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팝아트의 미술 형식
2. 네오팝의 미술 형식
3. 팝아트와 네오팝의 과거 모더니즘과의 차별성: 사조 출연시기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비교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네오팝의 미술 형식
3. 팝아트와 네오팝의 과거 모더니즘과의 차별성: 사조 출연시기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비교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 못했다. 그러나 팝아트와 네오 팝은 달랐다.
1960년대는 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고 미국과 소련의 냉전구도가 격화되는 시기였다. 또한 실내 공간의 산업화, 인스턴트 음식의 보편화는 미국에서 일종의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선전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195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는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가 가장 최고의 전성기를 달리고 있었다. 대중들 역시 자연이나 환경 보다는 TV, 영화, 광고 등 대중매체와 밀접해졌으며 미술사적으로도 기존의 과거 모더니즘의 산물인 추상주의에 식상함을 느끼면서 새롭게 등장한 것이 팝아트이다.
1990년대에 팝아트의 큰 영향을 받으며 등장한 것이 바로 네오 팝이다. 네오팝은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꼽히기도 하며 지나치게 임의적이고 즉흥적인 자세를 가지고 상업성의 논리를 강조하며 예술의 모든 동기가 돈을 벌기위한 비즈니스적인 것하고만 결탁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팝아트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주의와 후기구조주의의 탈의 논리, 그리고 일상 사회학과 맞물리며 일정 부분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영향을 받으며 탄생한 것이 현재에 이른 네오 팝으로서 그 정체성은 팝 아트와 크게 다르지 않다. 1960년대의 것이 팝아트라 하면 1990년대부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러 남아있는 것이 네오 팝이다. 대중 문화 역시 시대에 따라서 국가에 따라서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에 대중문화를 그대로 수용하여 표현하는 네오 팝 역시도 그 모습을 조금씩 바꿔가고 있다.
이처럼 팝아트는 기존의 미술은 물론, 인문학과 사회학간의 경계마저 허물어 버리고 이질적이고 낯선 것들을 친근하며 익숙한 것으로 바꿔 버린다. 그 주제는 미술과 대중문화가 교차하는 바로 그 지점이며, 팝아트와 네오 팝은 이 영역을 계속해서 영토화 시키고 있다. 그 지점들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그 시대를 관통하는 아이콘, 대중문화, 제품, 유명인사 등이 되고 있다. 팝아트는 특정시기와 특정 지역과 특정 사조에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것이 과거 모더니즘하의 미술과의 차별성이다. 대중문화의 변화에 따라 항상 변할 수 있는 것이 팝 아트와 네오 팝이며 이 둘은 항상 열려있는 개념이며 그 국가와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현재진행형 거울이다.
모더니즘에 대한 반복에서 벗어나 순수 미술의 관념과 의도를 뒤엎고 철저히 매체와 형식에서 대중적 이미지를 흡수하여 구상화시켰다. 관념적 미술의 독자성을 상실한 채 저급미술과 고급미술의 구분을 와해시켰고 갈래와 범주의 구분을 무효화시킨 팝아트는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이라는 역사적 필연성을 가졌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미술의 영역을 위험하는 또 다른 리스크를 안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진휘연. <<미술과 일상성의 전치와 병합: 팝아트와 후기 모더니즘의 시작>>. pp121-142.
4. 출처 및 참고문헌
진휘연. <<미술과 일상성의 전치와 병합: 팝아트와 후기 모더니즘의 시작>>. 2000. pp121-142.
박경주.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네오 팝 아트에 관한 연구>>. 2015. pp. 209-219.
1960년대는 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고 미국과 소련의 냉전구도가 격화되는 시기였다. 또한 실내 공간의 산업화, 인스턴트 음식의 보편화는 미국에서 일종의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선전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195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는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가 가장 최고의 전성기를 달리고 있었다. 대중들 역시 자연이나 환경 보다는 TV, 영화, 광고 등 대중매체와 밀접해졌으며 미술사적으로도 기존의 과거 모더니즘의 산물인 추상주의에 식상함을 느끼면서 새롭게 등장한 것이 팝아트이다.
