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2004)
2) 인천 초등생 살인 사건(2017)
3) 인천 중학생 집단폭행 추락사 사건(2018)
4) 영광 집단 성폭행 사망 사건(2018)
5) 광주 10대 집단폭행 살인 사건(2019)
6)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강력범죄
7) 청소년 범죄 예방법
2) 인천 초등생 살인 사건(2017)
3) 인천 중학생 집단폭행 추락사 사건(2018)
4) 영광 집단 성폭행 사망 사건(2018)
5) 광주 10대 집단폭행 살인 사건(2019)
6)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강력범죄
7) 청소년 범죄 예방법
본문내용
2건으로 11.3% 늘어났다. 청소년 범죄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법무부는 청소년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소년 보호관찰 전담 직원을 증원하기로 했다. 이번 증원으로 인해 재범 가능성이 높은 대상자들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개별 특성에 맞춘 재범방지 교육을 운영하며 현장 중심으로 지도감독을 할 계획이다. 하지만 제도적인 대책으로 범죄를 예방하는 것 보다는 발생 이전에 청소년 심리나 인성 교육 중심을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다.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에서 벗어나고 가정과 학교 밖에서 청소년의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곳들이 필요하다. 또한 부모의 이혼이나 맞벌이 등으로 가정에서 보호가 부족한 청소년들을 사회가 보살필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통계청 ‘2019 청소년 통계’
참고문헌
통계청 ‘2019 청소년 통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