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탐색기술
II. 부연설명 기술
III. 명료화 기술
IV. 요약 기술
V. 초점유지 기술
* 참고문헌
II. 부연설명 기술
III. 명료화 기술
IV. 요약 기술
V. 초점유지 기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복지사에게 면담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며,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어려운 문제를 쉽게 이야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므로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이용자의 문제 상황에 맞게 면담을 유도할 필요 가 있다.
초점유지 기술은 유용한 기술이지만 때로 강압적인 면을 갖고 있다. 이 기술은 라포 및 신뢰관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주제와 면담의 목적을 유지하는 데 활용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revithick, 2000).
첫째, 이제까지의 논의가 특정문제에 지나치게 초점을 둔 나머지 다른 문제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을 수 있다.
둘째, 논의 내용이 소진되어 같은 내용이 반복적이다.
셋째, 논의 내용이 주변적이거나 관련성이 없어 핵심에서 벗나 있다.
넷째, 어려운 주제에서 벗어나 이 주제에 다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논의 내용으로 인해 격한 정서적 감정을 불러일으켜서 마음을 진정하고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초점유지 기술은 유용한 기술이지만 때로 강압적인 면을 갖고 있다. 이 기술은 라포 및 신뢰관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주제와 면담의 목적을 유지하는 데 활용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revithick, 2000).
첫째, 이제까지의 논의가 특정문제에 지나치게 초점을 둔 나머지 다른 문제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을 수 있다.
둘째, 논의 내용이 소진되어 같은 내용이 반복적이다.
셋째, 논의 내용이 주변적이거나 관련성이 없어 핵심에서 벗나 있다.
넷째, 어려운 주제에서 벗어나 이 주제에 다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논의 내용으로 인해 격한 정서적 감정을 불러일으켜서 마음을 진정하고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