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사례발견 및 접수(초기면접)
II. 사정
III. 계획
IV. 실행(개입)과 조정
V. 점검
VI. 평가 및 종결
* 참고문헌
II. 사정
III. 계획
IV. 실행(개입)과 조정
V. 점검
VI. 평가 및 종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정을 통한 점검과정은 다음 4가지 목적을 위해서 주로 수행된다. 첫째, 서비스의 계획이 적절하게 이행되고 있는지 그 정도를 검토한다. 둘째,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와 지원계획의 목표에 대한 성취를 검토한다. 셋째, 서비스와 지원의 산출을 검토한다. 넷째, 서비스 계획의 변화를 요구하는 환자욕구의 발생을 알아낸다.
VI. 평가 및 종결
사례관리 실천과정에서 평가는 사정만큼이나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점검이 서비스가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이라면, 평가는 사례관리자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와 원조활동이 가치가 있는가를 결정내리는 과정이다. 즉 사례관리자가 행하는 서비스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유익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판단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될 수도 있다(.
평가는 사례관리자와 서비스 이용자가 초기에 결정한 욕구와 문제해결을 위해 수립한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종결 여부를 결정짓는 과정이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례관리자와 서비스 이용자가 좀 더 진보된 다음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점검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따라서 평가는 사례관리의 질을 강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정리하면, 평가는 사례관리자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와 원조활동이 가치가 있는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와 문제해결을 위해 욕구의 우선 순위와 목표를 수립하고, 개입과 점검을 통해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평가를 거쳐 종결단계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종료된다. 따라서 평가는 두 가지 수준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하나는 서비스를 받은 서비스 이용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례관리의 전반적인 체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VI. 평가 및 종결
사례관리 실천과정에서 평가는 사정만큼이나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점검이 서비스가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이라면, 평가는 사례관리자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와 원조활동이 가치가 있는가를 결정내리는 과정이다. 즉 사례관리자가 행하는 서비스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유익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판단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될 수도 있다(.
평가는 사례관리자와 서비스 이용자가 초기에 결정한 욕구와 문제해결을 위해 수립한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종결 여부를 결정짓는 과정이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례관리자와 서비스 이용자가 좀 더 진보된 다음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점검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따라서 평가는 사례관리의 질을 강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정리하면, 평가는 사례관리자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와 원조활동이 가치가 있는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와 문제해결을 위해 욕구의 우선 순위와 목표를 수립하고, 개입과 점검을 통해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평가를 거쳐 종결단계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종료된다. 따라서 평가는 두 가지 수준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하나는 서비스를 받은 서비스 이용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례관리의 전반적인 체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CRM성공사례,구축사례,실패이유 등등
[관광개발][관광][개발][관광개발 동해북부권][관광개발 제주도]관광개발의 분류, 관광개발의...
[관광개발사업][관광 사업][관광개발사업 구성요소][관광개발사업 경영성과]관광개발사업의 ...
[사회복지개론] 사례관리의 개념과 사례관리사의 역할을 기술한 후 장애인 또는 노인사례를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모델(심리사회적 모델, 인지행동모델, 인간중심모델, 과제...
[사례관리의 단계] 사회복지실천에서 사례관리 과정(접수 및 자료수집 사정 개입계획 수립 개...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법에서 Ellis가 제시한 ABCDE 성격모델을 도식화해서 설명하세요
사례관리의 과정과 단계별 주요 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사례관리의 과정과 단계별 주요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