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이남북한에미치는영향,몽골과북한의외교관계,몽공과남한의외교관계,몽골과남북한의외교관계,몽골,할힌골 전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몽골이남북한에미치는영향,몽골과북한의외교관계,몽공과남한의외교관계,몽골과남북한의외교관계,몽골,할힌골 전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몽골과 북한의 외교관계

ⅰ 외교관계 연혁
ⅱ 정치, 역사적 외교
ⅲ 경제적 외교
ⅳ 사회문화적 외교

2. 몽골과 남한의 외교관계

ⅰ 외교관계 연혁
ⅱ 정치, 역사적 외교
ⅲ 경제적 외교
ⅳ 사회문화적 외교

3. 몽골과 남북한의 외교관계 비교 및 향후 전망

ⅰ 외교관계 총체적 비교 분석
ⅱ 외교적 향후 전망
ⅲ 결론

본문내용

1. 몽-북 정치, 역사적 외교
반제국주의 투쟁시기
1932.3.1 만주사변
일본이 중국 동북부 점거.
서북방면으로 영토를 넓히고자 하는
야욕 몽골을 첫 번째 점거 대상으
로 지목
할힌골 전투를 일으킴

1. 몽-북 정치, 역사적 외교
2. 북한 건국과 사회주의 건설시기
1948.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즈 쌈부 대사
역사 문화적 연대성, 반제국주의 공동투쟁의
경험 → 양국의 수뇌급 인물들의 깊은 유대
관계로 발전 (김일성 – 즈 쌈부)

2. 몽-북 외교관계 연혁
1948.10.15 몽-북한 수교
양측은 사회주의 연대를 바탕으로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유지

김일성 방몽(1956, 1988), 몽골 당서기장(1958, 1986)방북
몽골은 북한의 6.25 전쟁고아 약 200명 수용

1990.3. 한-몽 수교 이후 몽골은 개혁,개방 추진을 위해 한국과의 관계를 강화

- 북한은 몽골이 우리의 햇볕정책을 지지한데 대해 반발하면서 1999.8. 주몽골대사관 철수, 양국관계가 일시적으로 소원
-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도 대사관 철수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20.04.20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129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