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래 내용을 읽고 부인이 자신의 경험을 처리하고 위축되지 않도록 환기적 반응을 사용해 보라.
2. 아래 평소와는 다르게 반응하고 있는 남편의 새로운 태도를 반영과 인정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기록해 보라.
3. 치료자로서 공격/위축 고리의 변화를 강조하게 된다. 부부가 서로에게 반응을 보이는 새로운 방식과 보다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반영하기 위해서 재구성한 내용을 적어 보라.
4. 마지막으로 치료자는 부부가 취하고 있는 새로운 태도를 강화시켜야 한다. 부부가 노력하여 부부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었던 방식을 설명할 수 있도록 치료자가 격려할 만한 방법을 적어 보라.
5. 참고문헌 및 출처
2. 아래 평소와는 다르게 반응하고 있는 남편의 새로운 태도를 반영과 인정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기록해 보라.
3. 치료자로서 공격/위축 고리의 변화를 강조하게 된다. 부부가 서로에게 반응을 보이는 새로운 방식과 보다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반영하기 위해서 재구성한 내용을 적어 보라.
4. 마지막으로 치료자는 부부가 취하고 있는 새로운 태도를 강화시켜야 한다. 부부가 노력하여 부부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었던 방식을 설명할 수 있도록 치료자가 격려할 만한 방법을 적어 보라.
5.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제들을 해결하고 이를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치료자는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자신이 그곳에 있으며 언제든 찾아오라는 태도를 취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부부 간에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때 이를 적어두고,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현재는 이러한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상황인지 등에 대해 각자 적어서 제출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치료자가 부부 간의 관계 개선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검토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부부 간의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함께 대화를 나누어 문제의 해결을 하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서로를 관찰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스스로는 깨닫지 못했던 많은 사실들이나 태도의 변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남편과 아내가 각자 보고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남편은 아내를, 아내는 남편을 관찰하고 해당 배우자가 가지고 있는 태도의 변화에 대해 서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자신은 행동의 변화를 겪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상대방이 이를 느끼지 못하였을 때, 당사자는 더욱 신선한 충격을 얻게 되어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자신은 알지 못했던 행동의 개선을 상대방이 발견하고 칭찬해주는 경우에는 반대로 더욱 의지가 생기고 이를 발견해준 상대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가지게 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서로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서로를 관찰하고 행동의 변화를 발견해주는 과정에서 부부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서로에 대한 관심을 요할 수 있으며 더욱 많은 대화를 이끄는 것 또한 가능해질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화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가족 전체의 분위기를 화목하게 만드는 것 또한 가능해질 것이다.
[생각해 봅시다.]
8, 9 단계에서 볼 수 있는 핵심적인 변화는 무엇인가?
1) 과거의 이야기를 하는 경우 보통 좋지 않은 기억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를 탈피하게 된다.
2) 과거의 이야기를 좋은 추억으로 상대방과 떠올리고 함께 회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과거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를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을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4) 과거에 함께 겪었던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서로 제시하고, 대화의 증진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게 된다.
6. 부부 이야기에 들어갈 핵심적인 주제 5가지를 적어보라.
1) 부부는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
2) 부부 갈등은 서로를 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나타나는 문제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다.
3) 감정적인 문제의 가장 큰 해결책은 대화이다.
4) 표면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보이는 경우에도 대화와 치료법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5) 부부가 관계의 악화를 겪을 때, 이는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닌 서로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대화방식일 수 있다.
5. 참고문헌 및 출처
Dewald, Paul A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2010)
다음으로 부부 간의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함께 대화를 나누어 문제의 해결을 하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서로를 관찰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스스로는 깨닫지 못했던 많은 사실들이나 태도의 변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남편과 아내가 각자 보고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남편은 아내를, 아내는 남편을 관찰하고 해당 배우자가 가지고 있는 태도의 변화에 대해 서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자신은 행동의 변화를 겪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상대방이 이를 느끼지 못하였을 때, 당사자는 더욱 신선한 충격을 얻게 되어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자신은 알지 못했던 행동의 개선을 상대방이 발견하고 칭찬해주는 경우에는 반대로 더욱 의지가 생기고 이를 발견해준 상대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가지게 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서로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서로를 관찰하고 행동의 변화를 발견해주는 과정에서 부부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서로에 대한 관심을 요할 수 있으며 더욱 많은 대화를 이끄는 것 또한 가능해질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화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가족 전체의 분위기를 화목하게 만드는 것 또한 가능해질 것이다.
[생각해 봅시다.]
8, 9 단계에서 볼 수 있는 핵심적인 변화는 무엇인가?
1) 과거의 이야기를 하는 경우 보통 좋지 않은 기억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를 탈피하게 된다.
2) 과거의 이야기를 좋은 추억으로 상대방과 떠올리고 함께 회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과거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를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을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4) 과거에 함께 겪었던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서로 제시하고, 대화의 증진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게 된다.
6. 부부 이야기에 들어갈 핵심적인 주제 5가지를 적어보라.
1) 부부는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
2) 부부 갈등은 서로를 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나타나는 문제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다.
3) 감정적인 문제의 가장 큰 해결책은 대화이다.
4) 표면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보이는 경우에도 대화와 치료법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5) 부부가 관계의 악화를 겪을 때, 이는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닌 서로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대화방식일 수 있다.
5. 참고문헌 및 출처
Dewald, Paul A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