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몸말
1. 국어과 협동학습의 이론적 기반
(1) 국어과 협동학습의 필요성
(2)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징
(3) 국어과 협동학습 모형의 적용 절차
(4) 교사의 역할
(5) 국어과 협동학습 모형의 종류
2. 토너먼트 게임식 학습법(TGT)
(1) 개념과 특징
(2) 적용절차
1) 학습 목표 설정
2) 교수 ․ 학습의 준비
3) 학습 내용의 제시 및 완성
4) 게임 방법 및 과정
5) 반성 및 평가
3. 시조수업의 TGT 학습 모형 적용의 실제
(1) 중학교 교과서의 시조 문학의 실태
(2) ‘시조 두 편’의 TGT모형 적용 계획
(3) TGT모형을 적용한 ‘시조 두편’ 교수-학습 과정안
Ⅲ. 맺음말
Ⅱ. 몸말
1. 국어과 협동학습의 이론적 기반
(1) 국어과 협동학습의 필요성
(2)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징
(3) 국어과 협동학습 모형의 적용 절차
(4) 교사의 역할
(5) 국어과 협동학습 모형의 종류
2. 토너먼트 게임식 학습법(TGT)
(1) 개념과 특징
(2) 적용절차
1) 학습 목표 설정
2) 교수 ․ 학습의 준비
3) 학습 내용의 제시 및 완성
4) 게임 방법 및 과정
5) 반성 및 평가
3. 시조수업의 TGT 학습 모형 적용의 실제
(1) 중학교 교과서의 시조 문학의 실태
(2) ‘시조 두 편’의 TGT모형 적용 계획
(3) TGT모형을 적용한 ‘시조 두편’ 교수-학습 과정안
Ⅲ. 맺음말
본문내용
하며 어이 갈꼬 하더라.
<자료2> 게임카드 문제
번호
문제 카드
정답 카드
1
‘산촌에 눈이 오니’의 글의 종류?
시조(평시조)
2
‘산촌에 눈이 오니’의 형식은 ( )음보로 된 ( )장 ( )구의 평시조이다.
4, 3, 6
3
평시조의 작자층은?
주로 사대부 양반 계층
4
‘산촌에 눈이 오니’의 화자는 누구인가?
산골 마을에 사는 선비
5
‘산촌에 눈이 오니’에 드러나는 화자의 태도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려 함
6
‘논밭 갈아 김 매고’의 글의 종류?
시조(사설시조)
7
사설시조의 작자층은?
주로 중인, 평민 계층
8
‘논밭 갈아 김 매고’의 화자는 누구인가?
나무를 하는 평민
9
‘논밭 갈아 김 매고’는 ( )을 제외하고는 형식적 제약이 없다.
종장 3음절
10
‘논밭 갈아 김 매고’에 드러나는 화자의 태도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고 볼 수도 있고, 일과를 맞춘 후 즐거워한다고도 볼 수 있다.
11
두 시조에서 드러나는 한국 문학의 특질은 ‘여유로운 시 ( )과
( )의 문학’이다.
형식, 자연 친화
12
1. 다음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산촌(山村)에 눈이 오니 돌길이 묻혔구나.
시비(柴扉)를 열지 마라, 날 찾을 이 뉘 있으랴.
밤중만 일편명월(一片明月)이 긔 벗인가 하노라.
① 정형시이다.
② 화자는 평민이다.
③ 4음보 율격의 평시조이다.
④ 자연 친화의 문학 작품이다.
⑤ 자연 속에서 조용히 지내고 싶음을 노래했다.
2
13
2. 다음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논밭 갈아 김 매고 베잠방이 대님쳐 신 들매고,
낫 갈아 허리에 차고 도끼 벼려 둘러메고 무림산중 들어가서 삭정이 마른 섶을 베고 잘라서 지게에 짊어 지팡이 받쳐 놓고 샘을 찾아가서 점심 도시락 비우고 곰방대를 톡톡 떨어 잎담배 피워 물고 콧노래 조올다가,
석양이 재 넘어갈 제 어깨를 추스르며 긴 소리 짧은 소리 하며 어이 갈꼬 하더라.
