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clinical data
<간호력 >
1.일반적 사항
2.현재 건강력 사정
3.신체적 상태
4.의식
5.습관
6.활력징후
7. 현재 복용하고 있는약
B pathophysiology
*대퇴골경부골절
1.정의
2.호발연령
3.손상기전
4.증상
5.원인/병태생리
6.진단
7.치료
8. case study 대상자의 수술
C abnormal data lists
D.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1. 구토,설사와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성
#2. 고령과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
<간호력 >
1.일반적 사항
2.현재 건강력 사정
3.신체적 상태
4.의식
5.습관
6.활력징후
7. 현재 복용하고 있는약
B pathophysiology
*대퇴골경부골절
1.정의
2.호발연령
3.손상기전
4.증상
5.원인/병태생리
6.진단
7.치료
8. case study 대상자의 수술
C abnormal data lists
D.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1. 구토,설사와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성
#2. 고령과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
본문내용
U: 1300 S: 900(dia 3), V:300(#2)
③ v/s
5/30 11am : 110/60-95-38.5-20-93%
6/1 8pm : 130/80-70-37.7-20.
<장기목표>
대상자는 적절한 체액 균형 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대상자의 구토, 설사 횟수가 하루 2차례 미만으로 줄어든다.
②대상자의 I/O가 균형을 이룬다.
③대상자의 v/s 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진단적 계획>
①매 근무시 v/s를 규칙적으로 사정한다.
② 매 근무시 자세하게 I/O를 조사한다.
<치료적 계획>
①처방된 수액을 주입함으로써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한다.
②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조사한뒤 제공하도록 한다.
③ 필요시 처방된 진토제, 지사제를 제공한다.
④ 식사 전후 자주 환기를 시켜 신선한 공기로 순환시킨다.
<교육적 계획>
①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에 대해 조사한뒤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② 오심을 줄일 수 있도록 신선한 주스나 작은얼음조각을 입안에 머금고 있게 한다.
<진단적 계획>
①탈수가 있을시 빈맥과 체온상승이 있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의 힛수와 양상을 파악하면 체액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③ 환기가 되지 않을시 병실안에 고여있는 음식냄새가 역하게 느껴져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① 수액과 부족한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체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②진토제나 지사제를 투여함으로써 구토나 설사를 줄일 수 있다.
<교육적 계획>
①설사나 복통을 유발하는 음식을 제한하면 횟수가 감소할 수 있다.
② 신선한 주스나 작은 얼음 조각은 오심을 예방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진단적계획>
①대상자의 v/s을 매 근무마다 측정하였다.
5/30 2pm
110/70-92-38.2-20
5/30 8pm
110/60-98-37-20
5/30 11PM
110/70-96-36.9-20
②대상자의 I/O를 사정하였다.
6/1 I/O
3100/2780
③ I/O사정시마다 구토와 설사의 횟수를 사정하였다.
6/1
vomiting-0회
dia-1회
<치료적계획>
① 대상자의 전해질 수치를 사정하였다.
*5/30
Na 131
K 4.3
*6/1
Na 138
K4.3
<교육적계획>
①설사를 유발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알고 있고 제한하였다.②수시로 작은 얼음조각을 입에 물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① 6/1 대상자의 구토 및 설사의 횟수가 하루 2회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② 6/1 대상자는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을 유지하였다.
③ 6/1 대상자의 v/s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 2. 고령과 관련된 수술후 회복지연
간호 사정
간호 목표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평가
①“어제부터 갑자기 영 기운이 없고 침대에 누워만 있고 싶어요.”
②“수술하면 다 끝나는 건 줄 알았는데 왜 이제 또 새로운 병이 온 건가요”
O:①표정이 어둡고 병실내 타 환자들과 대화하지 않고 처방난 물리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누워만 있는 모습임.
②대상자는 2018년1월20일 수술 이후 현재 재활치료 중이나 고령과 수술 이후 컨디션 저하로 잦은 패혈증 소견이 반복되고 있음.
③ 5/30Lab상
CRP(정량) 14.36 ▲
<장기목표>
대상자는 수술후 회복지연과 관련하여 불안해하지 않고 잘 적응하고 대처한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수술 후 자가관리에 대해 잘 알고, 시행할 수 있다.
② 대상자는 추후 치료에 대해 잘 알고 ,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진단적계획>
①대상자가 무기력해하지 않도록 대상자와 머물러서 정서적으로 지지한다.
