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능성 정신병
I. 정신분열증
II. 정동장애
III. 편집증
IV. 아동기의 정신장애
* 참고문헌
I. 정신분열증
II. 정동장애
III. 편집증
IV. 아동기의 정신장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오줌을 안 쌌을 때 칭찬을 해주는 행동 수정(Behavior modification)의 방법을 통하여 고치는 경우가 있다.
주의력 결함 장애(Attention deficit disorder)는 아동의 행동이 몹시 분주해서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주위의 자극에 대해서 한 군데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아동은 이것저것에 호기심을 보여 주의가 산만하고 참을성이 없으며 충동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주의력 결함 장애는 남자 어린이에게서 흔히 볼 수 있어서 남아가 여아보다 4배 내지 10배나 더 생긴다. 이 장애는 간질이나 뇌성마비 어린이에게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중추 신경계(Arousal mechanism)에 결함이 있다는 이론이 우세하다.
행위 장애(Conduct disorder)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난폭한 행동, 싸움 대장, 무단결석 등인데 이런 아동은 발달과정에서 사회인의 성장하는 훈련이 적절하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고, 일시적인 적응 장애로 나타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는 자기만 알고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여 남을 해치는 경우도 있고, 또는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전혀 버릇없이 행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행위 장애는 유아기에 특정한 애착 대상이 없었다 던지, 적절한 훈련을 못 받았다 던지, 부모가 과잉보호나 일관성 없이 변덕스러운 양육 방식으로 키운 아동 가운데서 흔히 생긴다고 한다.
시험 불안은 초등학교에서 대학에 이르기까지의 학생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장애로 학기말 시험이나, 상급학교 진학시험 등에 임해서 불안해지고 무기력해지는 경우이다. 어떤 경우에는 시험을 앞두고 머리가 아프거나 배가 아플 때도 있고, 주의력이 현저히 떨어질 때도 있다.
그리고 시험지를 받으면 앞이 캄캄해지고 머리가 팅 빈 것같이 멍해질 때도 있고, 심한 경우에는 팔에 힘이 빠져서 전혀 글씨를 쓸 수 없을 때도 있다. 시험 불안은 미리 실패할 것을 두려워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는 시험 결과에 집착해서 지나치게 욕심에 차 있을 때 더 잘 일어난다. 해소 방법으로는 노력한 결과로 아는 것만 정성스럽게 답하겠다는 마음가짐과 시험 문제를 보고 쉬운 문제부터 풀어 가면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이상심리학 - V. Mark Durand, David H. Barlow 저 / 정경미 외 5명 역 / 사회평론아카데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지심리학 / 하코다 유지, 츠즈키 타카시 외 2명 저 / 한국뇌기반교육연구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주의력 결함 장애(Attention deficit disorder)는 아동의 행동이 몹시 분주해서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주위의 자극에 대해서 한 군데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아동은 이것저것에 호기심을 보여 주의가 산만하고 참을성이 없으며 충동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주의력 결함 장애는 남자 어린이에게서 흔히 볼 수 있어서 남아가 여아보다 4배 내지 10배나 더 생긴다. 이 장애는 간질이나 뇌성마비 어린이에게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중추 신경계(Arousal mechanism)에 결함이 있다는 이론이 우세하다.
행위 장애(Conduct disorder)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난폭한 행동, 싸움 대장, 무단결석 등인데 이런 아동은 발달과정에서 사회인의 성장하는 훈련이 적절하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고, 일시적인 적응 장애로 나타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는 자기만 알고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여 남을 해치는 경우도 있고, 또는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전혀 버릇없이 행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행위 장애는 유아기에 특정한 애착 대상이 없었다 던지, 적절한 훈련을 못 받았다 던지, 부모가 과잉보호나 일관성 없이 변덕스러운 양육 방식으로 키운 아동 가운데서 흔히 생긴다고 한다.
시험 불안은 초등학교에서 대학에 이르기까지의 학생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장애로 학기말 시험이나, 상급학교 진학시험 등에 임해서 불안해지고 무기력해지는 경우이다. 어떤 경우에는 시험을 앞두고 머리가 아프거나 배가 아플 때도 있고, 주의력이 현저히 떨어질 때도 있다.
그리고 시험지를 받으면 앞이 캄캄해지고 머리가 팅 빈 것같이 멍해질 때도 있고, 심한 경우에는 팔에 힘이 빠져서 전혀 글씨를 쓸 수 없을 때도 있다. 시험 불안은 미리 실패할 것을 두려워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는 시험 결과에 집착해서 지나치게 욕심에 차 있을 때 더 잘 일어난다. 해소 방법으로는 노력한 결과로 아는 것만 정성스럽게 답하겠다는 마음가짐과 시험 문제를 보고 쉬운 문제부터 풀어 가면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이상심리학 - V. Mark Durand, David H. Barlow 저 / 정경미 외 5명 역 / 사회평론아카데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지심리학 / 하코다 유지, 츠즈키 타카시 외 2명 저 / 한국뇌기반교육연구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