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문제] 한국사회에서 지역이나 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해결하고자 한 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회문제] 한국사회에서 지역이나 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해결하고자 한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전은 필요악 인가, 전력 수급의 불가피한 선택인가

2. 사회문제로 인식되는 기장 고리원전1호기

3. 고리원전 1호기의 상태

4. 고리원전 1호기 재사용 승인신청, 과연 타당한가?

5. 지역사회와 시민단체의 활동

6. 생태 민주주의의 확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벌을 파괴하면서 건설되는 화력발전소는 지양하고, 신 재생에너지와 대체에너지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 대다수 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멀쩡한 강에 22조원 이라는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붓는 어리석은 짓을 할 것이 아니라, 미래 지향적이고 건설적인 이런 사업에 예산을 집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환경 분야에서 자타가 인정하는 선진국 독일은 점진적으로 핵발전소를 폐기해 나갈 것을 천명하였다. 미래세대를 위해 현세대가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100년, 200년 앞을 내다보는 선진 국민다운 생각으로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경 친화적인 인간 중심의 기술인 적정기술이 범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뜻한 기술, 착한 기술, 인간의 얼굴을 한 기술, 사회 기술, 나눔을 위한 기술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며 저개발국이나 농촌 현지의 지역적 조건에 맞춰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를 가능케 한다고 한다. 이제는 저개발국 뿐 만이 아니라, 환경 문제의 대안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거론되고 있다. 적정기술은 포괄적으로 보면, 원자력 문제를 포함한 제반 환경 분야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지 모른다.
7. 참고문헌
구도완 외 공저. 한국 사회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문화원. 2015
오마이뉴스 특별취재팀. 마을의 귀환. 오마이북. 2013
염광희. 잘 가라, 원자력. 한울 아카데미. 2012.3
이익환. 원자력을 말하다. 대영문화사. 2012.11
고재경. 따뜻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적정기술. 경기개발원. 2013
인터넷 검색 사이트(다음, 네이버)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7.29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7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