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유전적 이론
1. 가족연구
2. 쌍생아 연구
3. 입양 연구
II. 뇌 구조의 이상
III. 태내 및 출생 시의 이상
IV. 신경전달물질
* 참고문헌
1. 가족연구
2. 쌍생아 연구
3. 입양 연구
II. 뇌 구조의 이상
III. 태내 및 출생 시의 이상
IV. 신경전달물질
* 참고문헌
본문내용
pathway)에서는 과다한 도파민 수준이, 그리고 다른 일부 뇌 영역(예: 전전두엽)에서는 과소한 도파민 수준이 정신분열병의 증상을 야기한다는 것이다(Conklin & lacono, 2000; Davis, Kahn, Ko, & Davidson, 1991).
이 외에도 중변연계(mesolimbic system)의 도파민 뉴런을 조절하는 세로토닌의 이상(Bondolfi et al., 1998; Breier, 1995)과 글루타메이트와 GABA의 이상(Goff & Coyle, 2001; Tsai & Coyle, 2002)이 정신분열병과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루타메이트와 GABA는 대뇌에 만연되어 있는 신경전달물질인 관계로 그 대사의 이상은 여러 가지 인지적, 정서적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 외에도 중변연계(mesolimbic system)의 도파민 뉴런을 조절하는 세로토닌의 이상(Bondolfi et al., 1998; Breier, 1995)과 글루타메이트와 GABA의 이상(Goff & Coyle, 2001; Tsai & Coyle, 2002)이 정신분열병과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루타메이트와 GABA는 대뇌에 만연되어 있는 신경전달물질인 관계로 그 대사의 이상은 여러 가지 인지적, 정서적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