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애도의식) - 우리나라 상례절차(한국 장례식 절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례(애도의식) - 우리나라 상례절차(한국 장례식 절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장례 : 애도의식

1. 임종
2. 수시
3. 발상
4. 부고
5. 염습
6.. 입관
7. 성복
8. 발인
9. 운구
10. 하관
11. 성분
12. 위령제
13. 삼우
14. 탈상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차례로 가로로 걸친다. 이때 상주는 '취토(取土)'를 세 번 외치면서 흙을 관 위에 세 번 뿌린다.
(11) 성분(成墳)
상주의 취토가 끝나면 석회와 흙을 섞어서 관을 완전히 및는다. 이때 발리 굳도록 물을 조금씩 끼 및고 발로 밟아 다진다. 평토를 한 다음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 봉분을 만들고 잔디를 입힌다. 지석은 평토가 끝난 뒤 무덤의 오른쪽 아래에 묻는다. 나중에 봉분이 허물어지더라도 누구의 묘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12) 위령제(慰靈祭)
성분이 끝나면 묘수 앞으로 여좌를 옮기고 간소하게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비는 제사를 지낸다. 화장을 했을 때에는 영좌를 유골함으로 대신하여 제사를 지낸다.
(13) 삼우
장례 후 3일째 되는 날에 첫 성묘를 하고 봉분이 잘되어 있는지를 살피고 간단한 제사를 올린다. 이를 삼우라 한다. 요즈음에는 초우와 재우를 생략한다.
(14) 탈상
상기가 끝나 복을 벗는 절차이다. 탈상은 부모, 조부모, 배우자의 경우 별세한 날로부터 100일까지이고 그 밖의 경우는 장례일까지이다. 이때 지내는 제사가 탈상제인데 제사 지내는 방법은 기제(忌祭)에 준한다.
*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노인발달 이해와 상담 : 김은혜 저 / 2012 / 북모아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 장휘숙 저 / 2012 / 박영사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4.03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