 앞면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90mmHg(Low)와 120mmHg(High)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위치를 누른다.
-ON 스위치를 누르면 light가 켜지면서 작동이 시작된다. 이 조작 후 4~5분 후에 공기가 빠지게 되면서 배액이 시작된다. 작동하는 동안 light는 5초 동안 불이 들어오고 18초 동안 꺼져 있게 된다.
주의사항
-suction 시작 이후 환자 상태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기록한다.
-배액량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색깔, 양상, 냄새 등을 기록한다.
-수집병은 limit line의 눈금을 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위의 흡인을 할 때에는 구강 및 코 간호를 요하며, 입이나 콧속의 갈라짐, 건조 또는 감염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환자 쪽 배액 튜브의 끝에 반창고를 붙인 뒤 안전핀으로 환의에 여유있게 고정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4.2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