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상논쟁] 롤스의 평등과 싱어의 평등 비교 논쟁(수저계급론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것은 살아있는 산토끼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상황에서 A는 산토끼를 잡아먹어야 할까요? 아니면 동물의 이익 보호를 위해 그냥 굶어 죽어야 할까요? 또한 물에 빠진 사람과 강아지가 있는데 둘 중 하나만 구할 수 있을 때 누구를 구하는 것이 정의로울까요? 당신의 주장은 이와 같이 특수한 상황에서는 어떠한 논리를 지니고 있습니까? 만약 당신이 이러한 저의 질문에 완벽하게 대답할 수 있다면 한 국가의 문제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평등을 추구해야 한다는 당신의 입장에 동의하겠습니다. 저 역시 장기적으로는 그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상적인 평등과 현실적인 평등 사이에는 차이가 있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현재 현실세계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점을 항상 유의해주기 바랍니다.
추천자료
된장녀를 중심으로 살펴본 ~~녀 현상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한국사회문제 D형]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빈부격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우리 사...
[개인주의][공동체주의][개인주의 발달과정][공동체주의 발달과정][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논...
(한국사회문제B형)추적한국건강불평등을 읽고 의료를 서비스로 간주하는 관점의 등장배경과 ...
[성불평등]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성불평등을 정책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외국의 ...
[청소년교육] 우리나라 청소년 교육문제가 왜 중요하며 현재 상황 외국의 상황비교 최근 교육...
2018년 정책이슈 총정리
타블로 학력위조 논란을 통해 살펴본 교육에서의 분배정의 - 국가의 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