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의 공통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의 공통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한∙중∙일의 유교문화
1)유교사상이 추구하는 가치
2)한국 유교의 특징
3)일본 유교의 특징
4)중국 유교의 특징
2.불교가 한∙중∙일에 미친 영향
1)불교란 무엇인가
2)한∙중∙일의 불교의 역사
(1)한국 불교의 역사
(2)일본 불교의 역사
(3)중국 불교의 역사
Ⅲ.결론

본문내용

다.
(2)일본의 불교
일본은 6세기에 백제로부터 불교가 전래되었다. 당나라 승려 감진이 일본 불교의 초 석을 쌓는데 많은 공헌을 했으며, 당나라에 유학을 다녀온 구카이와 사이초가 각각 진 언종,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그 뒤 일본 불교에서는 고야산, 히에이산 등의 비중이 커 졌고 정토신앙의 유행으로 아미타불 신앙이 보편화되었다. 1603년는 도쿠가와 이에야 스가 불교와 관련하여 사사제법도를 정하였다. 1868년 이후 메이지 정부는 불교를 억 제하는 숭신억불 정책을 펴 일본 불교계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종교법인법이 제정되어 이후 불교계는 각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3)중국의 불교
중국에 불교가 최초로 전래된 시기는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한지 500년이 지난 후였 다. 중국과 서역을 연결하는 교역로가 중국과 인도를 연결시켜 주고 있었기 때문에 불 교는 쉽게 중국으로 전해질 수 있었다. 중국의 불교는 중국대륙으로 들어오게 되 어 각각의 판단에 따라 경전을 체계화하여 종파가 세워졌기 때문에 여러 종파가 생기 게 되었다. 여러 종파 가운데 가장 중국적인 불교로는 선종과 정토종가 있다. 정토종 은 오로지 아미타부처님에 대한 염불을 강조하여 중국의 민중들에게 정토왕생이라는 염불신앙을 굳건히 해주었다. 그러나 선종은 이론에만 매달려 입씨름이나 하고 있는 학문불교, 허약한 지식사회를 비판하고 주체적인 나 자신의 마음과 깨달음을 강조하였 다.
Ⅲ. 결론
유교사상은 서양에는 없는 사상으로 아시아에서 큰 영향력을 미쳤다. 특히 한국과 중국과 일본에는 일상생활 속에도 스며들을 만큼 우리의 삶속에 녹아있었다. 불교 또한 많은 아시아에서 믿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과 일본은 정치 상황에도 영향을 줄 만큼 많은 부분에 개입되어 있었다.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가 아시아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될 수 있던 결정적 계기는 불교의 보편주의적 성격 때문이라 볼 수 있다.
Ⅳ. 참고문헌
-kocca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
-세계유교문화재단 www.worldcf.co.kr
-선원사 http://www.seonwonsa.kr/
-위키백과 ko.wikipedia.org
-구글 www.google.co.kr
-현대 중국의 유교 논쟁, 東洋哲學 = (The)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한국과 일본의 주자학 특징 비교, 哲學硏究 : 대한철학회논문집

키워드

문화,   한중일,   유교문화,   유교사상,   유교,   불교,   한국,   중국,   일본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6.17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