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의 반응 적응 질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트레스의 반응 적응 질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스트레스의 생리적 반응과 질병

I. 스트레스의 생리적 반응
1. 긴급 반응
2. 일반 반응

II.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III. 스트레스와 질병
1. 호흡곤란증
2. 심장질환
3. 고혈압
4. 위궤양
5. 두통
6. 성 기능 장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격은 순종적이고 친절하며, 특히 권위적인 위치에 대해 강력한 의존적인 결속을 지키려는 욕구를 가진 듯이 보이는 내적으로 억압된 분노와 공격적인 적개심을 갖고 있다. 많은 고혈압 환자는 신경증적으로 강한 완벽성과 강박적인 경향을 갖는다.
(4) 위궤양
위나 십이지장의 벽면의 조그마한 한 부분이 상처 난 것처럼 헐어버린 상태나 아예 구멍이 나 있는 상태를 궤양(Ulcer) 상태라 한다. 궤양상태의 원인은 위나 십이지장 안에 염화수소산과 정신 성분 물질의 과다한 분비에 있다. 염화수소산은 원래 위에서 음식물을 분해시키고 여러 효소들과 상호 작용을 하여 소화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스트레스는 염화수소산(염산)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자극 역할을 한다. 고민이 있으면 소화가 안 되거나 속이 쓰린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위궤양 현상은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유기체에 해당되는 생리적 반응 현상이다.
대부분의 위궤양은 위점막의 분비과다와 보호벽이나 조직의 저항력 약화 등의 생물학적인 요인이 있는 사람에게 그 사람이 어려서부터 자라온 사회 환경적 배경 및 성장해서 부딪치는 어려움 등 정신적인 압력이 더할 때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안이나 스트레스가 위의 운동, 혈류, 분비를 증가시키며, 슬픔이나 우울, 낙담 등은 이러한 기능을 저하시켜 위 운동의 항진과 궤양을 가져올 수 있다.
Alexander 등은 위궤양 환자의 특수한 감정적 갈등과 성격 유형을 주장하여 그들의 정신적인 조건은 구강적인 욕구 좌절에 기인하는 끊임없는 사랑과 보호 욕구에 대한 소아적 추구이며 성인의 의존심에 대한 갈등이라고 했다. 사랑에 대한 갈구는 수유되고 항상 배가 채워지기를 바라고, 위점막의 과다 분비와 운동의 항진을 동반하게 되어 위궤양의 원인이 된다.
(5) 두통
두통에는 편두통형의 혈관성 두통과 근육 수축성 두통이 있다. 편두통의 원인은 잘 알 수는 없으나 발작이 있으면 두통 전에 피질의 허열로 인한 억압으로 국소적 신경 증상이 나타나며 두통이 발생한다. 짧은 간격으로 압박하는 두통이 편측에 국한되어 식욕 감죄, 메스꺼움, 구토와 동반되어 특징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편두통 환자들은 완고하고 완벽주의적이고, 지나치게 양심적인 성격으로 침착하면서도 매사에 남을 많이 의식하고 남의 비평에 예민하며, 야심적이고 이지적이다.
그들의 가정 생활은 밀착되지 못하여 일치감이 부족하고 양친에 대한 적개심이 두드러지며 결과적으로 충동적인 적개심이 신경증적인 갈등과 스트레스의 주된 요소가 되며 억압된 분노와 의존심이 두통을 유발한다.
또 완고한 성격으로 생활이 각박하고 긴장된 노력이 계속되어 신경 혈관계의 기능 장애가 겹쳐서 혈관 확장 등이 발작적으로 일어난다.
근육 수축성 두통은 긴장성 두통으로도 불리우며 맥박감이 없는 두통이 일시적 혹은 수주일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편두통 환자에게서 발작 중간에 근육 수축성 두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불안, 긴장, 우울과 함께 두피, 어깨, 목, 얼굴 등의 경부 골격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여 두통이 일어난다. 동통은 지속적이고 압박감과 띠를 두론 것 같은 감각을 느낀다.
A형 성격의 사람들에게서 특히 잘 나타나며 불안과 우울이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다. 만성적인 경우는 정서적인 긴장과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치료가 효과적이며 극히 불안한 경우에는 항불안제, 우울이 동반되면 항우울제가 사용되며 근육이완제 등이 가끔 사용된다. 최근에는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등의 이완 요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6) 성 기능 장애
인간의 정상적인 성 행동은 흥분 단계(Excitement phase), 흥분 상승단계(Pleateau phase), 오르가즘 단계(Orgasm phase), 흥분 하강 단계(Resolution phase)의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 기능 문제들은 이 네 단계 과정상 심리적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성 기능 장애란 자신의 성적 기대와 배우자의 성적 기대 사이에 생기는 차이 즉 쌍방 간의 기대 상실에서 발생되는 여러 성적 부적응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성 기능 장애는 심리적 및 정신적인 원인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근본적으로는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남자에 있어서 일반적 성 기능 장애는 사정이 항상 긴박하게 빠르거나 불안정하게 진행되는 미숙한 사정(Prematuie ejaculation)과 사정이 잘 안 되는 발기 불능(Impotence) 등이 있고, 여자의 경우 불감증, 월경 곤란, 성교 불쾌증, 월경전 동통 등이 해당된다.
자신이 성 기능 장애를 느끼면 먼저 두 가지 측면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첫째로 자신의 성적 적합성 여부에 대하여 생각해야 하며 나아가 배우자와의 관계 및 역할 기능을 분석해 보아야 한다. 둘째로 자신의 내부 요인, 즉 억압된 적개심, 불안감, 수치심, 죄의식 등의 억제 요인이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아야 한다. 특히 우울은 여성의 성 기능 장애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불감증은 히스테리 성격의 여성이 억제된 성적 흥분 상태 경우에 잘 나타난다. 불안은 남성의 성 기능 장애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성 불안과 깊은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우울과 불안 등의 스트레스 요인들이 일반적으로 성 기능 장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이상심리학 - V. Mark Durand, David H. Barlow 저 / 정경미 외 5명 역 / 사회평론아카데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지심리학 / 하코다 유지, 츠즈키 타카시 외 2명 저 / 한국뇌기반교육연구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6.02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1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