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_생물학(유산균에대한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Ⅱ. 본론 1

1. 유산균의 종류 1

(1) Streptococcus 2

(2) Pediococcus 3

(3) Leuconostoc 4

(4) Lactobacillus 4

(5) Bifidobacterium 5

2. 유산균의 이용과 균종 6

3. 유산균의 효과 6

(1)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의 개선 6

(2) 항생물질 치료에 의한 부작용의 경감 6

(3) 장내균총의 개선과 장내부패의 억제 6

(4) Yoghurt의 콜레스테롤저하 작용 7

(5) Yoghurt의 항암효과 7

(6) 김치발효 유산균의 효과 7

(7) 유산균의 항암활성 및 항돌연변이 효과 8

4. 유산균의 작용 경로 9

(1) 유산균의 효과 10

(2) 발효에 의해서 생성된 유효물질의 효과 10

III. 결론 11

IV. 참고문헌 11

본문내용

plantarum의 파쇄액을 경구투여한 쥐에서 항종양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암세포가 다른 기관에 증식하는 것을 상당 수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또한 김치의 섭취 기간 중 김치에 존재하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와 Leuconostoc의 수가 장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장내 유해효소로 알려진 β-glucosidase와 β-glucuronidase의 수준은 김치 섭취시에 유의적으로 감소한다고 한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균체 시료들의 돌연변이 유발억제효과를 실험 결과에서도 L. mesenteroides, L. plantarum과 같은 유산균들은 항암기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유제품 분리유산균인 L. acidophilus와 비슷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김치 유산균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벽성분과 세포질 성분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균체의 항돌연변이 활성은 세포벽 물질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Bogdanov 등(1975)의 L. bulgaricus의 세포벽의 peptidoglycan이 종양생성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다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L. plantarum의 세포벽성분이 복수암 및 고형암에 대해 항암효과가 있다고 하였는데, 세포벽 물질 중 peptidoglycan 부분 보다는 다당류 분획이 암억제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4. 유산균의 작용 경로
발효유, 유산균음료의 효용에 대해서는 위장장애, 간장장해, 신염, 하리, 대장염, 식욕부진, 빈혈등에 유효하고 이것이 장연동의 조절, 병원균의 억제, 소화흡수의 촉진, 고장의 경감, 간장기능의 촉진등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성인의 장내균총은 소장에서는 주로 Lactobacillus, Streptococcus가 서식하고, 맹장을 지나 대장에서 급격하게 균수가 증가하여 Bactericaceae, Eubaterium, Peptococcaceae, Bifidocaterium 등의 혐기성균의 주요균총으로서 그 수가 급격하게 많아지게 되고 대장균이나 Streptococcus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그 수가 약간 적은 편이다. 특히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는 Clostridium perfringene, Pseudomonas 등도 소수로서 개체에 따라서 일정치 않다. 이같은 균총의 균형은 상당히 안정하나 질병에 걸리거나 노화에 의하여 균형이 깨지게 된다. 또 노화한 사람에서는 지금가지 우세균총의 하나였던 Bifidus균이 감소 또는 소실되고 소수였던 대장균, Loctobacillus가 증가한다. 그리고 이 같은 상태는 점점 노화를 빠르게 한다.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세균이 서식하고 있는 것은 수명이나 암발생의 관점에서 보면 반드시 유리한 것은 아니다. 이것은 무균 동물의 수명이 보통 동물의 1.5배가 되고 암에 걸리는 시기는 보통동물보다 훨씬 늦어진다는 것이 알려졌다. 즉 장내에는 유용균과 유해균이 일정한 균형으로 서식하고 유용균은 비타민이나 단백질을 합성하고 또 소화흡수를 도와 외래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기능을 자극하는 등의 숙주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되는 반면 유해균은 장내에서 숙주에게 유해한 여러 가지 물질을 생성하고 급성이나 만성질병, 노화, 암발생에 관여하고 있다.
특히 숙주의 저항성이 저하되면 장내균의 어느 것은 장관으로 체내에 침입하여 독소를 만들어 숙주를 쓰러뜨리기까지 한다.
어느 균이 어느 정도 유용한가 유해한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은데 장내의 유해균을 억제하고 유용균을 증식하도록 하면 노화, 발암을 억제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장내균의 균형을 지배하고 유해물질 생성의 소재가 되기도 하고 그것을 조절하는 것이 음식물이다. 음식물 성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장내균총을 매개하여 발현할 가능성이 강하고, 발효유, 유산균음료의 효과도 상체로서의 직접효과와 동시에 장내유해균의 증식억제, 유해물질의 생성억제, 장내유용균의 증식촉진등, 장내균총의 구성이나 대사를 개선함으로써 효과가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유산규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유산균 그 자체에 의한 효과와 동시에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발효생성물의 효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유산균의 효과
가. 생균의 효과
① 유효물질의 생성
-직접작용
-장내 균총을 이롭게 하는 작용
②유해물질의 감소
③유해균의 배제
나. 사균(균체성분)
① 생체의 면역기능을 증강
② 장내균총을 이롭게 하는 작용
(2) 발효에 의해서 생성된 유효물질 효과
가. 생체에 직접 유효하게 작용
① 유산 : 위산분비의 경감, 장내부패를 억제
② alcohol, CO2 : 장관의 신경에 작용
③ Calactate : Ca의 흡수를 향상
④ Peptone, Peptide : 간기능, 장분비를 촉진
⑤ 그 외의 생리활성물질 : 생체에 약리효과, 장내균총의 균형을 개선
⑥ 효소 : 소화흡수를 돕는다.
나. 장내균총을 이롭게 하는 효과
III. 결론
문화의 발달과 함께 생활양식의 변화에 수반하여 풍족한 식생활로 식품의 instant화와 고급화로서 지적되고 있는 것이 과잉영양에 의한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심장병, 대장암, 유암의 성인병이 증가하므로 앞으로의 식생활에서는 성인병 예방을 위한 식사가 식생활과 밀착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유산균을 이용한 식품은 그 같은 의미에서 가장 전통적인 건강식품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생각할 수 있고 식품공업에 있어서 앞으로 크게 발달이 기대되는 제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IV. 참고문헌
박건영, 최홍식, "김치 유산균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생물산업,13(3), (2000).
이정준, 백영진, “유산균의 건강증진 효과”, 생물산업, Vol.14 No.1, (2001).
이창호, 박희동, "김치로부터 항돌연변이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7(1), (1999).
정동효, “유산균의 과학”, 신일상사, (2004).
최홍식, 황정희, "김치 및 김치재료의 항산화 기능성", 식품산업과 영양, 5(3), (200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2.1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