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 hernia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 ․ ․ ․ ․ ․ ․ ․ ․ ․ ․ ․ 1p

2. 본론 ․ ․ ․ ․ ․ ․ ․ ․ ․ ․ ․ ․ ․ 2p
(1) 탈장 ․ ․ ․ ․․ ․ ․ ․ ․ ․ ․ ․ ․ 2p
① 정의
② 원인
③ 임상증상
④ 증상에 따른 분류
⑤ 병태생리
⑥ 치료
⑦ 합병증 및 예후관리
(2) 수술 전, 중, 후 간호 ․ ․ ․ ․ ․ ․ ․ ․ ․ 4p
(3) 학습한 내용을 경험한 수술 간호사례 ․ ․ ․ ․ ․ ․5p

3. 결론 ․ ․ ․ ․ ․ ․ ․ ․ ․ ․ ․ ․ ․ 7p

본문내용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오염된 경우 멸균범위에서 한 발짝 물러서서 순환간호사에게 다른 가운, 장갑을 요구해야 한다.
장갑이 기구에 찔렸을 경우 기구를 버리고 장갑을 교환해야 한다.
멸균부위 밖으로 나간 거즈, 튜브, 봉합사 등을 버려야 한다.
휴식시에도 손은 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3) 봉합시
① 피부 봉합이 끝나자마자 봉합 부위 주변의 혈액을 닦아 내기 위해 젖은 거즈를 준비한다.
② 멸균드레싱을 준비한다.
2) 순환간호사
(1) 수술 전 준비
① 수술실에 들어오기 전에 5분 동안 손과 팔을 닦는다.
② 소독간호사 손소독 후 소독 간호사 가운의 뒤끈을 메준다.
③ 소독간호사를 도와 수술기구를 준비한다. 멸균 꾸러미를 바닦에 떨어뜨려 부소독 되지 않게 주의한다. 이때 멸균영역 위로 손이 뻗치거나 포장의 물품을 흔들지 않는다.
④ 스폰지 사용을 위해 둥근 통에 생리 식염수를 붓는다.
⑤ 순환간호사가 기구를 준비하는 동안 환자를 돌본다.
환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하고 인사를 나누고 환자를 확인한다.
수술 동의서를 포함한 기록, 간호계획을 확인한다.
미생물 전파 방지와 정전기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 머리를 모자를 씌운다.
의사를 만나보게 한 후 환자를 수술실로 옮기고 마취의사를 소개한다.
환자를 이동하는 동안 운반차의 바퀴를 잠그어 안전하게 하고 환자의 불필요한 노출을 피한다.
환자 이동시 카테터, 배액관, 정맥주사줄, 견인장치에 특별히 주의를 한다.
⑥ 전신마취 유도시 수술대의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까지 가능한한 조용히 환자 곁에 머물러 동요나 낙상과 같은 우발적 사고를 방지해야 한다.
⑦ 환자가 마취된 후에는 체위를 취하고 전도판을 부착한다.
⑧ 피부 준비를 위해 피부를 적절히 노출시키고 무영등을 켠다.
⑨ 수술의사의 소독 후 가운 착용을 돕는다.
⑩ 무영등을 절개 부위 위로 초점을 맞춘다.
(2) 수술시
①순환간호사는 무영등의 초점을 맞추는 일, 이마의 땀을 닦아주는 일, 스폰지, 봉합사, saline 공급 등 수술팀의 요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순환간호사는 모든 공급품과 기구, 장비 사용법을 알아야 하고 빨리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심장마비와 같은 응급상황에서는 중요한 일이다.
② 가능한 방에 머물러 수술의 전과정을 살펴보고 방을 떠날 경우가 생기면 소독간호사에게 알려야한다.
③ 버려진 스폰지를 병원 규정에 따라 모아 크기 별로 분류하고 계수한다.
④ 필요시에는 혈액손실을 알기 위해 스폰지 무게를 측정, 기록한다.
⑤ 환자 상태, 예상하지 않은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예정된 시간에 수술이 끝나지 않으면 수술실 감독에게 보고한다.
⑥ 검사실에 검사물을 보낸다. 검사물 용기에 환자이름, 방번호를 적어 붙인다. 검사 청구시 날짜, 수술의 이름, 수술전후 진단명 표본 내용을 적는다.
⑦ 수술시 환자기록은 완전해야 한다. 수술 중 간호, 외과적 중재로 나타난 영향, 환자에게 제공된 물품 등을 기록한다.
⑧ 무균법의 방해 요소를 주의깊게 관찰한다.
(3) 봉합시
① 소독간호사는 스폰지, 예리한 물건, 기구를 계수하고 기록한다.
② 다음 수술 환자가 정해진 경우 수술 전에 수술 전 투약을 하도록 병실에 연락한다.
③ X-선 필름은 정리하고 남은 혈액은 냉장고에 넣거나 혈액은행으로 보낸다.
④ 환자의 드레싱을 돕고, 청결하게 한 후 회복실로 보낸다.
⑤ 의사 가운 뒤를 풀어 주어 불결한 것에 닿지 않고 옷을 벗도록 도와준다.
⑥ 드레싱의 마지막 부분을 돕는다.
(4) 수술 후
① 무의식 환자를 이동시킬 때는 다음을 주의해야 한다.
정맥 주입하는 팔은 부목을 대 주어 바늘의 위치를 보호한다.
머리와 목이 부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한다.
수술의 종류에 따라 호흡과 순환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편안한 체위를 취한다.
② 수술내용을 정리하여 기록한다.
수술 시작부터 종료까지 환자의 피부상태 관찰
소변량과 혈액 손실량
계수 내용을 기록하고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가 같이 서명한다.
드레싱 종류
수술실에서 나온 시간, 운송방법
목 차
1. 서론 1p
2. 본론 2p
(1) 탈장 2p
① 정의
② 원인
③ 임상증상
④ 증상에 따른 분류
⑤ 병태생리
⑥ 치료
⑦ 합병증 및 예후관리
(2) 수술 전, 중, 후 간호 4p
(3) 학습한 내용을 경험한 수술 간호사례 5p
3. 결론 7p
수술실 Conference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20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