① 초장, 중장, 종장 세 장으로 구성되었다.
② 자연과 벗하고 싶은 농부의 삶을 노래로 표현하고 있다.
③ 종장 첫구를 제외한 초장, 중장은 그 형식이 일정하지 않다.
④ 평시조에 많은 변화를 주어 자유롭게 농부의 삶을 표현하고 있다.
⑤ 아침 일찍 논밭일 하고 산에 가서 나무를 하는 농부의 일과를 노래하고 있다.
2
<자료3> 학습지
<모둠 활동 2>
사설시조 ‘논밭 갈아 김 매고’를 아래에 제시된 순서에 따라 랩송으로 만들어 불러 보자.
1. 시조에 어울리는 곡 정하기
MC몽 <너에게 쓰는 편지>
2. 노랫가락에 맞게 시조 내용 수정하기
My Life It\'s Like a song 너에게 쓰는 편지 잘 들어봐 Chek it
My Life It\'s Like a farming 너에게 말하는 나의 하루 잘 들어봐 Chek it
눈부신 태양 아래 내리쬐는 햇빛
눈부신 태양 아래 논밭 갈아 김 매고
그 안에 사랑이 숨쉬게 하는 너와 나
신들매고 낫 차고 도끼 메고 무림산중 go!
너에 그 작은 마음 하나 하나가
삭정이 마른 섶 지게에 싣고
내게 더 없이 큰 사랑의 미로가
샘을 찾아가 도시락 먹고
You so Beautiful 아름다운 너의 미소
I\'m too full 잎담배 피워 물고
난 니가 아니면 사랑에 목말라
석양이 재 넘어갈 제 어깨를 추스려
난 니가 아니면 기쁨에 목말라
긴소리 짧은 소리 어이갈꼬?
넌 어떤 누구보다 내게 남달라
긴소리 짧은 소리 어이갈꼬?
3. 가락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자료4> 평가 기준
기 준
내용
시조의 내용이 노래에 잘 반영되었는가?
상
중
하
노래에 맞게 시조의 내용을 잘 수정하였는가?
상
중
하
태도
바른 자세로 노래를 불렀는가?
상
중
하
큰 소리, 분명한 발음으로 노래하여 가사 전달이 잘 되었는가?
상
중
하
Ⅲ. 맺음말
지금까지 협동학습의 특징과 협동학습의 한 종류인 TGT모형에 대한 자세한 이론을 알아보고, 이 모형을 ‘시조 두 편’에 적용해 보았다. TGT모형의 특성상 기본 수업 내용을 가르치는 데 이용되기 보다는 수업 내용을 평가하는 데 이용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시조 수업에서 한 쪽으로 편중된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평가도 교수학습의 한 부분이고 지금까지 해 왔던 단순한 시험 형식보다는 색다른 평가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서 이 모형을 적용해 보았다.
TGT모형은 수업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적절한 흥분과 스릴을 갖게 함과 동시에 학습 동기 유발의 효과와 성공의 기회를 모든 학생에게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모둠이 성공하려면 개개인이 최선을 다해야 하므로 모둠의 상위권 학생들이 동료를 지도하여 학습 내용에 대한 개념이 확실해 지는 기회를 얻게 되고, 중위권, 하위권 학생들은 또래 집단의 학생에게 스스럼없이 질문을 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쉬운 또래의 언어로 지도를 받는 자연스러운 상호 지원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모둠 구성원 간에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동안 구성원을 서로 존중해 주고 동료에 대한 신뢰감과 자아 존중감 등 정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게임 카드와 정답 카드, 점수표를 만드는 등 교사의 노력 부담이 너무 많고, 학생들에게 게임 방식을 설명해서 이해시키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어 부진 학생들은 게임 점수를 하나도 얻지 못하고 항상 점수가 마이너스일 가능성이 많아 모든 게임을 포기해 버릴 수 있을 것이다.
