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목표설정의 지침
II. 목표계량화의 중요성
1. 정성적 목표보다 기대된 결과요소를 명료하게 정의
2. 명확한 측정기준을 제공
3. 진취적인 성과노력을 확대
4. 불확실성에 대한 관리감독의 수단을 제공
5. 질과 가치를 통합
III. 목표설정의 계층연결
1. 최고경영층의 목표
2. 하위계층의 목표
IV. 목표기술서의 작성
* 참고문헌
II. 목표계량화의 중요성
1. 정성적 목표보다 기대된 결과요소를 명료하게 정의
2. 명확한 측정기준을 제공
3. 진취적인 성과노력을 확대
4. 불확실성에 대한 관리감독의 수단을 제공
5. 질과 가치를 통합
III. 목표설정의 계층연결
1. 최고경영층의 목표
2. 하위계층의 목표
IV. 목표기술서의 작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하위계층(각 기능부문의 부사장)에서 설정할 목표가 되는 것이다.
(2) 하위계층의 목표
회사의 전반적인 목표가 설정되면 각 부문의 부사장들은 그들의 부문목표를 추천할 팀을 구성한다. 여기에서 각 부문의 부사장들은 사장의 팀구성원인 동시에 자기 부문의 팀 리더가 되는 것이다.
각 부문 부사장의 목표가 승인되면 그 목표는 조직계층에 따라 다음 하위계층으로 전달되며 이는 동일한 패턴으로 최하위 경영층에 이르기까지 계속하여 이어진다.
IV. 목표기술서의 작성
목표기술서(objectives statement)는 어떤 개인이 일정 기간에 성취시켜야할 목표들을 서술한 양식으로서, 모든 기업들이 획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식은 없으며 각 기업이 필요성에 따라 독자적인 양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원래 MBO는 형식보다는 실용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각 기업의 MBO 도입 목적에 따라 알맞는 양식을 마련하여 사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목표기술서는 목표내용, 가중치, 달성기준, 필요 전제조건 등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목표설정은 일방적 약속이 아니기 때문에 경영자와 종업원 간의 쌍방적 합의가 필요하며, 관련 사람들 간에 회람되어 충분한 의사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목표는 보통 3개에서 7개 이내로 설정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하고 일정계획 달성기간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목표설정 과정에서 상사와 부하의 대화를 통하여 결정된 목표들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중치(weight)를 부여해야 한다. 가중치는 목표수행자가 목표달성 과정에 자기통제를 위해서 필요할 뿐 아니라, 성과평가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도 충분한 의미를 갖는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2) 하위계층의 목표
회사의 전반적인 목표가 설정되면 각 부문의 부사장들은 그들의 부문목표를 추천할 팀을 구성한다. 여기에서 각 부문의 부사장들은 사장의 팀구성원인 동시에 자기 부문의 팀 리더가 되는 것이다.
각 부문 부사장의 목표가 승인되면 그 목표는 조직계층에 따라 다음 하위계층으로 전달되며 이는 동일한 패턴으로 최하위 경영층에 이르기까지 계속하여 이어진다.
IV. 목표기술서의 작성
목표기술서(objectives statement)는 어떤 개인이 일정 기간에 성취시켜야할 목표들을 서술한 양식으로서, 모든 기업들이 획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식은 없으며 각 기업이 필요성에 따라 독자적인 양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원래 MBO는 형식보다는 실용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각 기업의 MBO 도입 목적에 따라 알맞는 양식을 마련하여 사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목표기술서는 목표내용, 가중치, 달성기준, 필요 전제조건 등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목표설정은 일방적 약속이 아니기 때문에 경영자와 종업원 간의 쌍방적 합의가 필요하며, 관련 사람들 간에 회람되어 충분한 의사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목표는 보통 3개에서 7개 이내로 설정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하고 일정계획 달성기간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목표설정 과정에서 상사와 부하의 대화를 통하여 결정된 목표들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중치(weight)를 부여해야 한다. 가중치는 목표수행자가 목표달성 과정에 자기통제를 위해서 필요할 뿐 아니라, 성과평가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도 충분한 의미를 갖는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추천자료
목표관리MBO
조직학 - 조직의 의의와 목표에 의한 관리에 대해 알아본다.
경영계획과 목표관리(MBO) 및 계획수립의 유형 및 방법
[MBO의 관리管理적 사고] MBO(목표관리)의 전개방향, 성공요건
[목표설정 目標設定] 목표설정의 지침, 목표계량화의 장점, 목표설정의 계층연결
[연봉제(年俸制)의 과제] 연봉제 성공의 중요과제, 연봉제의 도입에 있어서 MBO의 성과평가
[운영기획 (operational planning)] 운영기획의 의의(개념, 특성, 유형), 운영기획도구로서의...
[목표설정(目標設定)의 방법] 목표와 방침의 차이점, 목표의 도출방법, 목표기술서의 작성
[조직목표관리 組織目標管理] 목표관리(MBO : Management By Objectives)의 개념정의, 목표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