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인사고과의 의의
II. 인사고과 방법
1. 자유기술법
2. 중요사건법
3. 도식평정법
4. 행위평정척도법
5. 타종업원과의 비교방법
1) 단순순위법
2) 일조비교법
3) 강제할당법
6. 목표에 의한 관리법
III. 인사고과의 피드백
* 참고문헌
II. 인사고과 방법
1. 자유기술법
2. 중요사건법
3. 도식평정법
4. 행위평정척도법
5. 타종업원과의 비교방법
1) 단순순위법
2) 일조비교법
3) 강제할당법
6. 목표에 의한 관리법
III. 인사고과의 피드백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준에 대한 공동 작성
4/ 종업원의 직무실시
5/ 진행 중인 직무집행에 대한 중간검토
6/ 종업원과 감독자의 기말에 공식적인 평가
개인의 목표 설정 시에 종업원을 참여시키는 이유는 목표설정에 참여하는 경우에 종업원들은 목표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할 것이라는 가정이 있기 때문이다.
경영자들 사이에서 MBO가 인기가 있는 것은 아마도 최종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경영자들은 이익, 판매액, 비용과 같은 결과 지향적인 산출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강조는 성과의 양적인 측정에 대한 MBO의 관심과 맥을 같이한다.
MBO는 수단보다는 결과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 방법은 경영자들에게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상의 길을 선택하는 재량권을 허용한다.
III. 인사고과의 피드백
많은 경영자들은 각각의 종업원들에게 공식적인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꺼린다. 그 이유는 아마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1) 경영자들이 사용한 평가방법에 완전한 신뢰를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2) 만일 그 평가결과가 종업원들이 저항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할 수 없는 것이라면 종업원들과의 대항 또는 그들로부터의 불쾌한 반응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영자들은 평가결과를 종업원들에게 피드백 시켜야 한다. 현대 인사관리에서 인사고과의 목적은 종업원의 성과평가의 결과를 보상이나 승진에 이용할 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개발에도 이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종업원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결과의 피드백이 중요하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4/ 종업원의 직무실시
5/ 진행 중인 직무집행에 대한 중간검토
6/ 종업원과 감독자의 기말에 공식적인 평가
개인의 목표 설정 시에 종업원을 참여시키는 이유는 목표설정에 참여하는 경우에 종업원들은 목표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할 것이라는 가정이 있기 때문이다.
경영자들 사이에서 MBO가 인기가 있는 것은 아마도 최종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경영자들은 이익, 판매액, 비용과 같은 결과 지향적인 산출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강조는 성과의 양적인 측정에 대한 MBO의 관심과 맥을 같이한다.
MBO는 수단보다는 결과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 방법은 경영자들에게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상의 길을 선택하는 재량권을 허용한다.
III. 인사고과의 피드백
많은 경영자들은 각각의 종업원들에게 공식적인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꺼린다. 그 이유는 아마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1) 경영자들이 사용한 평가방법에 완전한 신뢰를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2) 만일 그 평가결과가 종업원들이 저항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할 수 없는 것이라면 종업원들과의 대항 또는 그들로부터의 불쾌한 반응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영자들은 평가결과를 종업원들에게 피드백 시켜야 한다. 현대 인사관리에서 인사고과의 목적은 종업원의 성과평가의 결과를 보상이나 승진에 이용할 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개발에도 이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종업원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결과의 피드백이 중요하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