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권 제 28 백제본기 제 6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사기 권 제 28 백제본기 제 6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삼국사기 권 제 28 <백제본기 제 6 >
삼국사기 권 제 25< 백제본기 제 3>
삼국사기 권 제 26 <백제본기 제 4>

본문내용

300년 만에 완성된 것
~어느 정도의 왕권안정을 반영
■31대 의자왕(641~660)
무왕의 맏아들. 백제의 마지막왕 . 귀족들에 대한 왕권 통제력 강화. 대외관계 변화시도
고구려 연개소문과 친고정책 ~신라와 당나라의 관계 대응하기 위해서
2년 9월에 신라에 압력을 가하는데 군대를 이끌고 신라공격 미후성등 40여개성을 함락
8월 장군 윤충과 1만의 군사를 보내 신라의 대야성 공격
성주 김품석(김춘추의 사위)와 그 처자를 죽임
3년 신라의 당황성(지금의 경기도 화성군서신면)을 공격: 신라의 대당교통로를 차단하려고 하였음
4년 당나라가 고구려 공격하여 신라군이 당나라를 구원하는 틈 타서: 신라 서쪽 방면 7개성 공격, 빼앗음
15년 8월 고구려 말갈과 함께 신라의 30여 개의 성을 쳐서 깨뜨렸다 : 신라공격을 중단하라는 당나라의 위협에도 불구(655)신라 북쪽 30여 개 성을 공격, 함락시킴
16년 왕이 궁녀들을 데리고 음란과 향락에 빠져~성충은 옥에서 말라죽었다
:의욕적인 국가경영에도 불구 사치와 방종, 어진 신하를 죽이는 바람에 국가의 통치질서 붕괴직전
20년 나당연합군 공격 : 소정방의 당 군사들 바다를 건너 백강(지금의 금강)을 통해
김유신 군대가 탄현(지금의 대전 동쪽)을 넘어 공격
백제: 계백장군 5천 결사대로 대항~사비성 포위
위자왕과 태자는 웅진성으로 도피했으나 사비성 함락 →투항
의자왕은 태자 효, 왕자 융 및 대신들과 백성 1만2천8백7명과 당나라로 압송되서 병사함
※31왕 678년 만에 백제 멸망
*백제 부흥운동
:백제 멸망후 약 4년간에 걸친 백제를 다시 일으키려 한 운동으로서
흑치상지,복신,도침,부여풍으로 대표되는데 주 근거지 임존성(충남예산 봉수산) , 주류성(전북 부안읍 부근)
*복신은 임존성에 웅거 당군 공격, 사비성 포위했으나 나당연합군 공격으로 임존성으로 퇴각
내분으로 복신이 도침 살해, 당군의 반격으로 사비성 동쪽 외곽이 뚫림
후퇴한 복신군 진형성에 이어 주류성으로 퇴각함
일본에서 돌아온 부여풍과 연합했지만 서로 권력 독차지 위해 질투,시기로 복신은 풍 에게 살해됨 663년 9월 백제,왜 연합군과 나당연합군 백강전투에서 백제,왜 연합군 패배⇒주류성 함락
*흑치상지 역시 임존성을 근거로 충남북 일대 200여개의 성을 되찾았으면서 기세를 올렸으나 함께 궐기했던 별부장 사타상여가 당나라에 항복 , 당군을 이끌고 임존성을 함락 시키므로서 백제 부흥운동은 종지부를 찍게됩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5.23
  • 저작시기200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0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