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울증의 유형
I. 경조증
II. 급성조증
III. 섬망성조증
IV. 경우울
V. 급성우울
VI. 우울성 혼수
* 참고문헌
I. 경조증
II. 급성조증
III. 섬망성조증
IV. 경우울
V. 급성우울
VI. 우울성 혼수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 기분이 나쁘다가 저녁으로 갈수록 기분이 더 나아지는 소위 주야의 생활리듬이 바뀌는 현상(diurnal rhythm)을 보인다.
- 침울하고 비참해 보인다.
- 우울증의 세 가지 대표적 망상에 빠진다. 즉, 양심과 관계있는 죄업망상(罪業妄想), 건강과 관계있는 질병망상, 재산에 대한 망상인 빈곤망상 등이 그것이다.
- 죽음을 기도한다. 여러 가지 망상에 젖어 비관 우울한 나머지 그 해결책이요, 도피책으로서 죽음(자살, 타살)을 기도 감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VI. 우울성 혼수(depressive stupor)
이는 영아기에로까지 후퇴를 하는 경우로서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이 우울성 혼수증 환자는 반응이 아주 느리고(둔감성)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오랫동안 전혀 까딱도 하지 않는다.
우울성 혼수의 증후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 누가 침대 옆을 지나가도 쳐다보지도 않는다.
- 얼굴 표정은 공허와 무표정을 나타낸다.
- 얼굴이 여위고 창백(thin and pale)하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병이 있는 것 같이 느껴진다.
- 먹는 것도 거부하기 때문에 위에 연결된 튜브(stomach tube)를 통해서 음식을 먹인다(tube feeding).
- 배뇨와 배변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한다.
- 때때로 죄, 죄인, 지옥과 같은 몇 마디를 지껄일 뿐이다.
- 죄와 별의 생각에 명백히 몰두해 있다.
- 아프게 자극을 주어도 죽은 듯이 무반응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의 제 증상을 갖고 있는 그들은 말 그대로 혼수상태에 빠져 전혀 의식이 없는
것인가?그렇지 않다. 죽은듯이 가만히 있고 느낌이나감정이 전혀 없는듯이 보이더
라도 사실은 자기 주변에서 무엇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다 알고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의식이 약간 희미하고 꿈꾸는 듯한 환각현상이 있는 수도 있다고 한다.
하여간 우울성 혼수 상태에 있는 환자란 그 순간 대 소변이나 침을 보유하고 있기
쉬우므로 이를 처리해야 하며 먹이고 첫기고 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우울성 혼수 상
태에 있어서 환자는 죽음과 혼수 상태를 동일시하며, 자기가 믿고 있는 죄에 대한 벌이
나 속죄로 여기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침울하고 비참해 보인다.
- 우울증의 세 가지 대표적 망상에 빠진다. 즉, 양심과 관계있는 죄업망상(罪業妄想), 건강과 관계있는 질병망상, 재산에 대한 망상인 빈곤망상 등이 그것이다.
- 죽음을 기도한다. 여러 가지 망상에 젖어 비관 우울한 나머지 그 해결책이요, 도피책으로서 죽음(자살, 타살)을 기도 감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VI. 우울성 혼수(depressive stupor)
이는 영아기에로까지 후퇴를 하는 경우로서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이 우울성 혼수증 환자는 반응이 아주 느리고(둔감성)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오랫동안 전혀 까딱도 하지 않는다.
우울성 혼수의 증후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 누가 침대 옆을 지나가도 쳐다보지도 않는다.
- 얼굴 표정은 공허와 무표정을 나타낸다.
- 얼굴이 여위고 창백(thin and pale)하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병이 있는 것 같이 느껴진다.
- 먹는 것도 거부하기 때문에 위에 연결된 튜브(stomach tube)를 통해서 음식을 먹인다(tube feeding).
- 배뇨와 배변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한다.
- 때때로 죄, 죄인, 지옥과 같은 몇 마디를 지껄일 뿐이다.
- 죄와 별의 생각에 명백히 몰두해 있다.
- 아프게 자극을 주어도 죽은 듯이 무반응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의 제 증상을 갖고 있는 그들은 말 그대로 혼수상태에 빠져 전혀 의식이 없는
것인가?그렇지 않다. 죽은듯이 가만히 있고 느낌이나감정이 전혀 없는듯이 보이더
라도 사실은 자기 주변에서 무엇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다 알고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의식이 약간 희미하고 꿈꾸는 듯한 환각현상이 있는 수도 있다고 한다.
하여간 우울성 혼수 상태에 있는 환자란 그 순간 대 소변이나 침을 보유하고 있기
쉬우므로 이를 처리해야 하며 먹이고 첫기고 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우울성 혼수 상
태에 있어서 환자는 죽음과 혼수 상태를 동일시하며, 자기가 믿고 있는 죄에 대한 벌이
나 속죄로 여기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