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case study (서혜부탈장)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실 case study (서혜부탈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6
3) 간호진단과 간호계획(우선순위 적용)(예시)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11:00 60/40-98-17-36.4 (99%)
dopamine 5㎍/분 주입
HTN - 30년 전 local
A. fib - 43일 전 본원
CHF - 인하대학교 병원
-자가약 복용중-
라식스 40mg 1.5T #2
(고혈압, 울혈성심부전)
안플레이드 100mg 2T #2
(만성 동맥폐색증, 허혈증상 개선)
암로살탄 5/80mg 1 #1 (혈압약)
abnormal EKG,
PFT 결과 : 복합 장애,
chest X-ray 결과 : 심장비대와 폐부종. 양측성 늑막 삼출물
abdomen & pelvic CT결과 :
양측 하부 폐엽 폐기종, 양측 흉막 유착 ,작은 심낭삼출, 약간의 허혈성심장질환
간호진단
심근수축력 변화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간호목표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혈압을 90/60 이상으로 유지할 것이다.
계획 및 중재
① 5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한다.
11:00
60/40-98-17-36.4 (99%)
11:05
60/45-94-17-36.4 (99%)
11:10
80/40-90-16-36.4 (99%)
11:15
90/60-89-15-36.4 (99%)

② 5분마다 SPO2 monitering과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11:00
(99%) 얕은 호흡
11:05
(99%) 얕은 호흡
11:10
(99%) 깊은 호흡
11:15
(99%) 깊은 호흡

③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 환자를 깨워 “숨 들이 마쉬고 헛 기침 해보세요.”라고 지시함
④ semi fowler\'s position을 취해준다.
→ 마취과 원장 order하에 semi fowler\'s position 취함
⑤ dopamine 5㎍/분 주입 수액을 hydration 시킨다.
→ 마취과 원장 order하에 350ml에서 100ml까지 hydration 실시함.
⑥ 필요시 ABGA 검사를 실시한다.
→ 필요시 ABGA를 처방받아 시행한다.
⑦ 회복실에서의 일을 병동간호사에게 인계한다.
→ 병동간호사에게 post op 인계함.
‘약간의 Head Up position 유지,
SBP <100 이하일 경우 Dopamine 5㎍/분 투여 (최대 7㎍/분)’
이론적 근거
①,②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 호흡양상을 측정하여 심박출량 감소와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함이다.
③ midazolam으로 인한 진정효과를 깨우고 신선한 O2를 마시게 하기 위함이다.
④ spinal anesthesia를 했지만 25G 카테터를 사용하였고, 척추마취 합병증으로
예상되는 두통보다 혈압저하 상태가 더 위험하므로 신체하부에 울혈을 유도
하여 정맥귀환량, 즉 전부하를 감소하며 폐 울혈을 완화하기 때문이다.
⑤ dopamine의 약물효과로 심근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수액주입량을 증가시켜
심박출량(혈압)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⑥ 필요시 ABGA 검사를 실시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⑦ 회복실에서의 간호중재가 병동에서까지 이어져 대상자의 상태를
유지, 증진 시키기 위함이다.
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는 11:00 60/40-98-17-36.4 (99%) → 11:15 90/60-89-15-36.4 (99%) 으로
혈압이 상승하여 회복실에서 병실로 전실하였다. (목표달성)
11:00
60/40-98-17-36.4 (99%)
11:05
60/45-94-17-36.4 (99%)
11:10
80/40-90-16-36.4 (99%)
11:15
90/60-89-15-36.4 (99%)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pre Op Lab 결과 : CRP : 1.14▲ mg/dL, ESR : 22▲ mm/hr
상피를 종이테이프로 봉합함
간호진단
봉합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 없이 수술부위를 유지할 것이다.
계획 및 중재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11:00
60/40-98-17-36.4 (99%)
11:05
60/45-94-17-36.4 (99%)
11:10
80/40-90-16-36.4 (99%)
11:15
90/60-89-15-36.4 (99%)

②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 후루마린 1G IV injection.
③ 필요시 수술 후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 필요시 담당의사의 처방을 받아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④ OP site의 oozing sign을 확인한다.
→ 회복실 퇴실시 OP site의 oozing sign 관찰 되지 않았다.
⑤ S/O 전 까지 OP site를 매일 Dressing하여 봉합부위를 확인한다.
→ 병동간호사에게 봉합부위 상태를 인계한다.
이론적 근거
① 감염발생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되기 때문이다.
② 항생제 투여로 감염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이다.
③ 간호수행 후 감염위험성이 낮아졌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④,⑤ 매일 Dressing시 OP site를 확인하여 발적, 열감, 배액물이 나오는지
봉합부위가 벌어지진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의 V/S에서 감염의 징후를 볼수 없었고 OP site는 oozing 없이,
회복실을 퇴실하여 병동으로 전실하였으나 향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목표 부분달성)
4. 참고문헌
외과수술 아틀라스 (2014), 대한의과학회 군자출판사
수술실 환자간호 개정2판, 윤혜상 저 청구문화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5판 (2014),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엮음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마취통증의학 개정판, 대한마취과학회 편저 여문각
성인간호학 I 여덟 번째 판, 수문사
약학정보원
5. 실습 소감
이번 실습을 통해서 수술실 간호사가 하는 일과 마취과 간호사가 하는 일에 대해서 조금
더 세밀하게 알 수 있게 된 기회였던 것 같다.
인천의료원에 계신 모든 간호사님들, 과장님들께서 친절하고 세세하게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했다. 내 평생에 한번뿐인 수술실 실습을 인천의료원에서 한 것이 너무 감사하다.
병동과는 다른 느낌이었고 앞으로 취업을 하게 된다면 수술실로 취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던 만큼 너무 만족스러운 실습경험 이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9.09.25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3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