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인 교육으로 흘러갈 위험이 있으며 개인의 인성보단 사회적 가치 주입에 더 큰 비중을 둔다. 학생위주의 교육보다 기성세대에 대한 교육을 강조 하다 보면 기성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신세대들의 교육에서의 경쟁은 심화 될 수밖에 없으며 개성과 인간성을 메마르게 한다.
결론
이상으로 뒤르켐의 교육사상에 대해 그 특징과 의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론에서는 뒤르켐의 사상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밝히는 것으로 끝을 맺고자 한다. 기능주의 사상의 주장대로 사회의 존속을 위해서는 기성세대의 사상과 규범이 후속세대에게 전수되고 교육되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 없이 합리적인 생각이다. 그래야만 혼돈과 투쟁으로 인한 손실과 파괴를 최소화 하고 이전까지 축적되어온 사회 체제와 지식이 축적되고 사회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충실히 해나갈 때 사회가 존속된다. 사회의 존속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도덕과 규범의 교육이다. 따라서 국가가 가장 중점적으로 장악하고자 하는 교육이 바로 도덕과 사회 윤리이다. 우리나라 역시 초등학교 교육과 중등교육의 윤리와 국사 교과서는 국가에서 직접 관리 한다. 그 이유가 바로 뒤르켐이 말한 도덕교육의 목적 때문이 아닐까? 하는생각과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대로 신세대를 교육하기 위해서, 사회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인간상을 만들기 위해서 교육은 국민의 권리이기 이전에 의무로 지워져 있다. 이러한 요구가 맞아 떨어져 국민은 일정정도의 교육을 국가로부터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는 곧 개개인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학습하기 이전에 이미 국가와 사회 전체에 필요한 교육을 우선적으로 받아야 함을 의미한다. 즉 개인이 우선이 아닌 사회의 유지가 우선이란 뜻이다.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국가가 요구하는 교육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는 가차 없이 도태된다. 이러한 기능주의적 관점으로 보면 사회 부적응자는 신체에서의 암세포나 세균과 같아서 일단 제거 대상이 되는 것이다. 또한 사회가 규정한 우수한 분업위치에 들어가기 위해 피교육자들은 학교교육에서 엄청난 경쟁을 겪어야 한다. 이는 기능주의 이론이 갖는 이점만큼이나 큰 단점이라고 생각한다. 사회통합과 안정을 추구하면서도 사회에 대해 아니라고 대답하고 자기만의 생각을 가진 사람에게 관용을 베푸는 것을 바라는 것은 무리일까? 우리주변에도 자신만의 생각으로 큰 장점을 가진사람들이 분명히 존재할것이다
결론
이상으로 뒤르켐의 교육사상에 대해 그 특징과 의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론에서는 뒤르켐의 사상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밝히는 것으로 끝을 맺고자 한다. 기능주의 사상의 주장대로 사회의 존속을 위해서는 기성세대의 사상과 규범이 후속세대에게 전수되고 교육되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 없이 합리적인 생각이다. 그래야만 혼돈과 투쟁으로 인한 손실과 파괴를 최소화 하고 이전까지 축적되어온 사회 체제와 지식이 축적되고 사회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충실히 해나갈 때 사회가 존속된다. 사회의 존속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도덕과 규범의 교육이다. 따라서 국가가 가장 중점적으로 장악하고자 하는 교육이 바로 도덕과 사회 윤리이다. 우리나라 역시 초등학교 교육과 중등교육의 윤리와 국사 교과서는 국가에서 직접 관리 한다. 그 이유가 바로 뒤르켐이 말한 도덕교육의 목적 때문이 아닐까? 하는생각과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대로 신세대를 교육하기 위해서, 사회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인간상을 만들기 위해서 교육은 국민의 권리이기 이전에 의무로 지워져 있다. 이러한 요구가 맞아 떨어져 국민은 일정정도의 교육을 국가로부터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는 곧 개개인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학습하기 이전에 이미 국가와 사회 전체에 필요한 교육을 우선적으로 받아야 함을 의미한다. 즉 개인이 우선이 아닌 사회의 유지가 우선이란 뜻이다.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국가가 요구하는 교육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는 가차 없이 도태된다. 이러한 기능주의적 관점으로 보면 사회 부적응자는 신체에서의 암세포나 세균과 같아서 일단 제거 대상이 되는 것이다. 또한 사회가 규정한 우수한 분업위치에 들어가기 위해 피교육자들은 학교교육에서 엄청난 경쟁을 겪어야 한다. 이는 기능주의 이론이 갖는 이점만큼이나 큰 단점이라고 생각한다. 사회통합과 안정을 추구하면서도 사회에 대해 아니라고 대답하고 자기만의 생각을 가진 사람에게 관용을 베푸는 것을 바라는 것은 무리일까? 우리주변에도 자신만의 생각으로 큰 장점을 가진사람들이 분명히 존재할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