TGT모형은 한 달에 한번 정도 한 단원이 끝나고 나서 ‘단원 평가’를 실시할 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학생들에게 신나고 재미있는 수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참고 자료>
중학교 국어 3-2
신헌재 외6명,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 박이정, 2003.
신헌재 이주섭 , 『국어교육과 협동학습』,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5집, 1999.
김덕현, 『시조문학 교육론』, 박이정, 2004
문학과 문학교육 연구소 『문학과 문학교육』, 푸른사상, 2001
http://www.kerinet.re.kr
http://www.edkorea.pe.kr
<자료2> 게임카드 문제
번호
문제 카드
정답 카드
1
‘산촌에 눈이 오니’의 글의 종류?
시조(평시조)
2
‘산촌에 눈이 오니’의 형식은 ( )음보로 된 ( )장 ( )구의 평시조이다.
4, 3, 6
3
평시조의 작자층은?
주로 사대부 양반 계층
4
‘산촌에 눈이 오니’의 화자는 누구인가?
산골 마을에 사는 선비
5
‘산촌에 눈이 오니’에 드러나는 화자의 태도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려 함
6
‘논밭 갈아 김 매고’의 글의 종류?
시조(사설시조)
7
사설시조의 작자층은?
주로 중인, 평민 계층
8
‘논밭 갈아 김 매고’의 화자는 누구인가?
나무를 하는 평민
9
‘논밭 갈아 김 매고’는 ( )을 제외하고는 형식적 제약이 없다.
종장 3음절
10
‘논밭 갈아 김 매고’에 드러나는 화자의 태도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고 볼 수도 있고, 일과를 맞춘 후 즐거워한다고도 볼 수 있다.
11
두 시조에서 드러나는 한국 문학의 특질은 ‘여유로운 시 ( )과
( )의 문학’이다.
형식, 자연 친화
12
1. 다음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산촌(山村)에 눈이 오니 돌길이 묻혔구나.
시비(柴扉)를 열지 마라, 날 찾을 이 뉘 있으랴.
밤중만 일편명월(一片明月)이 긔 벗인가 하노라.
① 정형시이다.
② 화자는 평민이다.
③ 4음보 율격의 평시조이다.
④ 자연 친화의 문학 작품이다.
⑤ 자연 속에서 조용히 지내고 싶음을 노래했다.
2
13
2. 다음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논밭 갈아 김 매고 베잠방이 대님쳐 신 들매고,
낫 갈아 허리에 차고 도끼 벼려 둘러메고 무림산중 들어가서 삭정이 마른 섶을 베고 잘라서 지게에 짊어 지팡이 받쳐 놓고 샘을 찾아가서 점심 도시락 비우고 곰방대를 톡톡 떨어 잎담배 피워 물고 콧노래 조올다가,
석양이 재 넘어갈 제 어깨를 추스르며 긴 소리 짧은 소리 하며 어이 갈꼬 하더라.
① 초장, 중장, 종장 세 장으로 구성되었다.
② 자연과 벗하고 싶은 농부의 삶을 노래로 표현하고 있다.
③ 종장 첫구를 제외한 초장, 중장은 그 형식이 일정하지 않다.
④ 평시조에 많은 변화를 주어 자유롭게 농부의 삶을 표현하고 있다.
⑤ 아침 일찍 논밭일 하고 산에 가서 나무를 하는 농부의 일과를 노래하고 있다.
2
<자료3> 학습지
<모둠 활동 2>
사설시조 ‘논밭 갈아 김 매고’를 아래에 제시된 순서에 따라 랩송으로 만들어 불러 보자.
1. 시조에 어울리는 곡 정하기
MC몽 <너에게 쓰는 편지>
2. 노랫가락에 맞게 시조 내용 수정하기
My Life It\'s Like a song 너에게 쓰는 편지 잘 들어봐 Chek it
My Life It\'s Like a farming 너에게 말하는 나의 하루 잘 들어봐 Chek it
눈부신 태양 아래 내리쬐는 햇빛
눈부신 태양 아래 논밭 갈아 김 매고
그 안에 사랑이 숨쉬게 하는 너와 나
신들매고 낫 차고 도끼 메고 무림산중 go!
