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식이섬유의 정의
Ⅲ. 식이섬유의 설정유래
Ⅳ. 식이섬유의 종류
1. 수용성 식이 섬유
2. 비수용성 식이섬유
Ⅴ. 식이섬유별 화학적 특성
1. 셀롤로오스
2. 헤미셀롤로오스
3. 리그닌
4. 팩틴
5. 검류
6. 해조다당류
7. 키틴, 키토산
Ⅵ. 식이섬유의 체내 기능
Ⅶ. 식이섬유의 이점
1. 변비(CONSTIPATION)
2. 치핵(HEMORRHOIDS)
3. 게실증(DIVERTICULAR DISEASE)
4.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5. 대장암(COLON CANCER)
6.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참고문헌
Ⅱ. 식이섬유의 정의
Ⅲ. 식이섬유의 설정유래
Ⅳ. 식이섬유의 종류
1. 수용성 식이 섬유
2. 비수용성 식이섬유
Ⅴ. 식이섬유별 화학적 특성
1. 셀롤로오스
2. 헤미셀롤로오스
3. 리그닌
4. 팩틴
5. 검류
6. 해조다당류
7. 키틴, 키토산
Ⅵ. 식이섬유의 체내 기능
Ⅶ. 식이섬유의 이점
1. 변비(CONSTIPATION)
2. 치핵(HEMORRHOIDS)
3. 게실증(DIVERTICULAR DISEASE)
4.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5. 대장암(COLON CANCER)
6.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도체)이 5,000개 이상 결합된 천연의 고분자 화합물로 소화 흡수되지 않는 동물성 식이섬유이다.
Ⅵ. 식이섬유의 체내 기능
식이섬유 자체는 인체 내에서 소화되지 않지만 위장으로부터 소장, 대장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보수성, 양이온 교환성, 겔 형성력, 흡착성 등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의해서 다른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체내에 들어와 위에서 수분을 흡착하여 팽창한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높은 보수성을 지니기 때문에 쉽게 점성을 띠는 용액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성질은 위내에서 위의 음식물을 배출해내는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위의 음식물의 점성이 크면 위 배출 속도가 느려져서 위 속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일단 소장으로 배출된 음식물은 높은 점성으로 인하여 소장 내용물과 잘 혼합되지 않으므로 소화효소와의 혼합이 느려지고 결과적으로 소장 내막 세포 안으로 흡수되는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이섬유의 점성은 음식물의 소화흡수 속도를 늦추어서 포만감을 느끼게 한다. 즉, 식이섬유는 위장관 내에서 에너지원으로는 이용되지 않고, 얼마간의 공간을 차지하여 가득 찬 느낌 즉 만복감을 부여한다. 식이섬유의 종류에 따라 양이온과 결합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 양이온과 결합하는 능력이 가장 큰 식이섬유는 펙틴류이다. 식이섬유의 이러한 능력은 칼슘, 아연 등의 무기질과 결합하여 체내에서 이들 무기질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무기질의 영양의 측면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식이섬유는 카드뮴, 수은등가 같은 중금속과 결합하여 그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중금속으로 인한 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Ⅶ. 식이섬유의 이점
식사 중 식이섬유의 증가와 더불어 지방의 감소가 또한 권장된다. 이것은 식사만으로 또는 식사와 식이섬유 보충으로 얻을 수 있다. 만약 식이섬유의 양을 증가시키기로 결정하였다면, 천천히 올릴 것을 충고한다. 단번에 너무 많이 올리면 복부 팽만감, 방귀, 복부통증을 초래할 수 있다. 식사에 고섬유식이나 식이섬유 보충을 점진적으로 할 때, 소화기관이 보다 부드럽고 편안하게 된다. 일단 25~35g의 식이섬유를 매일 섭취하게 되면 다음의 상황에서 호전을 느끼게 될 것이다.
1. 변비(CONSTIPATION)
식이섬유는 분변의 수분함량을 증가시키고 보다 부피가 커지고 부드러운 분변을 만든다. 식이섬유는 장관의 기능을 돕고, 가공된 자극성 하제와 같은 배변습관에 대한 자극적인 효과를 피한다.
2. 치핵(HEMORRHOIDS)
배변시의 긴장에 의해 생기는 직장과 항문의 커진 정맥들은 때로 변비에 의해 더욱 심해진다. 식이섬유는 부드러운 분변을 만들어 긴장과 자극을 감소시켜 정상이 되게 한다.
3. 게실증(DIVERTICULAR DISEASE)
이는 장벽에 팽창으로 인한 작은 주머니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런 환자들은 변비가 설사로 변하는 것이나, 좌하복부의 통증을 경험한다. 고섬유식은 이런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유익하다.
4.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는 정상적인 분변의 이동을 일으키는 대장의 근육수축이 비정규적으로 일어나 설사, 변비 또는 둘 다 일어나는 질환이다. 또한 이 질환은 정서적으로 심한 고민이 있으면 잘 유발되기도 한다. 식이섬유는 복부불쾌감을 줄이고 대장을 이완시켜 장운동을 정상적으로 일관되게 일어나도록 한다.
5. 대장암(COLON CANCER)
일부 실험에 의하면 식이섬유가 장내 독성물질을 흡수, 제거하고 이런 물질이 대장과 접하는 시간을 줄여서 대장암의 발생위험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콘실은 대장암의 고위험군에서 향후 암발생의 예방과 위험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6.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최근 연구에 의하면 수용성 섬유는 전체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린다. 지방섭취의 감소와 수용성 식이섬유의 소비증가는 혈중의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의 수치를 낮춘다. LDL은 동맥을 막을 수 있고 심장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콜레스테롤의 한 형태이다.
