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호흡기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공호흡기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ventilator의 적응증
ventilator settin
기계적 인공호흡기의 형태
ventilator의 mode
인공호흡기 사용에 따른 생리적 변화와 합병증
인공호흡기 사용환자의 간호

본문내용

ff pressure : 18mmHg)
inflation후에도 계속 새면 e-tube를 교환한다.
reintubation 준비한다.
reintubation 전까지 airway를 깨끗이 하고 100% 산소를 공급 한다.
* low minute volume : e-tube cuff leake-tube 위치 patient breathing간호중재 SaO2, ABGA을 F/U 한다.
Apnea weaning기 동안 환자에게 자극을 준다.
V/S, SaO2, ABGA 조사후 의사에게 알리고 setting을 조정한 다.
7. 인공호흡기 weaning
이탈이란 기계적 환기 지지를 서서히 떼는 것이다. 성공적인 이탈은 환자 상태와 심혈관 및 호흡기계통의 상태에 달려 있다. 짧은 기간동안 기계적 환기를 한 환자에서는 환기 지지를 중단하는 방식이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호흡기능이 좋지 않거나 만성 기저폐질환이 있거나 호흡기계통 손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환자들에서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하여 이탈의 방법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질병경과중 너무 빨리 기계적 환기를 줄이면 만성호흡근피로를 가져올 수 있다. 기계적환기를 오랜동안 하면 호흡근의 불사용위축을 가져오고 인공호흡기의존을 연장시킨다.
1) weaning의 criteria
① 환자의 의식수준 : awake, alert, cooperative
② FiO2 < 50%에서 PaO2 > 60mmHg
③ PEEP ≤ 5cmH2O
④ PaCO2 and pH acceptable
⑤ spontaneous tidal volume > 5ml/kg
⑥ 폐활량 > 10ml/kg
⑦ 분당환기량 < 10L/min
⑧ 최대 자발 호흡이 분당 환기량의 두배
⑨ 최고흡기음압 > -25cmH2O
⑩ 호흡수 < 30회/분
⑪ static compliance > 30ml/cmH2O
2) weaning methods
① IMV기술
인공호흡기의 호흡수를 서서히 줄이므로써 기계적 환기로부터 자발호흡으로 변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인공호흡기의 호흡수를 충분하지 않게 적게 변화시키면 이탈과정이 길어진다. 작은 호흡수(<6회/분)에서 오래동안 두면 저항이 큰 인공호흡기 회로를 통한 호흡일이 더하여지기 때문에 호흡근피로를 촉진한다. IMV에 의한 이탈과정 둥 생기는 빈호흡은 호흡부전의 지속이 아니라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내튜브에 의하여 부가된 호흡일과 연관된 문제일 수가 많다. 이런 문제가 의심되는 상황에서는 발관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
SIMV rate 8회/분으로 시작한다.
tidal volume은 10ml/kg로 맞춘다. FiO2는 10% 올리도록 한다. SIMV를 건후 30분, 60분에 ABGA 한후 ABGA가 나쁘면 rate를 10회, 12회 등으로 ABGA가 좋아질 때까지 올린다.
② T-tube 기술
기계적 환기지지 기간과 T-튜브(혹은 다른 continous flow circuit)를 통한 지지받지 않는 자발호흡 기간을 섞는 것이다. 처음에는 낮시간에 짧은 시간(5-15분 동안, 1일 2-6회) 사용하고 지속시간과 빈도를 점차 증가시킨다. 이 기간동안 작은양의 CPAP(3-5cmH2O)은 원위부 기도가 닫혀서 무기폐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으나 이탈 성공에는 그 효과가 무시할 정도이다
. IMV 이탈에서와 비슷하게 작은양의 압력지지(4-8cmH2O)를 인공호흡기 회로와 기관태 튜브에 의하여 부가된 흡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관은 환자가 30-90분 이상의 T-튜브 환기를 편안하게 견딜 때 한다. 그보다 더 오랜 동안 T-튜브 호흡을 하면 호흡근 피로를 가져올 수 있는데 특히 작은 내경(즉 < 8mm)의 기관내 튜브를 사용할 때 그렇다.
③ PSV
호흡근피로가 이탈 성공을 저해할 것으로 보일 때 선호된다. PSV는 기관내 튜브와 인공호흡기 회로를 통한 호흡일을 줄여준다. 최적의 PSV 수준은 15-20cmH2O의 기본 수준에서 3-5cmH2O씩 증가시키면서 선택한다. 호흡수가 줄면서 10-12ml/kg의 일호흡량이 얻어지면 최적 PSV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환자가 이탈을 할 수 있을 상황이 되면 3-5cmH2O씩 PSV 수준은 점차 줄인다. 5-8cmH2O의 PSV 수준에 도달하면 더 이상 줄이지 않고 발관을 할 수 있다.
3) weaning failure의 원인
① 상기도 폐쇄가 남아 있을 때 ② 분비물이 많을 때
③ aspiration이 지속될 때 ④ respiratory drive가 지속될 때
4) weaning을 중단해야 하는 criteria
① 의식상태 변화
② DBP > 100mmHg
③ SBP 20mmHg이상 저하
④ HR > 110 beats/min 혹은 본래보다 20 bpm이상 상승
⑤ RR> 30회 이상 혹은 본래보다 10회 이상 상승
⑥ Tidal volume < 250-300ml
⑦ PaCO2 8mmHg 상승
⑧ PVC > 6개/분
8. 발관
하루 중 일찍, 모든 보조 인력들이 있을 때 시행한다. 환자에게 발관절차, 기침을 할 필요성, 재삽관의 가능성 등을 명확하게 알려준다. 머리와 몸통을 30-45도 이상올리면 횡격막 기능이 더 나아진다. 재 삽관에 필요한 장비들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발관 당시의 수치보다 높은 FiO2의 습도가 높고 산소가 강화된 공기 source가 병상 곁에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커프 위의 환자의 기도와 구인두의 분비물을 흡인해 낸다. 커프의 공기를 완전히 빼낸다음 발관을 하고 안면 마스크를 통하여 습도가 높은 산소를 투여한다. 검사자가 환자의 활력징후와 협착음이 들리는지 상기도를 감시하는 사이 환자는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장려한다. 흡기시 협착음은 후두나 후두하부의 부종에서 기인한다. 환자 상태가 허락하면 2.5%분무 racemic epinephrine(0.5ml을 식염수 3ml에 희석)을 투여한다. 상기도 폐쇄가 지속하거나 악화되면 재삽관을 시행한다. 상기도폐쇄 때문에 재삽관을 한 경우 24-48시간 안에 발관을시도하지 않는다. 상기도 폐쇄의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하여 그리고 만약 상기도폐쇄가 지속할 경우 기관절개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이비인후과 자문을 하는 것이 좋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25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