1990년대에 팝아트의 큰 영향을 받으며 등장한 것이 바로 네오 팝이다. 네오팝은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꼽히기도 하며 지나치게 임의적이고 즉흥적인 자세를 가지고 상업성의 논리를 강조하며 예술의 모든 동기가 돈을 벌기위한 비즈니스적인 것하고만 결탁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팝아트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주의와 후기구조주의의 탈의 논리, 그리고 일상 사회학과 맞물리며 일정 부분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영향을 받으며 탄생한 것이 현재에 이른 네오 팝으로서 그 정체성은 팝 아트와 크게 다르지 않다. 1960년대의 것이 팝아트라 하면 1990년대부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러 남아있는 것이 네오 팝이다. 대중 문화 역시 시대에 따라서 국가에 따라서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에 대중문화를 그대로 수용하여 표현하는 네오 팝 역시도 그 모습을 조금씩 바꿔가고 있다.
이처럼 팝아트는 기존의 미술은 물론, 인문학과 사회학간의 경계마저 허물어 버리고 이질적이고 낯선 것들을 친근하며 익숙한 것으로 바꿔 버린다. 그 주제는 미술과 대중문화가 교차하는 바로 그 지점이며, 팝아트와 네오 팝은 이 영역을 계속해서 영토화 시키고 있다. 그 지점들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그 시대를 관통하는 아이콘, 대중문화, 제품, 유명인사 등이 되고 있다. 팝아트는 특정시기와 특정 지역과 특정 사조에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것이 과거 모더니즘하의 미술과의 차별성이다. 대중문화의 변화에 따라 항상 변할 수 있는 것이 팝 아트와 네오 팝이며 이 둘은 항상 열려있는 개념이며 그 국가와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현재진행형 거울이다.
모더니즘에 대한 반복에서 벗어나 순수 미술의 관념과 의도를 뒤엎고 철저히 매체와 형식에서 대중적 이미지를 흡수하여 구상화시켰다. 관념적 미술의 독자성을 상실한 채 저급미술과 고급미술의 구분을 와해시켰고 갈래와 범주의 구분을 무효화시킨 팝아트는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이라는 역사적 필연성을 가졌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미술의 영역을 위험하는 또 다른 리스크를 안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진휘연. <<미술과 일상성의 전치와 병합: 팝아트와 후기 모더니즘의 시작>>. pp121-142.
4. 출처 및 참고문헌
진휘연. <<미술과 일상성의 전치와 병합: 팝아트와 후기 모더니즘의 시작>>. 2000. pp121-142.
박경주.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네오 팝 아트에 관한 연구>>. 2015. pp. 209-219.
추천자료
현대의서양문화B 2019년]현대서양미술에서 팝아트와 네오팝은 자본주의와 대중문화를 적극적...
(현대의서양문화 공통B형)현대서양미술에서 팝아트와 네오팝이 주로 사용하는 미술의 형식을 ...
[현대의서양문화 B형] 팝아트와 네오팝이 주로 사용하는 미술의 형식을 설명하고 이들이 어떤...
2019년 2학기 현대의서양문화 중간시험과제물 B형(현대서양미술에서 팝아트와 네오팝)
[현대의서양문화B형 2019] 현대서양미술에서 팝아트와 네오팝이 주로 사용하는 미술의 형식 ...
[현대의서양문화B형] 팝아트와 네오팝이 주로 사용하는 미술의 형식을 설명하고 이들이 과거...
[현대의서양문화B형] 현대서양미술에서 팝아트와 네오팝 팝아트와 네오팝의 주요 미술의 형식...
팝아트와 네오팝이 주로 사용하는 미술의 형식을 설명하고, 이들이 어떤 점에서 과거 모더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