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기 출판된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를 한권 선택하여 교재의 특징 및 장단점을 분석하여 정리 하세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기 출판된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를 한권 선택하여 교재의 특징 및 장단점을 분석하여 정리 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교재의 특징
(2) 교재의 장점
(3) 교재의 단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어가 자리에 앉아있는 상황인데도 종업원이 앉아있는 손님에게 ‘어서오세요’라고 말을 건낸다. 이것은 영어에서 ‘Welcome’이라고 하는 것을 그대로 한국 문화에 적용한 것으로 호주 문화적인 요소를 잘못 기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 문화 중에서 한국 사회에 파고든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음식을 소개할 때 학생들이 즐겨먹는 피자나 햄버거 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고, 부정적인 요소를 가진 한국 사회의 모습들은 거의 대부분 생략한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체중이 심한 것이나 서울 하늘에 심한 스모그 현상, 외국인 근로자의 모습 등은 제외하였다. 이는 장점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실제를 왜곡했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3. 결론
Learning Korean: New directions를 살펴본 결과, 교재에서 한국의 현대 일반문화를 많이 다루고 있지만, 현대 한국의 문화를 업데이트해야할 부분이 많고, 호주문화를 한국문화처럼 기술한 것은 개선되어야 한다. 최근 한국의 대중문화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에 한국 드라마나 가수, 젊은 층의 문화 중에 쉽게 익힐 수 있는 것을 선별하여 교재에 사용하는 방안을 생각해볼만 하다. 다른 나라의 문화를 담고 있는 외국어를 배워야 하는 학습자에게 언어 학습 교재가 정확하고 풍부한 언어적 사실 뿐만 아니라 적절한 문화적 요소를 제공한다면 문화 간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역할을 충분히 해낼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호주 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선 방향: 초급단계의 문화내용을 중심으로, 이동배, 2007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11.17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4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