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실험날짜
3)실험목적
4)시약 및 기구
5)실험이론
6)실험과정
7)참고문헌
2)실험날짜
3)실험목적
4)시약 및 기구
5)실험이론
6)실험과정
7)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이온 전하가 커질수록 이 1에서 더 많이 벗어나므로 용액의 이상성이 더 많이
감소된다. 또한 이온 크기가 작을수록 값의 영향이 더 중요해진다. 따라서 r의 영향은
이다. 1M 이상의 높은 이온 세기를 갖는 용액에서는 대부분
이온의 활동도 계수가 증가한다.
③평형상수 결정
: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형상수 값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비로 정의하는 것이 아닌
활동도의 비로 정의한다. 이 실험의 경우 AgAc(s)의 해리 반응이 중요하게 이용된다.
()
(: 두 이온의 평균 활동도 계수)
따라서 실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는 활동도 계수는 이다.
전해질 용액에서의 평균 활동도 계수는 또한 의 식으로도
구할 수 있다. 이 때 실험을 통해 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K값을 알아야 한다. 위의 K값의
양변에 log를 취하면 이다.
(from Debye-Huckel 확장방정식)
④매커니즘 및 실험과정 설명
의 농도가 진할수록 가 커진다. 의 크기 변화에 따라 의 변화 값을 관찰한다.
온도를 증가시켜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이다.
의 해리반응의 역반응이 진행된다. 이 때 과정 에서 상층액의
만 취하므로 고체 를 걸러내야 해리반응의
평형상수를 구할 때 오차율을 줄일 수 있다.
는 강산이다. 따라서 용액 속에서 와 로 거의 해리된다. 이 때
는 와 반응하기 때문에 르샤틀리에 원리에 의해 용액 속의
와 가 다시 반응하여 가 되는 역반응의 진행을 막기 위해 넣는
것으로 보인다.
,침전반응과
반응이 진행된다. 이 때 K 값에 의해 가
보다 먼저 와 반응하게 된다. 만약 용액 속에 가 남아있을
경우에는 가 와 반응해서 적갈색을 나타내지 못하고 을
형성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용액이 적갈색으로 변하면 가 모두 반응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철백반 지시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
6)실험과정
깨끗하게 건조된 5개의 시약병에 AgAc를 약 0.4g정도 넣고 각 시약병에 지워지지 않게
번호를 매긴다. 각 시약병에 3/4정도 다음 용액을 채운다. 증류수 0.05M NaNo3 0.1M NaNo3 0.2M NaNo3 0.5M NaNo3
용액이 50~60℃가 될 때까지 뜨거운 물이 담긴 큰 비커에 시약병을 담가 둔다. 1시간정도 교반 후 고체가 가라앉도록 5~10분 정도 가만히 둔다. 각 시약병에서 부피피펫을 이용하여 5ml를 취하여 50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3ml와 6M HNO3 1ml를 넣어준다. (앞의 과정에서 부피피펫을 이용하여 5ml 이상을 취한 후 플라스틱 관을 제거한 후 정확한
양을 조절하여 맞춘다.) 용액 속의 은 이온 양은 0.1N KSCN 용액으로 적정하여 구한다. 0.1M 철백반 용액 0.25ml 를 지시약으로 넣어주고 옅은 붉갈색이 나타나 흔들어도
사라지지 않을 때까지 적정한다.
7)참고문헌
Physical Chemistry (Silbey)
분석화학 (Harris)
wikipedia/ chemical properties
https://chem.libretexts.org/Debye-Huchel theory
감소된다. 또한 이온 크기가 작을수록 값의 영향이 더 중요해진다. 따라서 r의 영향은
이다. 1M 이상의 높은 이온 세기를 갖는 용액에서는 대부분
이온의 활동도 계수가 증가한다.
③평형상수 결정
: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형상수 값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비로 정의하는 것이 아닌
활동도의 비로 정의한다. 이 실험의 경우 AgAc(s)의 해리 반응이 중요하게 이용된다.
()
(: 두 이온의 평균 활동도 계수)
따라서 실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는 활동도 계수는 이다.
전해질 용액에서의 평균 활동도 계수는 또한 의 식으로도
구할 수 있다. 이 때 실험을 통해 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K값을 알아야 한다. 위의 K값의
양변에 log를 취하면 이다.
(from Debye-Huckel 확장방정식)
④매커니즘 및 실험과정 설명
의 농도가 진할수록 가 커진다. 의 크기 변화에 따라 의 변화 값을 관찰한다.
온도를 증가시켜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이다.
의 해리반응의 역반응이 진행된다. 이 때 과정 에서 상층액의
만 취하므로 고체 를 걸러내야 해리반응의
평형상수를 구할 때 오차율을 줄일 수 있다.
는 강산이다. 따라서 용액 속에서 와 로 거의 해리된다. 이 때
는 와 반응하기 때문에 르샤틀리에 원리에 의해 용액 속의
와 가 다시 반응하여 가 되는 역반응의 진행을 막기 위해 넣는
것으로 보인다.
,침전반응과
반응이 진행된다. 이 때 K 값에 의해 가
보다 먼저 와 반응하게 된다. 만약 용액 속에 가 남아있을
경우에는 가 와 반응해서 적갈색을 나타내지 못하고 을
형성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용액이 적갈색으로 변하면 가 모두 반응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철백반 지시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
6)실험과정
깨끗하게 건조된 5개의 시약병에 AgAc를 약 0.4g정도 넣고 각 시약병에 지워지지 않게
번호를 매긴다. 각 시약병에 3/4정도 다음 용액을 채운다. 증류수 0.05M NaNo3 0.1M NaNo3 0.2M NaNo3 0.5M NaNo3
용액이 50~60℃가 될 때까지 뜨거운 물이 담긴 큰 비커에 시약병을 담가 둔다. 1시간정도 교반 후 고체가 가라앉도록 5~10분 정도 가만히 둔다. 각 시약병에서 부피피펫을 이용하여 5ml를 취하여 50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3ml와 6M HNO3 1ml를 넣어준다. (앞의 과정에서 부피피펫을 이용하여 5ml 이상을 취한 후 플라스틱 관을 제거한 후 정확한
양을 조절하여 맞춘다.) 용액 속의 은 이온 양은 0.1N KSCN 용액으로 적정하여 구한다. 0.1M 철백반 용액 0.25ml 를 지시약으로 넣어주고 옅은 붉갈색이 나타나 흔들어도
사라지지 않을 때까지 적정한다.
7)참고문헌
Physical Chemistry (Silbey)
분석화학 (Harris)
wikipedia/ chemical properties
https://chem.libretexts.org/Debye-Huchel theor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