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판소리 춘향가와 창극 춘향가의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 판소리 춘향가와 창극 춘향가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였기 때문에 그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판소리에서는 이야기 흐름상 생략되어야 했던 부분을 무대 연출이나 대사를 이용하여 표현해 극적인 부분을 더 크게 강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판소리에서는 간단한 장구, 북 등의 악기를 이용하여 추임새와 음악을 표현하였지만 창극에서는 가야금, 거문고, 아쟁, 대금 등 화려한 음악 선율을 표현할 수 있는 악기들이 주로 표현을 담당하고 있어, 정서적으로 슬픔을 표현할 때나 기쁨을 표현할 때 그에 대한 감정선이 잘 드러나 있었다. 이는 특히 이몽룡은 조금 음색이 깊은 거문고를 가지고 표현했다는 점, 성춘향은 음색이 비교적 가벼운 가야금이 반주를 하여 표현했다는 점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슬픈 부분에서는 아쟁과 대금의 곡소리를 내는 듯한 선율을 이용되어 사람의 목소리로만 표현을 한 판소리에 비해 화려한 연출이 돋보였다.
참고문헌
김제근, (2003). 판소리 춘향가와 오페라 춘향전의 특징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현주, (2011). 춘향가와 창극 춘향전에 관한 연구 사설과 반주를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장형숙, (2008).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수록 판소리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가격3,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0.02.19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