②타 환우들과 대화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대화를 유도한다
③매 근무시간마다 v/s을 사정한다.
<치료적계획>
①처방된 항생제의 사용계획에 대해 설명해주고 이해시킨다.
②처방난 물리치료를 예정대로 받을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③ 필요시 처방난 진통제는 투여한다.
<교육적계획>
①불안해하는 배우자를 지지해주고 치료경과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②보호자들에게 의문점을 질문하게 하고 감정이입의 태도로 상담한다.
③보호자에게 수술후 회복지연이 있을 수 있고 극복할 수 있음을 교육하고 인지시킨다.
<진단적계획>
①② 정서적 지지를 통하여 우울해하고 낙담한 상황에서 벗어 날 수 있도록 조력한다
③v/s 사정을 통하여 정상임을 알려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치료적계획>
①예정되어 있는 치료계획에 대하여 설명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②의사 처방에 따른 계획적인 물리치료는 재활에 도움이 되어 수술후 지연된 회복을 도운다.
③ 통증이 있으면 우울감, 불안감이 생길 수 있다.
<교육적계획>
①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오해를 감소시키고 보호자를 지지하여 보호자도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②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보호자를 안심시키고 자신감을 북돋을 수 있다.
③ 보호자가 올바르게 교육받은 지식을 통해 대상자를 격려해주는데 도움을 준다.
<진단적계획>
①②정서적 지지를 통하여 라포가 형성되었고 대상자는 의료인들에 대한 신뢰감이 생겼다.
③매 근무시 v/s을 사정하였다.
5/30 2pm
110/70-92-38.2-20
5/30 8pm
110/60-98-37-20
5/30 11PM
110/70-96-36.9-20
<치료적계획>
①치료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여 대상자의 불안감이 해소되었다.
②대상자는 물리치료를 처방난 일정대로 규칙적으로받았다.③필요시 처방난 PRN을 통증시 적절히 주사하였다.
<교육적계획>
①보호자들에게 약 일주일 뒤 lab f/u처방이 나있음을 알려주었다.
②불안해하는 보호자들을 정서적으로 지지해주었다
③ 고령과 컨디션에 따라 수술후 회복지연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보호자도 이해를 하였다.
①대상자는 기운을 되찾고 같은 방 환자들과 밝은 모습으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② 대상자는 자가 운동을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이며 회복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③ 6/5 Lab결과상
CRP가 0.4로 감소되어 anti treatment가 종료되었다.
대상자는 예정된 치료계획대로 lab f/u 후 anti treatment가 종료되는 것을 보고 신뢰감을 느끼며 안정감을 느꼈다.
③ v/s
5/30 11am : 110/60-95-38.5-20-93%
6/1 8pm : 130/80-70-37.7-20.
<장기목표>
대상자는 적절한 체액 균형 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대상자의 구토, 설사 횟수가 하루 2차례 미만으로 줄어든다.
②대상자의 I/O가 균형을 이룬다.
③대상자의 v/s 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진단적 계획>
①매 근무시 v/s를 규칙적으로 사정한다.
② 매 근무시 자세하게 I/O를 조사한다.
<치료적 계획>
①처방된 수액을 주입함으로써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한다.
②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조사한뒤 제공하도록 한다.
③ 필요시 처방된 진토제, 지사제를 제공한다.
④ 식사 전후 자주 환기를 시켜 신선한 공기로 순환시킨다.
<교육적 계획>
①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에 대해 조사한뒤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② 오심을 줄일 수 있도록 신선한 주스나 작은얼음조각을 입안에 머금고 있게 한다.
<진단적 계획>
①탈수가 있을시 빈맥과 체온상승이 있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의 힛수와 양상을 파악하면 체액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③ 환기가 되지 않을시 병실안에 고여있는 음식냄새가 역하게 느껴져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① 수액과 부족한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체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②진토제나 지사제를 투여함으로써 구토나 설사를 줄일 수 있다.
<교육적 계획>
①설사나 복통을 유발하는 음식을 제한하면 횟수가 감소할 수 있다.
② 신선한 주스나 작은 얼음 조각은 오심을 예방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진단적계획>
①대상자의 v/s을 매 근무마다 측정하였다.
5/30 2pm
110/70-92-38.2-20
5/30 8pm
110/60-98-37-20
5/30 11PM
110/70-96-36.9-20
②대상자의 I/O를 사정하였다.
