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 케이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장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탈장의 정의

2. 탈장의 종류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7. 합 병 증

8. 예 방

9. 예 후

10. case study

본문내용

로 큰 시술 방법이다.
<절개봉합술> <무장력 인공 막 탈장술>
② 무장력 인공 막 탈장수술
: 장력 없이 수술하기 위해 인공 막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를 막아주는 방법
과거에는 인공막 등의 좋은 수술재료가 없었다. 따라서 수술도 주위의 조직을 끌어 당겨 꿰매다 보니 조직에 당김(tension)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그 결과 수술후 통증이 심하고, 또한 재발도 비교적 흔했다. 가장 큰 재발의 원인이 이런 당기는 힘에 의한 것으 로 알려졌고, 당김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수술 기법이 개발이 되었지만 한계가 있었다.
무장력 수술이란 이런 당김을 없애는 수술 기법을 말하며, 인공막의 발달과 더불어서 인 공막을 이용하여 당김이 없도록 수술한다는 개념이다. 장력이 없이 수술을 하면 통증이 현저히 감소할 뿐 아니라, 재발도 훨씬 낮출수 있게 된다.
③ 복강경 탈장수술
: 최소 침습 수술법인 복강경 수술과 인공막 사용을 결합한 방법
7. 합 병 증
탈장내공(탈장이 생긴 복벽 입구)에 장이 끼여 복강 내로 다시 돌아가지 못하는 상태를 감돈이라고 한다. 감돈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장에 부종이 생겨서 더욱 단단히 조이게 되고 결국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썩게 된다. 이런 상태를 교액이라고 하며 응급상황이다. 장이 감돈 상태에서는 급히 도수 정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교액 상태가 오래 되면, 장 천공, 패혈증, 장 폐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응급으로 수술을 시행한다. 장의 절제 및 문합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수술 후 합병증은 출혈과 감염이며, 서혜부 탈장이 있는 남자는 고환이나 정관에 혈액 공급이 안 될 수 있다. 서혜부 탈장 봉합술을 한 경우 통증으로 배뇨곤란이 있을 수 있다.
8. 예 방
1) 나이와 키에 적합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체중을 감량한다.
2) 규칙적이고 증등도의 운동(걷기, 요가, 스트레칭, 적당한 에어로빅 등)을 통해 복근을 강화한다.
3) 고섬유 식이, 저염 식이를 통해 복압을 올릴 수 있는 변비와 복수를 피한다.
4) 무거운 물건을 가급적 들지 않으며, 물건을 들 때는 팔과 다리 근육을 이용하여 복부에 긴장이 덜 가도록 안전하게 한다.
5) 당뇨 및 각종 대사 장애는 식이 요법 및 약물 치료를 통해 철저히 관리한다.
6)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의 식사를 한다. 필수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고, 현미 등의 정제되지 않은 곡물, 과일, 야채 등을 많이 먹는다. 육식, 유제품, 가공식품 등은 가급적 제한한다.
8. 예 후
탈장 수술은 매우 안전하고 꽤 효과적이며, 탈장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수술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수술 후 탈장의 재발은 10% 정도 이므로 빨리 발견하여 수술 하는게 좋다.
개복술 후에, 환자는 보통 1주일이나 2주일 후에는 정상 생활을 할 수 있다. 어떤 탈장 수술이라도, 수술 후 근육과 조직이 완전히 회복되는 6주에서 8주(의사의 지시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음) 간은 무거운 물건을 들지 말아야 한다.

간호력
- 환자명 : 정 * *
- Sex/Age : M/50세
- 신체계측 : 키-168cm 몸무게-65kg
- 입원일 : 2011-1-13
- 진단명 : LIH
- 수술명 : Herniorrhaphy
- 간호에 임한 기간 : 2011/1/13~2011/1/19
- C.C : Lt inguinal swelling sx
- Hx : 2010년 12월 경부터 Lt inguinal swelling sx 있어 본원 방문하여 LIH 진단받고 op위해 1/13일 외래 통해 입원함
- PHx : 7-8년전 경추골절로 입원치료-성주성심병원
- FHx : 없음
검사
* sono(기타+Remark) : Direct, LIH
* C-PA : 정상
* Abd E/S : 정상
* 진단검사
CBC&diff : 정상
UA : 정상
LFT2 : T.chol 220 이외 정상
HBs Ag-Ab : -/-
VDRL/HIV : -/-
BT/CT : 정상
PT/PTT : 정상/19.8
* EKG : 정상
수술 전 간호
동의서 확인
수술 전 NPO 확인
환의만 입도록 설명
IV line(18G, 3way) 확인
anti (뉴디짐 2g, 아코신 2@) AST 확인 후 정맥주사 함
수술 전 자가배뇨 충분히 하도록 함
V/S check : 140/90-36.5-68-20
수술 후 간호
환자상태 확인-V/S 15min*4, 30min*2, 4hrs : stable
합병증 관찰
early ambulation 설명
EDBC 설명
음식섭취에 관한 교육-수술후 계속 금식, 다음날 아침부터 죽, 밥, 밥
투약-anti (뉴디짐 2g, 아코신 2@), 티로민 1@, 뮤코스텐 1@, 라나시드 1@ 정맥주사
디크놀 1@ 근육주사
복압상승 행동 하지 않도록 설명
복대 착용 설명
퇴원 후 간호
1) 나이와 키에 적합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체중을 감량한다.
2) 규칙적이고 증등도의 운동(걷기, 요가, 스트레칭, 적당한 에어로빅 등)을 통해 복근을 강화한다.
3) 고섬유 식이, 저염 식이를 통해 복압을 올릴 수 있는 변비와 복수를 피한다.
4) 무거운 물건을 가급적 들지 않으며, 물건을 들 때는 팔과 다리 근육을 이용하여 복부에 긴장이 덜 가도록 안전하게 한다.
5) 지속적으로 혹은 반복적으로 복압이 상승되는 활동이나 상황을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즉 심한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만성적인 기침은 잘 치료하는 것이 좋다.
* 간호진단
배변시 통증과 관련된 변비의 위험성
*간호목표
배변을 1회 / 2일 한다.
*간호계획
1) 배변양상을 매일 확인한다.
2) 섬유질이 많은 고 섬유소 식이를 권장한다.
3)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4) 운동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5) 변비완화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1) 배변양상을 확인하고 변의가 있을 때는 곧바로 배변하도록 교육하였다.
2) 배변과정을 쉽게하고 배변량을 조절해주는 섬유소 식이를 먹도록 했다.
3) 배변을 돕기위해 수분섭취를 많이 하도록 했다.
4) 변비의 원인 중 하나가 운동부족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통증이 있어도 무리하지 않는 정도로 운동하도록 교육했다.
*간호평가
수술 후 정상적으로 배변을 잘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12.1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