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대상 기호 활용 수업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2.1. 교육연극의 개요
2.2. 교육연극의 역사
2.3. 교육연극의 기본 유형
2.4. 교육연극의 가치

3. 선행연구 고찰
3.1. 교육연극과 학업 성취
3.2. 교육연극과 학업적 자아개념

4. 수업모형

5.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형성하기
- 연극 공연하기
- 관람 후 인물의 성격과 주제 파악하 기
소도구 준비



공유
하기
의미 협상 과정 거치기
공유하기
- 공연결과 토론하기
(상황과 인물에 맞게 실감나게 극화하였는가?, 주제를 적절하게 표현하였는가? 등)
- 학습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습 정리
토의 활동
<표1. 교육연극 적용 교수 학습의 예시안> 임경란 (2000). 앞의 논문. 24. <표 Ⅲ-3>과 http://inara.cje.ac.kr/isa6.htm 의 내용을 참조하여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과목에 적용하여 재구성 하였다.
5. 결론 및 제언
교육연극의 효과를 직접 실험 연구하지는 못했으나 선행된 연구를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조사한 것으로 보았을 때, 교육연극은 학습자의 개성발달을 도와주며 사회적 기술을 획득하는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가 삶을 주체로서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행위할 수 있는 인간, 공동체의 삶 속에서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인간으로의 전인적 성장을 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경험에 의한 체험적이고 구체적인 지식의 습득이 아동의 성취감을 고취시켜주어 학업적 자아개념 형성과 학업성취에 또한 긍정적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교육연극을 실시하여, 아동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임하고 체험을 통한 성공감을 가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효과적인 교육연극의 교수 학습법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 짓고자 한다.
첫째, 다수의 교육연극 관련 연구가 언어분야에 치중되어 있으므로 과학, 사회분야에 관련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 외의 여러 장르도 교육 연극적 측면에서 연구한다면 교육연극의 폭을 충분히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연극의 경우 교육이라는 중요한 부분임에도 우리나라에 적합한 특별한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용어에서부터 시작하여 우리의 정서와 현실에 맞게 외국의 방법을 재창조 하는 일등이 요구된다.
셋째, 우선 교사가 먼저 교육연극을 접해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하며 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연극 수업 진행 중에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자로서의 역학을 수행해야 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기호를 활용한 초등학교 수업 연구를 위해 선행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연극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초등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교육 연극을 구상해 보았다. 직접 실험에 의거한 결과가 아니며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되지 못한 점으로 인해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두며 앞으로 있을 교육연극에 대한 후속적 연구와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연극 활용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 문헌
<단행본>
민병욱, 심상교 (2000).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연극과 인간.
민병욱, 한귀은 (2004). 교육연극의 현장. 서울 : 연극과 인간.
Martin Esslin (1993). 극마당 : 기호로본 극. 서울 : 현대미학사.
<학위 논문>
김지영 (2005).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석사 논문.
김응태 (1987). 청소년 교육과 창의적 연극. 중앙대학교 석사 논문.
백성희 (2000). 연극놀이 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교우관계 개선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송성심 (2005). 교육연극 활용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 석사 논문
안윤숙 (1996). 역할놀이 수업이 아동의 인지적 대인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성에 미
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석사 논문.
양홍희 (2001). 연극놀이를 통한 시조 감상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 논문.
윤인구 (2004). 교육연극의 학습 활동이 총체적 언어기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서울
시립대 석사논문.
이재신 (2002). 언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연극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 논문.
임경란 (2000). 교육연극 수업이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부산 교육대학교 석사 논문.
장이화 (2003). 교육연극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
과. 대구교대 석사 논문.
최윤정 (1995). 연극놀이의 교육적 효용성. 경성대학교 석사 논문.
황경아 (2004). 교육연극이 초등영어 말하기 능력과 흥미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 석사 논문.
황유선 (2005). 연극의 교육적 효용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 논문.

키워드

연구,   수업모형,   초등,   연극,   기호,   활용,   수업연구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7.18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