6/1 I/O
3100/2780
③ I/O사정시마다 구토와 설사의 횟수를 사정하였다.
6/1
vomiting-0회
dia-1회
<치료적계획>
① 대상자의 전해질 수치를 사정하였다.
*5/30
Na 131
K 4.3
*6/1
Na 138
K4.3
<교육적계획>
①설사를 유발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알고 있고 제한하였다.②수시로 작은 얼음조각을 입에 물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① 6/1 대상자의 구토 및 설사의 횟수가 하루 2회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② 6/1 대상자는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을 유지하였다.
③ 6/1 대상자의 v/s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 2. 고령과 관련된 수술후 회복지연
간호 사정
간호 목표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평가
①“어제부터 갑자기 영 기운이 없고 침대에 누워만 있고 싶어요.”
②“수술하면 다 끝나는 건 줄 알았는데 왜 이제 또 새로운 병이 온 건가요”
O:①표정이 어둡고 병실내 타 환자들과 대화하지 않고 처방난 물리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누워만 있는 모습임.
②대상자는 2018년1월20일 수술 이후 현재 재활치료 중이나 고령과 수술 이후 컨디션 저하로 잦은 패혈증 소견이 반복되고 있음.
③ 5/30Lab상
CRP(정량) 14.36 ▲
<장기목표>
대상자는 수술후 회복지연과 관련하여 불안해하지 않고 잘 적응하고 대처한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수술 후 자가관리에 대해 잘 알고, 시행할 수 있다.
② 대상자는 추후 치료에 대해 잘 알고 ,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진단적계획>
①대상자가 무기력해하지 않도록 대상자와 머물러서 정서적으로 지지한다.
②타 환우들과 대화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대화를 유도한다
③매 근무시간마다 v/s을 사정한다.
<치료적계획>
①처방된 항생제의 사용계획에 대해 설명해주고 이해시킨다.
②처방난 물리치료를 예정대로 받을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③ 필요시 처방난 진통제는 투여한다.
<교육적계획>
①불안해하는 배우자를 지지해주고 치료경과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②보호자들에게 의문점을 질문하게 하고 감정이입의 태도로 상담한다.
③보호자에게 수술후 회복지연이 있을 수 있고 극복할 수 있음을 교육하고 인지시킨다.
<진단적계획>
①② 정서적 지지를 통하여 우울해하고 낙담한 상황에서 벗어 날 수 있도록 조력한다
③v/s 사정을 통하여 정상임을 알려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치료적계획>
①예정되어 있는 치료계획에 대하여 설명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②의사 처방에 따른 계획적인 물리치료는 재활에 도움이 되어 수술후 지연된 회복을 도운다.
③ 통증이 있으면 우울감, 불안감이 생길 수 있다.
<교육적계획>
①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오해를 감소시키고 보호자를 지지하여 보호자도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②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보호자를 안심시키고 자신감을 북돋을 수 있다.
③ 보호자가 올바르게 교육받은 지식을 통해 대상자를 격려해주는데 도움을 준다.
<진단적계획>
①②정서적 지지를 통하여 라포가 형성되었고 대상자는 의료인들에 대한 신뢰감이 생겼다.
③매 근무시 v/s을 사정하였다.
5/30 2pm
110/70-92-38.2-20
5/30 8pm
110/60-98-37-20
5/30 11PM
110/70-96-36.9-20
<치료적계획>
①치료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여 대상자의 불안감이 해소되었다.
②대상자는 물리치료를 처방난 일정대로 규칙적으로받았다.③필요시 처방난 PRN을 통증시 적절히 주사하였다.
<교육적계획>
①보호자들에게 약 일주일 뒤 lab f/u처방이 나있음을 알려주었다.
②불안해하는 보호자들을 정서적으로 지지해주었다
③ 고령과 컨디션에 따라 수술후 회복지연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보호자도 이해를 하였다.
①대상자는 기운을 되찾고 같은 방 환자들과 밝은 모습으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② 대상자는 자가 운동을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이며 회복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③ 6/5 Lab결과상
CRP가 0.4로 감소되어 anti treatment가 종료되었다.
대상자는 예정된 치료계획대로 lab f/u 후 anti treatment가 종료되는 것을 보고 신뢰감을 느끼며 안정감을 느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