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공간] 한중일 삼국의 공간문화의 비교와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와 공간] 한중일 삼국의 공간문화의 비교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한중일 삼국의 공통된 조형의식과 차이점
 공간조형 원리와 태도에대한 8가지관점

결론
 느낀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 일본은 절제, 검약, 극소를 선호하여 미니멀리즘경향이 짙다. 장식적 요소도 최소화하고 단순한 모듈을 반복하거나 조합시켜 전체를 구성한다. 중국은 절제를 거의 하지않고 웅장함을 강조하기위해 기술의 정교함이나 인공미를 추구한다. 한국은 최소한의 재료로 구조와 기능을 갖추지만 일본이나 중국과 같이 인공적으로 무언가를 손대기 보단 자연성과 유연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작업 자체를 절제한다.
결론.
삼국은 현재 각자의 독자성을 살려 공간문화를 계속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단순화기법이 떠오르면서 한국의 전통문화를 지키지않고 따라가는 경향이 생기기도 한다. 우리는 우리의 고유 전통문화를 지키며 발전해 나가야하고, 타국의 문화는 참고하는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지금까지 알아본 한중일의 공간문화를 통하여 우리는 삼국의 공통점과 차이점, 건축물을 바라보는 태도등을 알아보았다. 삼국의 토대는 비슷하지만 각기 다르게 뻗어나간 가지처럼 우리나라의 건축물역시 전통건축을 토대삼아 새로운 가지를 쳐나가야한다. 현재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추세에 따라가는 경향이 짙어 모든 건축문화 라든지 다른 공간문화들이 독자성을 잃을 상황에 도달하였다. 물론 말만큼 쉽지않은 것이지만 우리들은 머리를 맞대고 우리나라만의 아름다운 전통문화를 살린 새로운 공간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문화와 공간- 신영숙, 신광출판사, 2004
한옥의 공간문화 - 한옥공간연구회, 효문사, 2004
http://blog.naver.com/mt1905?Redirect=Log&logNo=60146361245
네이버 이미지, 지식in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3.31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