너에 그 작은 마음 하나 하나가
삭정이 마른 섶 지게에 싣고
내게 더 없이 큰 사랑의 미로가
샘을 찾아가 도시락 먹고
You so Beautiful 아름다운 너의 미소
I\'m too full 잎담배 피워 물고
난 니가 아니면 사랑에 목말라
석양이 재 넘어갈 제 어깨를 추스려
난 니가 아니면 기쁨에 목말라
긴소리 짧은 소리 어이갈꼬?
넌 어떤 누구보다 내게 남달라
긴소리 짧은 소리 어이갈꼬?
3. 가락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자료4> 평가 기준
기 준
내용
시조의 내용이 노래에 잘 반영되었는가?
상
중
하
노래에 맞게 시조의 내용을 잘 수정하였는가?
상
중
하
태도
바른 자세로 노래를 불렀는가?
상
중
하
큰 소리, 분명한 발음으로 노래하여 가사 전달이 잘 되었는가?
상
중
하
Ⅲ. 맺음말
지금까지 협동학습의 특징과 협동학습의 한 종류인 TGT모형에 대한 자세한 이론을 알아보고, 이 모형을 ‘시조 두 편’에 적용해 보았다. TGT모형의 특성상 기본 수업 내용을 가르치는 데 이용되기 보다는 수업 내용을 평가하는 데 이용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시조 수업에서 한 쪽으로 편중된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평가도 교수학습의 한 부분이고 지금까지 해 왔던 단순한 시험 형식보다는 색다른 평가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서 이 모형을 적용해 보았다.
TGT모형은 수업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적절한 흥분과 스릴을 갖게 함과 동시에 학습 동기 유발의 효과와 성공의 기회를 모든 학생에게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모둠이 성공하려면 개개인이 최선을 다해야 하므로 모둠의 상위권 학생들이 동료를 지도하여 학습 내용에 대한 개념이 확실해 지는 기회를 얻게 되고, 중위권, 하위권 학생들은 또래 집단의 학생에게 스스럼없이 질문을 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쉬운 또래의 언어로 지도를 받는 자연스러운 상호 지원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모둠 구성원 간에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동안 구성원을 서로 존중해 주고 동료에 대한 신뢰감과 자아 존중감 등 정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게임 카드와 정답 카드, 점수표를 만드는 등 교사의 노력 부담이 너무 많고, 학생들에게 게임 방식을 설명해서 이해시키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어 부진 학생들은 게임 점수를 하나도 얻지 못하고 항상 점수가 마이너스일 가능성이 많아 모든 게임을 포기해 버릴 수 있을 것이다.
TGT모형은 한 달에 한번 정도 한 단원이 끝나고 나서 ‘단원 평가’를 실시할 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학생들에게 신나고 재미있는 수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참고 자료>
중학교 국어 3-2
신헌재 외6명,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 박이정, 2003.
신헌재 이주섭 , 『국어교육과 협동학습』,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5집, 1999.
김덕현, 『시조문학 교육론』, 박이정, 2004
문학과 문학교육 연구소 『문학과 문학교육』, 푸른사상, 2001
http://www.kerinet.re.kr
http://www.edkorea.pe.kr
추천자료
초등학생 대상 기호 활용 수업 연구
학교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수방법 및 모형
[협동학습][협동학습모형]협동학습의 의의, 협동학습과 STAD협동학습모형, 협동학습과 TAI협...
[협동학습모형]협동학습모형의 개념, STAD(모둠성취분담모형)협동학습모형, TGT(팀게임토너먼...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육상종목의 기능향상 방안(멀리뛰기)
TGT(팀게임토너먼트)협동학습모형의 개념, TGT(팀게임토너먼트)협동학습모형의 특성, TGT(팀...
STAD(모둠성취분담) 협동학습모형, JIGSAW(직소우) 협동학습모형, TAI(팀보조개별학습) 협동...
[협동학습][협동학습방법][협동학습모형][미술교육]협동학습의 의미, 협동학습의 분류, 협동...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총체적언어교육과 독해교육,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독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