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창의성
I. 창의성
1. 정의
2. 구성요소
II.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
1. 창의성과 지능 모두 높은 집단
2. 창의성은 높으나 지능이 낮은 집단
3. 지능은 높으나 창의성이 낮은 집단
4. 창의성과 지능이 둘 다 낮은 집단
III. 창의성의 발달
* 참고문헌
I. 창의성
1. 정의
2. 구성요소
II.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
1. 창의성과 지능 모두 높은 집단
2. 창의성은 높으나 지능이 낮은 집단
3. 지능은 높으나 창의성이 낮은 집단
4. 창의성과 지능이 둘 다 낮은 집단
III. 창의성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는 점이다. 그러나 근래의 이론은 지능과 창의성이 상호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지능이나 창의성만으로는 효율적인 새로움을 산출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상호작용이야말로 진정한 지적 영재성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결국 창의성과 지능은 동일하거나 전혀 다른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지적 능력의 측면들이라고 할 수 있다(Cropley, 1999).
III. 창의성의 발달
Gowan(1972)은 창의성의 발달을 인지와 성격의 조화적 활동으로 보고 창의성도 인지처럼 발달단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와 Erikson의 정의적 발달단계를 통합된 형태로 만들어 창의성의 발달단계를 아래의 표와 같이 설정하였다.
표. 에릭슨과 피아제의 발달단계와 관련한 창의성 발달단계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와 다른 점은 형식적 조작기 다음에 창의성의 발달단계를 더 추가하였다는 것이 중요한 차이다. 즉 Gowan은 창의적 사고가 그 이전의 발달을 기초로 하여 형식적 조작단계 이후 청소년기에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창의성 발달에 관해서는 연구자들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데, 감소모델(decrement model)에서는 창의성의 정점을 성인기 초기라고 본다. 이 입장에서는 창의성이 성인기 초기에 정점에 이론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한다고 보는 반면, 단계모델(stages model)에서는 개인이 변하고 성숙해 감에 따라 창의성도 계속해서 변하고 성숙해 간다고 보았다. Gruber는 성인 중 각 분야에서 성공한 천계들을 대상으로 인간의 인지발달 단계를 연구한 결과, 성인기에도 인지발달은 계속된다고 보았고, 성인기의 사고도 아동기와 마찬가지로 모두 자극 대상을 집단화하고 아이디어를 재창출하는 점에 있어서 동일하다고 보았다. 단계모델을 지지하는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하주현, 2001).
표. 단계모델에 따른 창의성 발달단계
Vygotsky는 청소년의 창의성 발달에 대해, 청소년기에서부터 그 이전까지는 분리되어 있던 상상과 사고가 결합되어 작용하므로 추상적 개념을 다를 수 있게 되고, 이 시기부터 오히려 성인보다 능동적이고 의욕적인 창의성이 발달되기 시작한다고 보았다. 이전까지는 주로 모방적이던 아동기의 창의성에서 의도적으로 사용되며, 통제되는 한층 성숙된 창의성이 가능해진다. 청소년기는 창의성이 질적으로 변하는 시기이고, 이 시기의 인지발달과 인성발달은 이후 성인기의 창의성 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III. 창의성의 발달
Gowan(1972)은 창의성의 발달을 인지와 성격의 조화적 활동으로 보고 창의성도 인지처럼 발달단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와 Erikson의 정의적 발달단계를 통합된 형태로 만들어 창의성의 발달단계를 아래의 표와 같이 설정하였다.
표. 에릭슨과 피아제의 발달단계와 관련한 창의성 발달단계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와 다른 점은 형식적 조작기 다음에 창의성의 발달단계를 더 추가하였다는 것이 중요한 차이다. 즉 Gowan은 창의적 사고가 그 이전의 발달을 기초로 하여 형식적 조작단계 이후 청소년기에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창의성 발달에 관해서는 연구자들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데, 감소모델(decrement model)에서는 창의성의 정점을 성인기 초기라고 본다. 이 입장에서는 창의성이 성인기 초기에 정점에 이론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한다고 보는 반면, 단계모델(stages model)에서는 개인이 변하고 성숙해 감에 따라 창의성도 계속해서 변하고 성숙해 간다고 보았다. Gruber는 성인 중 각 분야에서 성공한 천계들을 대상으로 인간의 인지발달 단계를 연구한 결과, 성인기에도 인지발달은 계속된다고 보았고, 성인기의 사고도 아동기와 마찬가지로 모두 자극 대상을 집단화하고 아이디어를 재창출하는 점에 있어서 동일하다고 보았다. 단계모델을 지지하는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하주현, 2001).
표. 단계모델에 따른 창의성 발달단계
Vygotsky는 청소년의 창의성 발달에 대해, 청소년기에서부터 그 이전까지는 분리되어 있던 상상과 사고가 결합되어 작용하므로 추상적 개념을 다를 수 있게 되고, 이 시기부터 오히려 성인보다 능동적이고 의욕적인 창의성이 발달되기 시작한다고 보았다. 이전까지는 주로 모방적이던 아동기의 창의성에서 의도적으로 사용되며, 통제되는 한층 성숙된 창의성이 가능해진다. 청소년기는 창의성이 질적으로 변하는 시기이고, 이 시기의 인지발달과 인성발달은 이후 성인기의 창의성 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