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에서 구체적 조작기의 특징
I. 탈중심화
II. 논리적 조작
1) 분류
2) 보존
3) 서열
III. 인간관계
IV. 공간개념
1) 수평개념
2) 수직개념
* 참고문헌
I. 탈중심화
II. 논리적 조작
1) 분류
2) 보존
3) 서열
III. 인간관계
IV. 공간개념
1) 수평개념
2) 수직개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러나 병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물의 수준을 병의 밑면과 평행한 선으로 나타낸다. 수면은 병의 밑면과 평행해 있어야 된다는 또 다른 특성에 얽매여 위치를 올바로 파악하지 못한다. 2단계 B에서는 수면이 병의 밑면과 평행하다는 관념은 벗어나면서 참조기준을 찾으려는 노력이 나타난다. 그러나 병의 구석이나 옆면을 참조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그림에서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아직도 수평의 개념이 완전하지 않다.
<그림> 수평, 수직개념 발달단계
제3단계(9-10세) : 이 단계도 두 개의 하위단계 A와 B로 나뉜다. 3단계 A에서는 참조기준의 탐색이 외부로 향하면서 수평개념이 점차 획득된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적인 반복을 통하여 수평축을 파악하게 된다.
3단계 B에 이르러 수평개념은 완전하게 되면서 아동은 병 밖의 책상 등의 외부 참조기준을 이용하여 수평축을 시행착오적인 시행 없이 바로 파악한다.
2) 수직개념
: Piaget는 수직개념 획득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아동 앞에 모래 산을 쌓아 마주하게 하고 산에 나무를 심었을 경우 어떤 형태로 나무들이 심어져야 하는가? 또는 빈병에 추를 매달 때 병을 여러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추의 위치를 예상하게 하는 것 등으로 수직개념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림> 진자(흔들이) 과제
제1단계 : 이 단계에서는 수직의 조정축에 대한 개념부족으로 물체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며 단지 산과 나무를 가깝게 그려 공간의 근접을 기초로 한 개념을 나타낸다. 실제로 나무는 산의 변을 따라 평행한 채로 누워 있거나 산을 배경으로 임의적인 방향으로 나타낸다.
제2단계 : 수평개념에서와 같이 수직개념에서도 2단계가 다시 두 개의 하위단계로 나누어진다. 2단계 A에서는 산의 경사면에 나무를 세우거나 그릴 때, 그리고 추의 방향을 예상할 때도 산에 수직선이 아니라 능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무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그린다. 2단계 B에 이르면 산에 수직으로 나무를 세울 수는 있으나 일단 그림으로 그려 보게 하면 산의 경사면에 수직이 되도록 그린다. 따라서 이 단계 아동은 그림에서는 외부 참조기준의 이용이 아직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제3단계 : 이 단계 역시 두 개의 하위단계로 나누어진다. 3단계 A에서는 시행착오적인 시행이 나타나나 수직개념이 점차 획득된다. 3단계 B에 이르러서야 수평개념에서와 같이 외부 참조기준을 시행착오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수직개념의 성숙된 이해가 나타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그림> 수평, 수직개념 발달단계
제3단계(9-10세) : 이 단계도 두 개의 하위단계 A와 B로 나뉜다. 3단계 A에서는 참조기준의 탐색이 외부로 향하면서 수평개념이 점차 획득된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적인 반복을 통하여 수평축을 파악하게 된다.
3단계 B에 이르러 수평개념은 완전하게 되면서 아동은 병 밖의 책상 등의 외부 참조기준을 이용하여 수평축을 시행착오적인 시행 없이 바로 파악한다.
2) 수직개념
: Piaget는 수직개념 획득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아동 앞에 모래 산을 쌓아 마주하게 하고 산에 나무를 심었을 경우 어떤 형태로 나무들이 심어져야 하는가? 또는 빈병에 추를 매달 때 병을 여러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추의 위치를 예상하게 하는 것 등으로 수직개념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림> 진자(흔들이) 과제
제1단계 : 이 단계에서는 수직의 조정축에 대한 개념부족으로 물체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며 단지 산과 나무를 가깝게 그려 공간의 근접을 기초로 한 개념을 나타낸다. 실제로 나무는 산의 변을 따라 평행한 채로 누워 있거나 산을 배경으로 임의적인 방향으로 나타낸다.
제2단계 : 수평개념에서와 같이 수직개념에서도 2단계가 다시 두 개의 하위단계로 나누어진다. 2단계 A에서는 산의 경사면에 나무를 세우거나 그릴 때, 그리고 추의 방향을 예상할 때도 산에 수직선이 아니라 능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무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그린다. 2단계 B에 이르면 산에 수직으로 나무를 세울 수는 있으나 일단 그림으로 그려 보게 하면 산의 경사면에 수직이 되도록 그린다. 따라서 이 단계 아동은 그림에서는 외부 참조기준의 이용이 아직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제3단계 : 이 단계 역시 두 개의 하위단계로 나누어진다. 3단계 A에서는 시행착오적인 시행이 나타나나 수직개념이 점차 획득된다. 3단계 B에 이르러서야 수평개념에서와 같이 외부 참조기준을 시행착오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수직개념의 성숙된 이해가 나타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아동발달]아동기의 인지발달과 지각의 이해 - 아동기의 인지발달의 개념, 아동기의 인지발달...
[아동기 인지발달]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구체적 조작기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구체적 조작기)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구체적 조작기의 특징)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의 특징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Piaget 인지발달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구체적 조작 사고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