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1] 전과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렴[1] 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연구의 필요성 -------------------------------- 3p
2) 문헌 고찰 ----------------------------------- 3p
- 아동의 신체사정
- 아동의간호중재
- 단계별 성장발달의 평균달성기준과
대상아동과의비교
-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아야할 제반지식

II. 본론

III. 결론 ---------------------------------------
- 연구 결과를 총정리
- 실습하면서 느낀점

IV.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로 제공
주사약 7mg
내복약 126mg
하루세끼 먹음
어머님이 하루 적어도
5컵 이상은 물을 먹인
다고함)
5) 어머니에게 열로 인하여 탈수가 발생할 수있으므로 아이에게 음료나 물을 자주 먹일 것을 교육한다.
6)V/S: 125/80
체온: 39°C,
호흡: 27회
맥박: 140회
7)WBC: WBC:7000/mm³
RBC: 5.18 10 6ul
ESR : 육안검사
3mm/hr
1-1)고열을 신속하게 교정하기 위함이다
1-2)아동이 자기의사를 표현할 수 있게 하고 존중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1-3)아동이 치료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2)미온수 목욕이나 젖은 수건으로 몸을 닦아줌으로 열을 떨어 뜨릴수 있다,
3) 체액이나 전해질 상태를 신속하게 보충해주기위해서 이용된다.
4)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함으로써 불균형상태를 파악하고, 기본자료를 완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5) 2~12세 사이의
어린이는 불균형에
대한 조절 능력이
불안하고, 성인에 비해 체온 상승의 정도와
기간이 길기 때문에
감지할수 없는 수분
소실이 증가할 수도
있으므로 수분 섭취를권장한다.
.6) 대상자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7) 대상자의 상태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
1-1) 체온:39°C→37.6° 로 교정되었다.
1-2)아동은 말성이다가 오른손에 맞겠다는 의사를 표현하였다.
1-3)아동이 해열제 복용을 받아들일 때까지 기다렸으나 계속 거부하여 부모의 도움으로 시럽을 먹었다.
2)아동은 체온은 고열에서 미열로 교정되었다.
3) IV주사를 맞을때
고통스러워 거부를
하지만 규칙적으로
수액을 투여한다.
4) I:2600
O:1800
로 측정된다.
5) “엄마,목말라”라는
말을 더 이상 하지
않았다.
어머님이 하루 적어
도 5컵 이상은 물을
먹인다고함.
6)V/S
체온:39°C→37.6°C
혈압:125→120mmHg
호흡: 27회→25회
맥박: 140→120회
7)WBC:7000/mm³
RBC: 5.18 10 6ul
ESR : 육안검사
3mm/hr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 낯선 환경과 관련된 수면장애
- 장기목표 :
환아는 퇴원전까지 수면장애를 호소하지 않는다..
- 단기목표 :
48시간 이내에 환아가 변화된 낯선 환경에서
적응을 할 수 있게 한다.
1)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2)수면시간을 편안하게 받아 들이도록 중재한다.
3) 낮 동안 활동 가능한 범위에서 운동하도록한다.
4)변화된 환경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한다.
1) 침상커튼을 이용하여 밝은 빛을 차단하고 병실의 부모님께 조용히 해달라고 양해를 부탁드렸다.
2)평소 아동이 좋아하던 장남감을 제공하여 편안함을 느낄수 있도록 하였다.
3) 낮 시간동안에 병동에
돌아다니게끔 활동을
지지해주었다.
4)그림그리기를 걱려하여 병원에서 받은 스트레와 긴장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1) 조명을 어둡게 하여
아늑한 분위기를 제공
하기 위함이다.
2)평소에 좋아하던 물건과 함께 함으로 긴장감이 완화된다.
3)밤에 취해야 할 수면을 낮에 취해 밤에
잠이 안 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4)감정을 표현함으로 불안감과 긴장감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1)수면분위기가 조성되자 아이는 잠시뒤 수면을 취하였다.
2)장남감을 안고 잠이들었다.
3) 아이가 pm.10시에
취침.
4)건강해서 퇴원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렸고 자신의 그림을 자랑하였다.
III. 결론
1. 연구 결과를 총정리
대상자는 남자 만4세 폐렴환자로 2011.5.27일 심한 고열과 기침의 증상으로 입원하였습니다. 과거에도 천식과 폐렴의 증사으로 수차례 병원에서 치료받은 적있고 최근 3일동안 발열과 기침양상이 지속되어 입원하게되었습니다. 입원당시 V/S은 P: 125/80 체온: 39°C, 호흡: 27회 맥박: 140회 으로 체크되었고 심한 가래석인 기침을 하고 있었습니다. 아동은 항상 가래가 끓었고 청진시에고 그렁거리는 소리와 함께 수포음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아동은 고열로 인하여 자주 칭얼거렸고 달라진 환경탓에 깊은수면에도 들지못해 전체적으로 항상피곤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얼굴은 푸석하고 입술은 말라있었으며 목말라 라는 말을 자주 했습니다. 따라서 간호진단을
1# 기도 분비물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4# 낯선 환경과 관련된 수면장애로 정하고 간호과정에 들어갔습니다.
첫째, 기도분비물을 줄이고 기도개방성을 유지하기위해 nebulizer를 Bid로 제공하였고 타진을 수시로 하였고 반좌위를 취해주었습니다. 수행의 결과로 기도분비물이 액화되어 배출하기가 훨씬 쉬워졌습니다.
둘째, 고체온을 조절하기위해 주사제와 해열제를 먹였고 미온수마사지를 실시하였습니다. 수행의 결과로 체온이 39.0도->37.6도로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셋째, 낮 동안의 활동을 늘리고 취침시간에 수면환경을 조절하였고 환아가 규칙적으로 잠자리에 드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느낀점
학교 다닐 때 실습했던 것과는 다르게 간호사과 되고나서 병원에 실습을 가게 되니 그전에는 눈에 보이지 않았던 병동의 전체적인 운영이 잘 보이게 되어 신기했습니다. “내가 벌서 병원의 모습에 익숙해졌구나,“ 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학점은행제가 끝나고 곧 웨이팅이 끝나서 병원에 들어가게 되는데 그 점을 생각하니 실습을 더 열심히 하고 많이 보려고 따라 다닌 것 같습니다.
IV.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Ⅱ(2008), 이향련 외, 수문사
- 기본간호학 Ⅰ,Ⅱ(2008), 변영순 외, 정담미디어
- 아동간호학Ⅱ(2007), 김희순 외, 수문사
- 아동간호학 총론(2006), 김영혜 외, 현문사
- 아동간호학 각론(2006), 김영혜 외, 현문사
- 간호진단과 계획(2001). 서울대학교병원 편. 서울대학교출판부
- 기본간호 중재와 수기, 임난영 외, 현문사,
- 기본간호실습, 김금순 외 서울대학교출판부,
- 간호사를 위한 몸/질병/검사/질환 이야기(2008),Gakken, 의학서원
- 간호사를 위한 핵심지침서(2008),,메디시언
- 간호사를 위한 임상약리학(개정7판 2007),Sally S. Roach E*PUBLIC
  • 가격2,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5.11.0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6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