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든 수준에서 억제시키는 약물이다.
적응증
1.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2. 마취전 투약
3. 알코올 금단증상
4. 경련발작 또는 간질 중첩상태
5. 검사전 투약 (불안, 긴장 경감) : 내시경 검사, 심율동 전환
부작용
정맥염, 주사부위의 통증, 협조 장애(impaired coordination), 구음장애(dysarthria), 성욕 감소, 시야몽롱, 복시(diplopia), 심장마비, 저혈압, 서맥, 심혈관 허탈, 빈맥, 흉통, 구갈, 타액분비 변화, 변비, 오심, 구토, 설사, 식욕 증가나 감소, 졸음, 운동실조, 건망증, 언어장애(slurred speech), 역설적인 흥분, 분노, 피로, 현기증(lightheadedness), 피부발진, 호흡수 감소, 무호흡, 후두경련, 발한
미다컴
(미다졸람)
5mg/mL,
15mh/3mL
최면진정제
Benzodiazepine계 약물은 다른 진정제에 비해 보다 특이적인 항불안 효과를 나타냄. 단시간 지속성 triazolobenzodiazepine계 약물로서, 염소이온의 세포막 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시에 γ-aminobutyric acid(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내며, 대뇌 변연계와 망상체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를 모든 수준에서 억제함.
적응증
1.수술 전 진정(수면 또는 가면상태 유도 및 불안경감) 및 수술 전후의 기억력장애
목적으로 근육주사
2. 기관지경 검사, 위경검사, 방광경 검사, 혈관 조영술 및 심장 카테터법과 같은 단시간
진단 또는 내시경 검사전 의식하의 진정목적으로 단독 또는 마약성 진통제와 병용하여 정맥주사
3. 다른 마취제 투여전 전신마취 유도목적으로 정맥주사 및 단시간 외과처치시
N2O/O2(균형마취)의 정맥용 보조제
4. 중환자실 환자의 장기간 진정 목적으로 bolus 정맥주사 또는 지속적 정맥주입
부작용
1.근육주사시 두통, 근육주사부위의 국소작용(동통, 경결, 발적, 근강직)이 나타날 수
있다.
2.정맥주사시 딸꾹질, 구역, 구토, 기침, 진정과다, 두통, 졸음, 정맥주사부위의 국소작용
(압통, 주사중 동통, 발적, 경결, 혈전증, 혈전성 정맥염)이 주로 나타난다.
3.정맥주사시 1.0% 이하의 발생빈도를 보이는 다른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호흡기계 : 후두경련, 기관경련, 호흡곤란, 천식음, 얕은 호흡, 기도폐색, 빈호흡,
객담증가
② 순환기계 : 이단맥, 기외심실수축, 혈관미주신경이상, 빈맥, 방실결절성리듬, 부정맥,
혈압상승, 혈압저하
③ 소화기계 : 산미, 유연과다, 구토, 변비, 구강건조
④ 중추신경계/신경근접합부 : 역행성건망증, 다행증, 착란, 논쟁선호, 신경과민, 불안,
휘청거림, 초조, 헛소리 또는 격앙, 마취로부터 각성지연, 각성중 의식몽롱, 수면장애,
불면증, 악몽, 무정위운동, 운동실조, 어지러움, 불쾌감, 언어차질, 발성곤란, 지각이상,
집중저하, 환청, 피로
⑤ 특수감각계 : 시야몽롱, 복시, 안구진탕증, 동공축소, 주기적 안검운동, 시각장애,
초점곤란, 이 차단(귀의 염증성 동통), 균형상실, 두경감
⑥ 피부 : 두드러기, 주사부위의 담마진양 융기, 부종 또는 작열감, 주사부위에 온감
또는 냉감, 발진, 가려움
⑦ 기타 : 하품, 기면, 오한, 치통, 어지러움, 혈종
아티반
(로라제팜)
4mg/1mL
정신신경용제
Benzodiazepine계 약물은 다른 진정제에 비해 보다 특이적인 항불안 효과를 나타냄.
Benzodiazepines은 염소 이온의 세포막 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 시에 γ-aminobutyric acid(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내며 대뇌 변연계와 망상체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를 모든 수준에서 억제함.
