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설득의 요인
1. 설득자
2. 설득대상의 정서
3. 설득내용
4. 설득방법
Ⅲ. 설득에 의한 태도의 변화
Ⅳ. 설득을 통한 다양한 광고의 효과
1. 단순노출효과 가설
2. 고전적 조건화 이론
3. 수단적 조건화
4. 반두라의 모델링
Ⅱ. 설득의 요인
1. 설득자
2. 설득대상의 정서
3. 설득내용
4. 설득방법
Ⅲ. 설득에 의한 태도의 변화
Ⅳ. 설득을 통한 다양한 광고의 효과
1. 단순노출효과 가설
2. 고전적 조건화 이론
3. 수단적 조건화
4. 반두라의 모델링
본문내용
광고 (NS) + 매력적 광고 모델 BTS (UCS) ⇒ \'매력적이다“]라는 긍정적 느낌의 연계 반복
BBQ 치킨 광고 (CS) ⇒ ‘BBQ치킨도 BTS모델처럼 매력적이다. 먹고싶다’고 느낌 (CR)
3. 수단적 조건화
손다이크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상자 안에 굶주린 고양이를 가둔 후 밖에 음식을 놓아두었을 때 고양이가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잠금장치를 풀고 밖으로 나와서 음식을 먹는 행위를 실험관찰 했는데 이때 음식(보상자극)은 잠금장치를 빨리 여는 행위(강화반응:학습)의 수단이 된다는 학습 원리이다.
긍정적 강화 : 자극에 대한 반응에 따라 긍정적 결과가 제공되는 것
→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열심히 하게 된다.
부정적 강화 : 자극에 대한 반응 결과 부정적 자극이 중지되는 것
→ 부정적 결과를 피하기 위해 열심히 하게 된다.
* [담배를 끊지 않으면 사람들이 당신을 끊습니다!] - 금연 광고
실제 광고의대부분은 긍정적 강화를 이용한 것이 많다. 당사 제품이나 브랜드를 사영하면 매우 긍정적 경험을 받을 수 있음을 전한다. 또 당사의 제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상황을 묘사하기도 한다.
제품의 장점(혜택, 효과)를 강조 → 긍정적 강화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불이익이나 손해를 강조 → 부정적 강화
바에서 멋진 여성의 매혹적인 자태를 보고 남성이 다가간다. 그러나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 속에 감춰진 썩은 치아..
[담배를 끊지 않으면 사람들이 당신을 끊습니다]
여성의 치아를 제시함으로서 정적처벌의 한 예시로 전달함.
아름다움 속에 숨겨진 썩은 치아 → 담배의 악영향을 보게 됨.
담배를 피는 행위를 감소시키려는 효과
4. 반두라의 모델링
모델링은 개인이 다른 사람을 롤 모델로 선정해 그의 행동을 자신의 행동에 적용하는 것이다.
즉, 개인이 모델의 특정 행동과 그 행동의 결과를 관찰하고 그 행동을 실제로 재현하는 것이 모델링이다. 모델링과 모방은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다. 모방은 타인의 행동 등을 단순히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다. 이는 의식이 거의 없이 무작정 따라하는 것으로 광고에서 나오는 유행어 등을 그대로 따라하는 행위가 모방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모델링은 롤 모델의 여러 행동 중에서 특정 행동을 선택한 후 따라하는 것이기에 모방보다 목적 지향적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속 롤모델의 특정 행동을 보상 받는 것을 보고 자신도 보상을 얻기 위해 그 행동을 재현하는 것이 모델링이라 볼 수 있다.
* [ 박보검과 김연아의 주얼리 광고]
광고 물품 목걸이와 반지를 착용한 여자 모델은 연예인 활동을 하는 남자 친구와 연애를 한다. 어느 연인과 다름없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가 사소한 말다툼을 벌이지만 남자친구는 여자친구를 그리워하는 모습이 그려지는 광고이다. 위 광고를 본 여성 소비자들은 단순히 여성 모델이 착용한 주얼리를 갖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물건을 구매하면서 여성 모델이 누렸던 특정 행동과 상황의 보상을 받기 위해 그 행동을 재현하는 것을 모델링이라고 하겠다.
BBQ 치킨 광고 (CS) ⇒ ‘BBQ치킨도 BTS모델처럼 매력적이다. 먹고싶다’고 느낌 (CR)
3. 수단적 조건화
손다이크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상자 안에 굶주린 고양이를 가둔 후 밖에 음식을 놓아두었을 때 고양이가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잠금장치를 풀고 밖으로 나와서 음식을 먹는 행위를 실험관찰 했는데 이때 음식(보상자극)은 잠금장치를 빨리 여는 행위(강화반응:학습)의 수단이 된다는 학습 원리이다.
긍정적 강화 : 자극에 대한 반응에 따라 긍정적 결과가 제공되는 것
→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열심히 하게 된다.
부정적 강화 : 자극에 대한 반응 결과 부정적 자극이 중지되는 것
→ 부정적 결과를 피하기 위해 열심히 하게 된다.
* [담배를 끊지 않으면 사람들이 당신을 끊습니다!] - 금연 광고
실제 광고의대부분은 긍정적 강화를 이용한 것이 많다. 당사 제품이나 브랜드를 사영하면 매우 긍정적 경험을 받을 수 있음을 전한다. 또 당사의 제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상황을 묘사하기도 한다.
제품의 장점(혜택, 효과)를 강조 → 긍정적 강화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불이익이나 손해를 강조 → 부정적 강화
바에서 멋진 여성의 매혹적인 자태를 보고 남성이 다가간다. 그러나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 속에 감춰진 썩은 치아..
[담배를 끊지 않으면 사람들이 당신을 끊습니다]
여성의 치아를 제시함으로서 정적처벌의 한 예시로 전달함.
아름다움 속에 숨겨진 썩은 치아 → 담배의 악영향을 보게 됨.
담배를 피는 행위를 감소시키려는 효과
4. 반두라의 모델링
모델링은 개인이 다른 사람을 롤 모델로 선정해 그의 행동을 자신의 행동에 적용하는 것이다.
즉, 개인이 모델의 특정 행동과 그 행동의 결과를 관찰하고 그 행동을 실제로 재현하는 것이 모델링이다. 모델링과 모방은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다. 모방은 타인의 행동 등을 단순히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다. 이는 의식이 거의 없이 무작정 따라하는 것으로 광고에서 나오는 유행어 등을 그대로 따라하는 행위가 모방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모델링은 롤 모델의 여러 행동 중에서 특정 행동을 선택한 후 따라하는 것이기에 모방보다 목적 지향적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 속 롤모델의 특정 행동을 보상 받는 것을 보고 자신도 보상을 얻기 위해 그 행동을 재현하는 것이 모델링이라 볼 수 있다.
* [ 박보검과 김연아의 주얼리 광고]
광고 물품 목걸이와 반지를 착용한 여자 모델은 연예인 활동을 하는 남자 친구와 연애를 한다. 어느 연인과 다름없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가 사소한 말다툼을 벌이지만 남자친구는 여자친구를 그리워하는 모습이 그려지는 광고이다. 위 광고를 본 여성 소비자들은 단순히 여성 모델이 착용한 주얼리를 갖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물건을 구매하면서 여성 모델이 누렸던 특정 행동과 상황의 보상을 받기 위해 그 행동을 재현하는 것을 모델링이라고 하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