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담자와 상담자의 관계형성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을 기술
I. 내담자의 역할
II. 상담자의 관계형성을 위한 방법
1. 상담자의 신체언어
2. 상담자의 태도
3. 상담의 구조화
* 참고문헌
I. 내담자의 역할
II. 상담자의 관계형성을 위한 방법
1. 상담자의 신체언어
2. 상담자의 태도
3. 상담의 구조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나는 당신의 허락 없이는 어느 누구에게도 그 내용을 말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두 가지 예외가 있다. 만일 당신이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해치는 것에 대해 말하거나, 혹은 위험에 처해 있는 것을 말하면 나는 도움을 받기 위해 다른 사람을 포함시킬지도 모른다.\"
상담에서 시간의 틀에 대한 논의는 내담자에게 예정된 것을 알려주고 내담자가 상담에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의 관점을 갖게 한다. 첫 회기 시작에서 \"우리는 오늘 50분 동안 같이 이야기할 것입니다. \"라고 말하는 것은 내담자에게 시간에 대한 제한 및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상담관계에 열중하도록 해 준다. 만일 추가적 상담이 결정된다면 상담자에게 만나기로 예약한 특정한 일정(시간, 날짜)을 말해 주어야 한다. 이것은 내담자가 앞으로의 회기를 기대하게 하고 그 상담회기에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를 예상하게 한다.
가장 복잡한 구조화 기술은 내담자에게 상담과정 자체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왈라스(Wallace, 1986)는 \"내담자는 상담이 공동의 노력이라는 것, 내담자가 상담과정에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길 기대한다는 것, 비록 상담이 희망을 갖게 하지만 성공을 약속할 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고 첫 회기를 마쳐야 한다.\"라고 지적하였다.
공동의 노력에서 내담자의 역할은 중요하고 때를 위협적인 자료를 노출하여 상담자와 공유하는 것, 문제 해결과 성장의 원인이 되는 것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진실한 만남을 만드는 것, 대안을 개발하기 위해 상담자와 같이 일하는 것, 계획을 발전시키는 행동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돕는 것, 내담자가 자신의 느낌과 동기와 행동을 이해하도록 촉진하는 것, 내담자가 자신의 현실에 대한 견해를 재구성하는 것을 돕는 것, 내담자와 행동계획을 짜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요소는 내담자가 자신의 인생을 변화시킬 주체라는 것을 명확히 이해시키는 것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대처 기술이 향상되도록 돕지만 그의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첫 회기 때 가장 좋은 구조화는 노출의 초기 과정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것은 내담자가 상담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과 기대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고, 내담자가 참여하는 방법과 참가하는 시간의 구조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상담에서 시간의 틀에 대한 논의는 내담자에게 예정된 것을 알려주고 내담자가 상담에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의 관점을 갖게 한다. 첫 회기 시작에서 \"우리는 오늘 50분 동안 같이 이야기할 것입니다. \"라고 말하는 것은 내담자에게 시간에 대한 제한 및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상담관계에 열중하도록 해 준다. 만일 추가적 상담이 결정된다면 상담자에게 만나기로 예약한 특정한 일정(시간, 날짜)을 말해 주어야 한다. 이것은 내담자가 앞으로의 회기를 기대하게 하고 그 상담회기에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를 예상하게 한다.
가장 복잡한 구조화 기술은 내담자에게 상담과정 자체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왈라스(Wallace, 1986)는 \"내담자는 상담이 공동의 노력이라는 것, 내담자가 상담과정에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길 기대한다는 것, 비록 상담이 희망을 갖게 하지만 성공을 약속할 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고 첫 회기를 마쳐야 한다.\"라고 지적하였다.
공동의 노력에서 내담자의 역할은 중요하고 때를 위협적인 자료를 노출하여 상담자와 공유하는 것, 문제 해결과 성장의 원인이 되는 것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진실한 만남을 만드는 것, 대안을 개발하기 위해 상담자와 같이 일하는 것, 계획을 발전시키는 행동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돕는 것, 내담자가 자신의 느낌과 동기와 행동을 이해하도록 촉진하는 것, 내담자가 자신의 현실에 대한 견해를 재구성하는 것을 돕는 것, 내담자와 행동계획을 짜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요소는 내담자가 자신의 인생을 변화시킬 주체라는 것을 명확히 이해시키는 것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대처 기술이 향상되도록 돕지만 그의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첫 회기 때 가장 좋은 구조화는 노출의 초기 과정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것은 내담자가 상담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과 기대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고, 내담자가 참여하는 방법과 참가하는 시간의 구조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