참고문헌
김순동 외 4명(2002), 현대인과 건강식품, 학문사
맹영선·허태련, 식품과 건강, 유한 문화사
이원종(2004), 위기의 식탁을 구하는 거친 음식, 랜덤하우스중앙
조경자·강희정·노경희, 현대인의 식생활, 신정출판
정동효(2004), 식이섬유의 과학, 신광문화사
정종호(2001), 꼭꼭 씹어먹는 영양 이야기, 종문화사
최혜미(2002), 21세기 영양과 건강 이야기
Ⅵ. 식이섬유의 체내 기능
식이섬유 자체는 인체 내에서 소화되지 않지만 위장으로부터 소장, 대장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보수성, 양이온 교환성, 겔 형성력, 흡착성 등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의해서 다른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체내에 들어와 위에서 수분을 흡착하여 팽창한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높은 보수성을 지니기 때문에 쉽게 점성을 띠는 용액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성질은 위내에서 위의 음식물을 배출해내는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위의 음식물의 점성이 크면 위 배출 속도가 느려져서 위 속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일단 소장으로 배출된 음식물은 높은 점성으로 인하여 소장 내용물과 잘 혼합되지 않으므로 소화효소와의 혼합이 느려지고 결과적으로 소장 내막 세포 안으로 흡수되는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이섬유의 점성은 음식물의 소화흡수 속도를 늦추어서 포만감을 느끼게 한다. 즉, 식이섬유는 위장관 내에서 에너지원으로는 이용되지 않고, 얼마간의 공간을 차지하여 가득 찬 느낌 즉 만복감을 부여한다. 식이섬유의 종류에 따라 양이온과 결합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 양이온과 결합하는 능력이 가장 큰 식이섬유는 펙틴류이다. 식이섬유의 이러한 능력은 칼슘, 아연 등의 무기질과 결합하여 체내에서 이들 무기질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무기질의 영양의 측면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식이섬유는 카드뮴, 수은등가 같은 중금속과 결합하여 그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중금속으로 인한 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Ⅶ. 식이섬유의 이점
식사 중 식이섬유의 증가와 더불어 지방의 감소가 또한 권장된다. 이것은 식사만으로 또는 식사와 식이섬유 보충으로 얻을 수 있다. 만약 식이섬유의 양을 증가시키기로 결정하였다면, 천천히 올릴 것을 충고한다. 단번에 너무 많이 올리면 복부 팽만감, 방귀, 복부통증을 초래할 수 있다. 식사에 고섬유식이나 식이섬유 보충을 점진적으로 할 때, 소화기관이 보다 부드럽고 편안하게 된다. 일단 25~35g의 식이섬유를 매일 섭취하게 되면 다음의 상황에서 호전을 느끼게 될 것이다.
1. 변비(CONSTIPATION)
식이섬유는 분변의 수분함량을 증가시키고 보다 부피가 커지고 부드러운 분변을 만든다. 식이섬유는 장관의 기능을 돕고, 가공된 자극성 하제와 같은 배변습관에 대한 자극적인 효과를 피한다.
2. 치핵(HEMORRHOIDS)
배변시의 긴장에 의해 생기는 직장과 항문의 커진 정맥들은 때로 변비에 의해 더욱 심해진다. 식이섬유는 부드러운 분변을 만들어 긴장과 자극을 감소시켜 정상이 되게 한다.
3. 게실증(DIVERTICULAR DISEASE)
이는 장벽에 팽창으로 인한 작은 주머니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런 환자들은 변비가 설사로 변하는 것이나, 좌하복부의 통증을 경험한다. 고섬유식은 이런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유익하다.
4.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는 정상적인 분변의 이동을 일으키는 대장의 근육수축이 비정규적으로 일어나 설사, 변비 또는 둘 다 일어나는 질환이다. 또한 이 질환은 정서적으로 심한 고민이 있으면 잘 유발되기도 한다. 식이섬유는 복부불쾌감을 줄이고 대장을 이완시켜 장운동을 정상적으로 일관되게 일어나도록 한다.
5. 대장암(COLON CANCER)
일부 실험에 의하면 식이섬유가 장내 독성물질을 흡수, 제거하고 이런 물질이 대장과 접하는 시간을 줄여서 대장암의 발생위험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콘실은 대장암의 고위험군에서 향후 암발생의 예방과 위험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6.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최근 연구에 의하면 수용성 섬유는 전체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린다. 지방섭취의 감소와 수용성 식이섬유의 소비증가는 혈중의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의 수치를 낮춘다. LDL은 동맥을 막을 수 있고 심장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콜레스테롤의 한 형태이다.
참고문헌
김순동 외 4명(2002), 현대인과 건강식품, 학문사
맹영선·허태련, 식품과 건강, 유한 문화사
이원종(2004), 위기의 식탁을 구하는 거친 음식, 랜덤하우스중앙
조경자·강희정·노경희, 현대인의 식생활, 신정출판
정동효(2004), 식이섬유의 과학, 신광문화사
정종호(2001), 꼭꼭 씹어먹는 영양 이야기, 종문화사
최혜미(2002), 21세기 영양과 건강 이야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