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인간관계론
1. 1차 실험 : 조명실험
2. 2차 실험 : 계전기 조립실험
3. 3차 실험 : 면접실험
4. 4차 실험 : 뱁선작업관찰 실험
5. 호손실험 결과
II. 행동과학이론
1. 욕구계층이론
2. X, Y이론
3. 두요인 이론
III. 인간행동의 순환과정
* 참고문헌
1. 1차 실험 : 조명실험
2. 2차 실험 : 계전기 조립실험
3. 3차 실험 : 면접실험
4. 4차 실험 : 뱁선작업관찰 실험
5. 호손실험 결과
II. 행동과학이론
1. 욕구계층이론
2. X, Y이론
3. 두요인 이론
III. 인간행동의 순환과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론
두 요인(동기-위생)이론은 허즈버그에 의해서 주장된 이론으로서, 지금까지 우리는 만족과 불만족이 동일선상에 존재한다고 생각했을 때, 그는 만족요인과 불만족 요인이 별개로 존재하며 만족요인은 충족을 시키지 않아도 불만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불만족요인은 그 요인을 아무리 충족시켜도 만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만족요인을 동기요인이라고 하며 성취감, 안정감, 책임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불만요인을 위생요인이라고 하며 감독방법, 작업조건, 회사의 정책, 동료와의 관계, 고용의 안정성 등이 여기에 속한다.
현대동기부여 이론에는 맥클리랜드(David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스키너(B. F. Skinner)의 강화이론, 애덤스미스(Adams Smith)의 공정성이론, 브룸(Victor Vroom)의 기대이론 등이 있다.
III. 인간행동의 순환과정
인간의 행동은 왜, 어떤 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는가? 행동은 일반적으로 어떤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서 동기가 유발된다.
인간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 즉 각 개인의 잠재의식에 자리 잡은 욕구(needs), 욕망(wants), 또는 충동(drives)등으로 정의되며, 행동을 일으키는 움직이는 요인이라면 욕구의 감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기대(expectancy)와 환경 제약성(availability)이다. 기대는 과거경험에 비추어 본 그 욕구충족의 가능성을 말하고 환경제약성은 환경이라는 현실 그 자체가 아니고 현실에 대한 개인적 인식, 즉 지각된 현실을 말한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두 요인(동기-위생)이론은 허즈버그에 의해서 주장된 이론으로서, 지금까지 우리는 만족과 불만족이 동일선상에 존재한다고 생각했을 때, 그는 만족요인과 불만족 요인이 별개로 존재하며 만족요인은 충족을 시키지 않아도 불만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불만족요인은 그 요인을 아무리 충족시켜도 만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만족요인을 동기요인이라고 하며 성취감, 안정감, 책임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불만요인을 위생요인이라고 하며 감독방법, 작업조건, 회사의 정책, 동료와의 관계, 고용의 안정성 등이 여기에 속한다.
현대동기부여 이론에는 맥클리랜드(David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스키너(B. F. Skinner)의 강화이론, 애덤스미스(Adams Smith)의 공정성이론, 브룸(Victor Vroom)의 기대이론 등이 있다.
III. 인간행동의 순환과정
인간의 행동은 왜, 어떤 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는가? 행동은 일반적으로 어떤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서 동기가 유발된다.
인간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 즉 각 개인의 잠재의식에 자리 잡은 욕구(needs), 욕망(wants), 또는 충동(drives)등으로 정의되며, 행동을 일으키는 움직이는 요인이라면 욕구의 감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기대(expectancy)와 환경 제약성(availability)이다. 기대는 과거경험에 비추어 본 그 욕구충족의 가능성을 말하고 환경제약성은 환경이라는 현실 그 자체가 아니고 현실에 대한 개인적 인식, 즉 지각된 현실을 말한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