적용증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및 경구투여보다 신속한 효과를 필요로 하는 경우 :
1. 마취전 투약
2. 다음 검사시의 불안·긴장 : 내시경검사, 기관지경검사, 동맥촬영
3. 급성 불안, 급성 흥분 또는 급성 조증
부작용
1.의존성 및 금단증상 : 대량투여에 의해 정신적·육체적 약물의존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
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신중히 투여한다. 또한 대량투여 또는
연용중에 투여량의 급격한 감소 또는 중지에 의해 드물게 경련발작, 때때로 헛소리,
진전, 불면, 불안, 환각, 망상 등의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중지할 경우 천천히
감량한다.
2.정신신경계
(1) 정신 분열증 등의 정신장애자에 투여하면 오히려 불안, 흥분, 우울, 자극과민, 착란,
환각, 정신병, 기타 행동장애 등의 역설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때때로 졸음, 어지러움, 휘청거림, 기립성 조절장애, 두중·두통, 두부압박감, 이명,
불면, 심계항진, 보행실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눈 : 안구진탕, 시력불선명 등의 시각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4) 소화기계 : 구역, 구토, 설사, 변비, 식욕부진, 구갈, 위부불쾌감, 위부팽만감, 상복부
통, 가슴쓰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호흡기계 : 다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서 만성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질환에 사용한
경우 호흡억제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
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6) 순환기계 : 때때로 혈압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7) 과민증 : 때때로 발진, 가려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8) 골격근 : 권태감, 무력감 등의 근긴장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9) 기타 : 드물게 혀의 꼬임, 성욕의 변화, 요실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정신부활약
세레브로라진주
적응증: 알츠하이머형 노인성치매, 졸중후 뇌기능장애, 두개골의 외상
부작용: 급속히 주사할 경우 완화한 열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 극히 드물게 오한,
발열, 두통, 하배부의 동통, 쇽
상호작용
1.항우울제나 MAO 저해제와의 동시투여는 부작용을 초재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항우울제나 MAO 저해제를 감량하여 투여한다.
2.아미노산수액제와의 동시투여는 피한다.
적응증
1.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2. 마취전 투약
3. 알코올 금단증상
4. 경련발작 또는 간질 중첩상태
5. 검사전 투약 (불안, 긴장 경감) : 내시경 검사, 심율동 전환
부작용
정맥염, 주사부위의 통증, 협조 장애(impaired coordination), 구음장애(dysarthria), 성욕 감소, 시야몽롱, 복시(diplopia), 심장마비, 저혈압, 서맥, 심혈관 허탈, 빈맥, 흉통, 구갈, 타액분비 변화, 변비, 오심, 구토, 설사, 식욕 증가나 감소, 졸음, 운동실조, 건망증, 언어장애(slurred speech), 역설적인 흥분, 분노, 피로, 현기증(lightheadedness), 피부발진, 호흡수 감소, 무호흡, 후두경련, 발한
미다컴
(미다졸람)
5mg/mL,
15mh/3mL
최면진정제
Benzodiazepine계 약물은 다른 진정제에 비해 보다 특이적인 항불안 효과를 나타냄. 단시간 지속성 triazolobenzodiazepine계 약물로서, 염소이온의 세포막 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시에 γ-aminobutyric acid(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내며, 대뇌 변연계와 망상체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를 모든 수준에서 억제함.
적응증
1.수술 전 진정(수면 또는 가면상태 유도 및 불안경감) 및 수술 전후의 기억력장애
목적으로 근육주사
2. 기관지경 검사, 위경검사, 방광경 검사, 혈관 조영술 및 심장 카테터법과 같은 단시간
진단 또는 내시경 검사전 의식하의 진정목적으로 단독 또는 마약성 진통제와 병용하여 정맥주사
3. 다른 마취제 투여전 전신마취 유도목적으로 정맥주사 및 단시간 외과처치시
N2O/O2(균형마취)의 정맥용 보조제
4. 중환자실 환자의 장기간 진정 목적으로 bolus 정맥주사 또는 지속적 정맥주입
부작용
1.근육주사시 두통, 근육주사부위의 국소작용(동통, 경결, 발적, 근강직)이 나타날 수
있다.
