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우파
2. 중도노선
3. 사회민주주의
4. 마르크스주의
5. 페미니즘
6. 녹색주의
* 참고문헌
2. 중도노선
3. 사회민주주의
4. 마르크스주의
5. 페미니즘
6. 녹색주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유지시킨다고 비판하면서 자본주의적 페미니즘(capitalist feminism)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입장은 자본주의 내에서 이룩한 성불평등에 대한 개혁이나 완화의 성과를 인정하지 않는 현실적 약점을 지니고 있다.
셋째,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은 여성집단은 남성집단에 의해 억압받는 존재로 파악한다. 억압의 뿌리는 생물학에 근거하거나 고용과 피용의 관계라고 본다. 특히 강간이나 가정폭력 등에 주목하며, 남성과 여성을 적대관계로 본다. 그러나 이들은 여성 간에 존재하는 상이한 이해관계와 위치를 무시하는 이념적 경직성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남녀관계를 불가피한 갈등관계로 간주하며 생물학적 환원주의에 빠진 결과, 실질적 해결책이나 희망을 주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페미니스트들은 양면적 복지국가관을 보이면서도, 복지국가가 여성특유의 욕구에 대한 배려에 실패했음을 강조한다.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 poverty)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복지국가가 여성에게 적절한 독립적 소득을 보장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복지국가에서도 돌봄(care) 역할은 당연히 여성이 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개인적이고 사적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
6. 녹색주의(Greenism)
녹색주의는 선진 산업사회의 정부 역할에 관해 다섯 가지 기본적 비판을 가한다.
첫째, 경제성장과 소비의 지속 확대가 가능하며 바람직하다는 신념에 입각한 복지국가는 잘못되었다.
둘째, 공업, 농업, 의료부문이 사용하는 대규모 기술은 유해하다.
셋째, 산업사회의 탐욕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정신은 자원고갈을 촉진시킨다.
넷째, 복지국가의 사회복지서비스는 사회문제의 원인이 아닌 현상만을 다루고 있다.
다섯째, 경제성장과 소비의 감축과 마찬가지로 공공복지 지출도 축소되어야 한다.
녹색주의자들도 상반되는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뉘어지는데 한쪽에서는 밝고 약한 녹색주의가 위치하여 환경친화적 경제성장과 소비를 통해 경제의 성장과 소비를 인정하면서 자연과의 공존을 추구한다.
다른 한쪽의 어둡고 강한 녹색주의자들은 과학기술로는 현재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오직 경제성장과 소비의 축소를 통해서 인간이 다른 종과 평등하게 생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표] 조지와 윌딩의 이데올로기 모형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셋째,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은 여성집단은 남성집단에 의해 억압받는 존재로 파악한다. 억압의 뿌리는 생물학에 근거하거나 고용과 피용의 관계라고 본다. 특히 강간이나 가정폭력 등에 주목하며, 남성과 여성을 적대관계로 본다. 그러나 이들은 여성 간에 존재하는 상이한 이해관계와 위치를 무시하는 이념적 경직성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남녀관계를 불가피한 갈등관계로 간주하며 생물학적 환원주의에 빠진 결과, 실질적 해결책이나 희망을 주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페미니스트들은 양면적 복지국가관을 보이면서도, 복지국가가 여성특유의 욕구에 대한 배려에 실패했음을 강조한다.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 poverty)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복지국가가 여성에게 적절한 독립적 소득을 보장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복지국가에서도 돌봄(care) 역할은 당연히 여성이 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개인적이고 사적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
6. 녹색주의(Greenism)
녹색주의는 선진 산업사회의 정부 역할에 관해 다섯 가지 기본적 비판을 가한다.
첫째, 경제성장과 소비의 지속 확대가 가능하며 바람직하다는 신념에 입각한 복지국가는 잘못되었다.
둘째, 공업, 농업, 의료부문이 사용하는 대규모 기술은 유해하다.
셋째, 산업사회의 탐욕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정신은 자원고갈을 촉진시킨다.
넷째, 복지국가의 사회복지서비스는 사회문제의 원인이 아닌 현상만을 다루고 있다.
다섯째, 경제성장과 소비의 감축과 마찬가지로 공공복지 지출도 축소되어야 한다.
녹색주의자들도 상반되는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뉘어지는데 한쪽에서는 밝고 약한 녹색주의가 위치하여 환경친화적 경제성장과 소비를 통해 경제의 성장과 소비를 인정하면서 자연과의 공존을 추구한다.
다른 한쪽의 어둡고 강한 녹색주의자들은 과학기술로는 현재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오직 경제성장과 소비의 축소를 통해서 인간이 다른 종과 평등하게 생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표] 조지와 윌딩의 이데올로기 모형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사회복지정책은 이념이나 이데올로기에 의해 많은 영향을 체계이념으로 크게 보수주의, 진보...
복지국가 더 좋은 사회에 대한 믿음
조지와 윌딩의 사회복지정책의 이념모형 4가지 레포트
조지와 웰딩의4가지 이데올로기 모형에 대해 설명하시요
□ 조지(George)와 윌딩(wilding)의 이데올로기 모형
조지와 윌딩의 후기분류 6가지에 대해 설명 (조지와 윌딩)
[사회복지 정책론 연구] 복지와 이데올로기 (Welfare and Ideology)
이데올로기의 분류(반집합주의, 소극적집합주의, 페이비언사회주의, 마르크스 주의, 페미니즘...
복지국가의 이데올로기(반집합주의-신우파, 소극적 집합주의-중도노선, 사회민주주의-페이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