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사례를 중심으로 한 한국환경교육의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제사례를 중심으로 한 한국환경교육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환경교육진흥법
1) 목적
2) 주요내용
3) 쟁점사항
2. 체험환경교육
1) 서울시 강동구 길동자연생태공원
(가) 현황
(나) 공원운영
(다) 체험환경 교육프로그램
3. 서울시 환경교육(환이랑 경이랑)



Ⅲ. 결론

본문내용

환경기능, 환경행위전략지식, 환경쟁점지식 등 8가지의 환경소양이 교재 사용전 53%에서 사용 후 74%로 약 21%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환이랑 경이랑’을 사용하지 않은 경기·인천 지역의 초등 학교 1,2학년 2개 학급, 125명의 경우, 환경소양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윤재,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70274&sc=naver&kind=menu_code&keys=3, 2009
‘환이랑 경이랑‘ 서울시 어린이 홈페이지 꾸러기 세상(http://kid.seoul.go.kr) 또는 서울시 맑은환경본부(http://env.seoul.go.kr)에 e-book으로 탑재해 각 지자체, 교육청, 학부모, 교사, 학생, 환경단체 등에서 내려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Ⅲ. 결론
현재 우리나라 환경교육은 선진국의 환경교육보다는 부족하다 할 수 있겠지만 불과 10여년전의 상황을 생각해 본다면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앞에서 본 환경교육진흥법이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환경교육에 대한 노력을 보게 된다면 확신할 수 있다. 하지만 좋게 다듬어진 교육프로그램과 법률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지 않고 단지 겉모습만 자랑하게 된다면 그 실효성에는 의문표가 붙게된다. 우선 지방자치단체의 빈부격차를 해소하고 환경교육에 대한 예산확보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며, 그 후 환경프로그램의 실행과 사회환경지도사의 양성이 필요하다 말할 수 있다. 결국 현 시점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다양한 환경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이다. 이론과 체험이 접목된 환경프로그램은 앞으로의 우리나라 환경교육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 안만홍, 「지방자치단체의 체험환경교육 시행방안 연구 : 시흥시를 모델로」, 2006
- 국회입법조사처, 『현행법률의 주요내용과 쟁점』, 2008
- 서울시 어린이 홈페이지 꾸러기 세상(http://kid.seoul.go.kr)
- 아크로팬 편집국, http://www.acrofan.com/ko-kr/live/news/20090420/00000014 , 2009
- 변윤재,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70274&sc=naver&kind=menu_code&keys=3, 2009
-http://parks.seoul.go.kr/gildong
(길동생태공원 홈페이지)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12.13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9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