2.정맥주사시 딸꾹질, 구역, 구토, 기침, 진정과다, 두통, 졸음, 정맥주사부위의 국소작용
(압통, 주사중 동통, 발적, 경결, 혈전증, 혈전성 정맥염)이 주로 나타난다.
3.정맥주사시 1.0% 이하의 발생빈도를 보이는 다른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호흡기계 : 후두경련, 기관경련, 호흡곤란, 천식음, 얕은 호흡, 기도폐색, 빈호흡,
객담증가
② 순환기계 : 이단맥, 기외심실수축, 혈관미주신경이상, 빈맥, 방실결절성리듬, 부정맥,
혈압상승, 혈압저하
③ 소화기계 : 산미, 유연과다, 구토, 변비, 구강건조
④ 중추신경계/신경근접합부 : 역행성건망증, 다행증, 착란, 논쟁선호, 신경과민, 불안,
휘청거림, 초조, 헛소리 또는 격앙, 마취로부터 각성지연, 각성중 의식몽롱, 수면장애,
불면증, 악몽, 무정위운동, 운동실조, 어지러움, 불쾌감, 언어차질, 발성곤란, 지각이상,
집중저하, 환청, 피로
⑤ 특수감각계 : 시야몽롱, 복시, 안구진탕증, 동공축소, 주기적 안검운동, 시각장애,
초점곤란, 이 차단(귀의 염증성 동통), 균형상실, 두경감
⑥ 피부 : 두드러기, 주사부위의 담마진양 융기, 부종 또는 작열감, 주사부위에 온감
또는 냉감, 발진, 가려움
⑦ 기타 : 하품, 기면, 오한, 치통, 어지러움, 혈종
아티반
(로라제팜)
4mg/1mL
정신신경용제
Benzodiazepine계 약물은 다른 진정제에 비해 보다 특이적인 항불안 효과를 나타냄.
Benzodiazepines은 염소 이온의 세포막 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 시에 γ-aminobutyric acid(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내며 대뇌 변연계와 망상체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를 모든 수준에서 억제함.
적용증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및 경구투여보다 신속한 효과를 필요로 하는 경우 :
1. 마취전 투약
2. 다음 검사시의 불안·긴장 : 내시경검사, 기관지경검사, 동맥촬영
3. 급성 불안, 급성 흥분 또는 급성 조증
부작용
1.의존성 및 금단증상 : 대량투여에 의해 정신적·육체적 약물의존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
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신중히 투여한다. 또한 대량투여 또는
연용중에 투여량의 급격한 감소 또는 중지에 의해 드물게 경련발작, 때때로 헛소리,
진전, 불면, 불안, 환각, 망상 등의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중지할 경우 천천히
감량한다.
2.정신신경계
(1) 정신 분열증 등의 정신장애자에 투여하면 오히려 불안, 흥분, 우울, 자극과민, 착란,
환각, 정신병, 기타 행동장애 등의 역설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때때로 졸음, 어지러움, 휘청거림, 기립성 조절장애, 두중·두통, 두부압박감, 이명,
불면, 심계항진, 보행실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눈 : 안구진탕, 시력불선명 등의 시각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4) 소화기계 : 구역, 구토, 설사, 변비, 식욕부진, 구갈, 위부불쾌감, 위부팽만감, 상복부
통, 가슴쓰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호흡기계 : 다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서 만성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질환에 사용한
경우 호흡억제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
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6) 순환기계 : 때때로 혈압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7) 과민증 : 때때로 발진, 가려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8) 골격근 : 권태감, 무력감 등의 근긴장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9) 기타 : 드물게 혀의 꼬임, 성욕의 변화, 요실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정신부활약
세레브로라진주
적응증: 알츠하이머형 노인성치매, 졸중후 뇌기능장애, 두개골의 외상
부작용: 급속히 주사할 경우 완화한 열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 극히 드물게 오한,
발열, 두통, 하배부의 동통, 쇽
상호작용
1.항우울제나 MAO 저해제와의 동시투여는 부작용을 초재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항우울제나 MAO 저해제를 감량하여 투여한다.
2.아미노산수액제와의 동시투여는 피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