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인발달이론
I. 발달단계이론
1. 베일런트의 적응이론
2. 레빈슨의 생애의 계절
1/ 성인 전기 과도기(17~22세)
2/ 성인 전기(22~40세)
3/ 성인 중기 과도기(40~45세)
4/ 성인 중기(45~60세)
5/ 성인 후기 과도기(60~65세)
3. 하비거스트의 발달과업이론
II. 핵심주제모델
1. 생산성의 확장
2. 생의 회고와 자아초월
* 참고문헌
I. 발달단계이론
1. 베일런트의 적응이론
2. 레빈슨의 생애의 계절
1/ 성인 전기 과도기(17~22세)
2/ 성인 전기(22~40세)
3/ 성인 중기 과도기(40~45세)
4/ 성인 중기(45~60세)
5/ 성인 후기 과도기(60~65세)
3. 하비거스트의 발달과업이론
II. 핵심주제모델
1. 생산성의 확장
2. 생의 회고와 자아초월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릭슨의 발달적 주제가 여러 경로를 통해 성취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하고 변화가 많은 현대인의 삶을 조망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1) 생산성의 확장
Erikson의 생산성은 나 자신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 타인에게 관심을 돌리는 성인 중기의 발달과제이다. Kotre(1984)는 Erikson의 생산성을 확장하여 성인기에 성취하여야 할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생산성을 제시하고 있다.
- 생물학적 생산성(biological):임신과 출산
- 양육자적 생산성(parental):부모로써 자녀의 양육과 훈육
- 기술적 생산성(technical):숙련된 기술의 교육과 전수
- 문화적 생산성(cultural):사회문화적 가치의 전수, 멘토십의 발휘
이 중 생물학적 생산성은 주로 성인기에 성취되나 성인기보다 빠른 청소년 후기에 비의도적인 임신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후배나 제자 양성을 통해 기술적 생산성이나 문화적 생산성이 발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생산성은 성인 중기에 국한된 과업이 아니며 가정 이나 직장에서만 성취되는 것도 아니다.
한편, Stewart와 Vandewater(1998)는 생산성이 욕구, 유능감, 성취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가 성인발달단계마다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기를 갈망하는 생산적 욕구는 성인 전기에 가장 높은 반면, 실제로 생산성에 참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유능감을 가장 크게 느끼는 시기는 성인 중기이다. 그러나 상황과 대상에 관계없이 생산성이 일반적으로 발휘되고 성취되는 시기는 성인 후기라고 보았다.
(2) 생의 회고와 자아 초월
Butler(1968)는 노년기 동안 자아 통합으로 나아가기 전에 '생의 회고(life review)라는 단계가 있음을 가정하였다. 생의 회고를 하는 사람들은 의식적으로 과거의 갈등과 경험으로 돌아가서 그것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평가하고 재구성한다. 생의 회고기를 거치고 나면 죽음을 담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자아 통합이 생의 마지막 후반부에 나타난다고 보았다. 실제 생의 회고를 기반으로 하는 노년기 심리 프로그램들은 회고과정이 더 생생하게 삶의 의미를 찾게 해주며 죽음을 준비하고 두려움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심리적 갈등을 치료하고 젊은 시절의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다.
한편, Peck(1968)은 Erikson의 노년기 발달적 위기인 자아 통합을 세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제로제시하였다. 첫째는, 자아 분화 대 직업 역할 몰두로 은퇴하고 난 뒤 일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정 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둘째, 노년기 동안 쇠약해진 신체적 능력을 인정하고 좌절에서 벗어나는 신체 초월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초월을 성취하지 못하였을 때는 신체적 한계에 대한 좌절을 극복하지 못한 신체 몰두가 나타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삶에 대한 관심을 벗어나 죽음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자아 초월이 나타나지만 반대로 자아 몰두에 빠진 사람은 생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하고 죽음을 부인하게 된다고 하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1) 생산성의 확장
Erikson의 생산성은 나 자신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 타인에게 관심을 돌리는 성인 중기의 발달과제이다. Kotre(1984)는 Erikson의 생산성을 확장하여 성인기에 성취하여야 할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생산성을 제시하고 있다.
- 생물학적 생산성(biological):임신과 출산
- 양육자적 생산성(parental):부모로써 자녀의 양육과 훈육
- 기술적 생산성(technical):숙련된 기술의 교육과 전수
- 문화적 생산성(cultural):사회문화적 가치의 전수, 멘토십의 발휘
이 중 생물학적 생산성은 주로 성인기에 성취되나 성인기보다 빠른 청소년 후기에 비의도적인 임신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후배나 제자 양성을 통해 기술적 생산성이나 문화적 생산성이 발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생산성은 성인 중기에 국한된 과업이 아니며 가정 이나 직장에서만 성취되는 것도 아니다.
한편, Stewart와 Vandewater(1998)는 생산성이 욕구, 유능감, 성취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가 성인발달단계마다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기를 갈망하는 생산적 욕구는 성인 전기에 가장 높은 반면, 실제로 생산성에 참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유능감을 가장 크게 느끼는 시기는 성인 중기이다. 그러나 상황과 대상에 관계없이 생산성이 일반적으로 발휘되고 성취되는 시기는 성인 후기라고 보았다.
(2) 생의 회고와 자아 초월
Butler(1968)는 노년기 동안 자아 통합으로 나아가기 전에 '생의 회고(life review)라는 단계가 있음을 가정하였다. 생의 회고를 하는 사람들은 의식적으로 과거의 갈등과 경험으로 돌아가서 그것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평가하고 재구성한다. 생의 회고기를 거치고 나면 죽음을 담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자아 통합이 생의 마지막 후반부에 나타난다고 보았다. 실제 생의 회고를 기반으로 하는 노년기 심리 프로그램들은 회고과정이 더 생생하게 삶의 의미를 찾게 해주며 죽음을 준비하고 두려움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심리적 갈등을 치료하고 젊은 시절의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다.
한편, Peck(1968)은 Erikson의 노년기 발달적 위기인 자아 통합을 세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제로제시하였다. 첫째는, 자아 분화 대 직업 역할 몰두로 은퇴하고 난 뒤 일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정 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둘째, 노년기 동안 쇠약해진 신체적 능력을 인정하고 좌절에서 벗어나는 신체 초월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초월을 성취하지 못하였을 때는 신체적 한계에 대한 좌절을 극복하지 못한 신체 몰두가 나타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삶에 대한 관심을 벗어나 죽음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자아 초월이 나타나지만 반대로 자아 몰두에 빠진 사람은 생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하고 죽음을 부인하게 된다고 하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아동발달] 장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주요개념, 발달단계, 인지발달과 교육 및 사회복지실천...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를 설명하고 양육에의 함의를 논하시오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발달 이론]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이론: 비교와...
성인발달의 주요 이론,심리성적 발달이론,자아발달이론,발달과업이론,도덕성 발달이론
[성인발달이론] 성인발달의 이론(굴드 레빈슨 베이런트의 이론 SOC이론 선택적 최적화 이론)
레빈슨(Levinson)의 인생구조이론(레빈슨의 생애와 성인발달연구 레빈슨 이론의 주요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